목차 일부
머리말
제1부 律格論
해설 ... 6
1. 한국 시가의 운유러과 형태 ... 9
2. 韓國詩歌 韻律硏究에 대한 通時的 省察 ... 34
제2부 上代詩歌論
해설 ... 64
1. 上代詩歌의 美意識 類型體系 ... 67
2. 韓國 上代 詩歌와 呪詞 ... 84
3. [龜旨歌]考 ... 107
제3부 鄕歌論
해설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제1부 律格論
해설 ... 6
1. 한국 시가의 운유러과 형태 ... 9
2. 韓國詩歌 韻律硏究에 대한 通時的 省察 ... 34
제2부 上代詩歌論
해설 ... 64
1. 上代詩歌의 美意識 類型體系 ... 67
2. 韓國 上代 詩歌와 呪詞 ... 84
3. [龜旨歌]考 ... 107
제3부 鄕歌論
해설 ... 130
1. 鄕歌의 문학사적 위치 ... 133
2. 新羅歌謠의 背景說話와 作者問題 ... 141
3. [兜率歌]考 ... 153
4. [題往生歌] 의 생성 배경 -傳承文脈의 검토를 통한 작자 문제 再論- ... 163
제4부 麗謠論
해설 ... 198
1. 고려가요의 전반적 성격 ... 201
2. [動動]考 ... 216
3. [만전춘 별사]연구 -대본 해석을 중심으로- ... 225
4. 景幾體歌의 장르적 성격 ... 242
5. 景幾體歌의 綜合的 考察 ... 264
제5부 樂章論
해설 ... 290
1. 樂章·歌詞考 ... 291
2. [용비어천가]의 가락이 지닌 뜻 ... 300
3. [龍飛御天歌]의 서사적 짜임 ... 313
제6부 時調論
해설 ... 336
1. 時調의 形成階層과 그 形成期 ... 339
2. 韓國詩歌의 抒情의 몇 局面 ... 360
3. 江湖自然과 정치현실 ... 389
4. 松江의 [訓民歌]에 대하여 ... 411
5. 辭說時調의 構造와 그 背景 ... 432
제7부 歌辭論
해설 ... 452
1. 장르論的 관심과 歌辭의ㅣ 文學性 ... 455
2. '가사'의 形式에 對하여 -詞律을 생각하면서- ... 476
3. 夢遊歌辭의 形成過程試考 ... 485
4. [續美人曲]의 內容分析 ... 51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