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序·한의학의 발달과 개요 ... 11
Ⅰ.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1. 음양(陰陽)의 자연철학 ... 87
(1) 음양 - 화담집(花潭集)을 중심으로 ... 87
(2) 음양의 섭리 ... 90
(3) 태극과 한의학 ... 92
(4) 태극과 음양오행 ... 94
(5) 음양의 총괄 ... 97
...
더보기
목차 전체
序·한의학의 발달과 개요 ... 11
Ⅰ.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1. 음양(陰陽)의 자연철학 ... 87
(1) 음양 - 화담집(花潭集)을 중심으로 ... 87
(2) 음양의 섭리 ... 90
(3) 태극과 한의학 ... 92
(4) 태극과 음양오행 ... 94
(5) 음양의 총괄 ... 97
(6) 음양과 예방의학 ... 99
(7) 남녀의 음양 ... 102
(8) 남녀의 나이 ... 104
2. 오행(五行)의 묘수 ... 106
(1) 오행이론 ... 106
(2) 오행의 귀류(歸類) ... 109
(3) 오장(五臟)속의 오행 ... 112
(4) 오미(五味)와 오행 ... 114
(5) 상승(相乘)과 상모(相侮) ... 116
(6) 자기(子氣)와 모기(母氣) ... 119
Ⅱ. 장상론(藏象論)
1. 신형(身形)과 양생(養生) ... 123
(1) 인신 소천지설(人身小天地說) ... 123
(2) 잉태(孕胎)와 생식(生殖) ... 127
2. 정·기·신(精氣神) ... 129
(1) 정(精)의 생성과 작용 ... 129
(2) 기(氣)의 생성과 작용 ... 131
(3) 기화(氣化)작용과 진액(津液) ... 133
(4) 신(神)의 저장과 작용 ... 135
(5) 혈(血)과 정·기·신(精氣神)의 관계 ... 136
3. 장부총설(臟腑總說) ... 138
(1) 단전(丹田)과 배삼관(背三關) ... 138
(2) 오장육부(五臟六腑) ... 139
(3) 장부(臟腑)의 작용 ... 141
(4) 오장육부의 유기능계(類機能系) ... 143
(5) 오장육부의 음양오행과 기화(氣化)관계 ... 144
(6) 오장의 '지(志), 장(藏), 액(液), 악(惡), 입(入), 금(禁)' ... 147
4. 장부(臟腑) 생리와 병리에 대한 보충 ... 150
(1) 심(心)·소장(小腸)의 생리와 병리 ... 150
(2) 간(肝)·담(膽)이 생리와 병리 ... 154
(3) 비(脾)·위(胃)의 생리와 병리 ... 159
(4) 폐(肺)·대장(大腸)의 생리와 병리 ... 164
(5) 신(腎)·방광(膀胱)의 생리와 병리 ... 169
Ⅲ. 병후론(病候論)과 진법(診法)의 통찰력
1. 병후론(病候論) ... 177
(1) 오장외후(五臟外候) ... 177
(2) 한·열증의 허·실 ... 201
(3) 체질의 허·실 ... 202
2. 망진(望診)의 재미와 사실성 ... 204
(1) 망신(望神) ... 204
(2) 신(神)을 보라 ... 206
(3) 망색십법(望色十法) ... 211
(4) 색진(色診) ... 215
(5) 색징(色徵) ... 217
(6) 면색순역(面色順逆) ... 220
3. 망진(望診)의 실제 ... 224
(1) 신(腎)·기화재발(其華在髮) ... 224
(2) 모방(毛髮) ... 226
(3) 눈(Ⅰ) ... 229
(4) 눈(Ⅱ) ... 235
(5) 코 ... 239
(6) 순구(脣口) ... 245
(7) 잇몸의 색깔 ... 248
(8) 설태(舌苔)로 본 건강 ... 251
(9) 어깨를 보고 질병을 안다 ... 256
(10) 손가락 생김새로 건강과 성격을 안다 ... 259
(11) 손톱으로 질병을 가름한다 ... 274
(12) 수장(手掌)으로 질병과 성격을 안다 ... 293
(13) 손금과 질병 ... 305
(14) 지문(指紋)과 건강 ... 324
4. 소아망진(小兒望診) ... 329
(1) 호구삼관(虎口三關) 진단법 ... 329
(2) 소아의 한열칠증(寒熱七症) ... 336
(3) 소아의 장수·단명의 감별 ... 338
(4) 소아의 눈 감별 ... 341
(5) 소아의 구순(口脣) 감별 ... 343
(6) 소아의 코 감별 ... 345
5. 배설물로 병을 진단한다 ... 348
(1) 가래의 형태로 병을 안다 ... 348
(2) 구토물로 병을 안다 ... 350
(3) 대변으로 병을 안다 ... 353
(4) 소변으로 병을 안다 ... 357
6. 문진(聞診)과 문진(問診) ... 361
(1) 오성(五聲)과 웃음의 감별 ... 361
(2) 음성 감별 ... 363
(3) 소리 감별 ... 369
(4) 피로의 감별 ... 372
7. 오장육부의 진찰 ... 377
(1) 오장(五臟)의 안진(按診) ... 377
(2)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감별 ... 386
Ⅳ. 정체관념(整體觀念)과 치법
(1) 정체관념(整體觀念) ... 401
(2) 변증시치(辨證施治) ... 404
(3) 변병시치(辨病施治) ... 406
(4) 울증 치법(鬱證 治法) ... 408
(5) 약방약낭(藥方藥囊) ... 411
(6) 정부족자 치법(精不足者 治法) ... 414
(7) 형부족자 치법(形不足者 治法) ... 416
(8) 오탈 치법(五奪 治法) ... 419
(9) 보모사자(補母瀉子) ... 421
(10) 오사 치법(五邪 治法) ... 423
(11) 통인통용(通因通用) ... 427
(12) 치병(治病) 3법, 5법 ... 430
(13) 치미병(治未病) ... 432
(14) 천·지·인제의(天·地·人制宜) ... 435
(15) 장수익화(壯水益火) ... 437
(16) 물상위기(勿傷胃氣) ... 439
(17) 진기종지 정신내수(眞氣從之 精神內守) ... 442
(18) 장위내상 신기내부(腸胃內傷 神氣乃浮) ... 444
(19) 심자종지(甚者從之) ... 448
(20) 결자해지(結者解之) ... 450
(21) 동병이치(同病異治) ... 453
序·한의학의 발달과 개요 ... 11
Ⅰ.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1. 음양(陰陽)의 자연철학 ... 87
(1) 음양 - 화담집(花潭集)을 중심으로 ... 87
(2) 음양의 섭리 ... 90
(3) 태극과 한의학 ... 92
(4) 태극과 음양오행 ... 94
(5) 음양의 총괄 ... 97
(6) 음양과 예방의학 ... 99
(7) 남녀의 음양 ... 102
(8) 남녀의 나이 ... 104
2. 오행(五行)의 묘수 ... 106
(1) 오행이론 ... 106
(2) 오행의 귀류(歸類) ... 109
(3) 오장(五臟)속의 오행 ... 112
(4) 오미(五味)와 오행 ... 114
(5) 상승(相乘)과 상모(相侮) ... 116
(6) 자기(子氣)와 모기(母氣) ... 119
Ⅱ. 장상론(藏象論)
1. 신형(身形)과 양생(養生) ... 123
(1) 인신 소천지설(人身小天地說) ... 123
(2) 잉태(孕胎)와 생식(生殖) ... 127
2. 정·기·신(精氣神) ... 129
(1) 정(精)의 생성과 작용 ... 129
(2) 기(氣)의 생성과 작용 ... 131
(3) 기화(氣化)작용과 진액(津液) ... 133
(4) 신(神)의 저장과 작용 ... 135
(5) 혈(血)과 정·기·신(精氣神)의 관계 ... 136
3. 장부총설(臟腑總說) ... 138
(1) 단전(丹田)과 배삼관(背三關) ... 138
(2) 오장육부(五臟六腑) ... 139
(3) 장부(臟腑)의 작용 ... 141
(4) 오장육부의 유기능계(類機能系) ... 143
(5) 오장육부의 음양오행과 기화(氣化)관계 ... 144
(6) 오장의 지(志), 장(藏), 액(液), 악(惡), 입(入), 금(禁) ... 147
4. 장부(臟腑) 생리와 병리에 대한 보충 ... 150
(1) 심(心)·소장(小腸)의 생리와 병리 ... 150
(2) 간(肝)·담(膽)이 생리와 병리 ... 154
(3) 비(脾)·위(胃)의 생리와 병리 ... 159
(4) 폐(肺)·대장(大腸)의 생리와 병리 ... 164
(5) 신(腎)·방광(膀胱)의 생리와 병리 ... 169
Ⅲ. 병후론(病候論)과 진법(診法)의 통찰력
1. 병후론(病候論) ... 177
(1) 오장외후(五臟外候) ... 177
(2) 한·열증의 허·실 ... 201
(3) 체질의 허·실 ... 202
2. 망진(望診)의 재미와 사실성 ... 204
(1) 망신(望神) ... 204
(2) 신(神)을 보라 ... 206
(3) 망색십법(望色十法) ... 211
(4) 색진(色診) ... 215
(5) 색징(色徵) ... 217
(6) 면색순역(面色順逆) ... 220
3. 망진(望診)의 실제 ... 224
(1) 신(腎)·기화재발(其華在髮) ... 224
(2) 모방(毛髮) ... 226
(3) 눈(Ⅰ) ... 229
(4) 눈(Ⅱ) ... 235
(5) 코 ... 239
(6) 순구(脣口) ... 245
(7) 잇몸의 색깔 ... 248
(8) 설태(舌苔)로 본 건강 ... 251
(9) 어깨를 보고 질병을 안다 ... 256
(10) 손가락 생김새로 건강과 성격을 안다 ... 259
(11) 손톱으로 질병을 가름한다 ... 274
(12) 수장(手掌)으로 질병과 성격을 안다 ... 293
(13) 손금과 질병 ... 305
(14) 지문(指紋)과 건강 ... 324
4. 소아망진(小兒望診) ... 329
(1) 호구삼관(虎口三關) 진단법 ... 329
(2) 소아의 한열칠증(寒熱七症) ... 336
(3) 소아의 장수·단명의 감별 ... 338
(4) 소아의 눈 감별 ... 341
(5) 소아의 구순(口脣) 감별 ... 343
(6) 소아의 코 감별 ... 345
5. 배설물로 병을 진단한다 ... 348
(1) 가래의 형태로 병을 안다 ... 348
(2) 구토물로 병을 안다 ... 350
(3) 대변으로 병을 안다 ... 353
(4) 소변으로 병을 안다 ... 357
6. 문진(聞診)과 문진(問診) ... 361
(1) 오성(五聲)과 웃음의 감별 ... 361
(2) 음성 감별 ... 363
(3) 소리 감별 ... 369
(4) 피로의 감별 ... 372
7. 오장육부의 진찰 ... 377
(1) 오장(五臟)의 안진(按診) ... 377
(2)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감별 ... 386
Ⅳ. 정체관념(整體觀念)과 치법
(1) 정체관념(整體觀念) ... 401
(2) 변증시치(辨證施治) ... 404
(3) 변병시치(辨病施治) ... 406
(4) 울증 치법(鬱證 治法) ... 408
(5) 약방약낭(藥方藥囊) ... 411
(6) 정부족자 치법(精不足者 治法) ... 414
(7) 형부족자 치법(形不足者 治法) ... 416
(8) 오탈 치법(五奪 治法) ... 419
(9) 보모사자(補母瀉子) ... 421
(10) 오사 치법(五邪 治法) ... 423
(11) 통인통용(通因通用) ... 427
(12) 치병(治病) 3법, 5법 ... 430
(13) 치미병(治未病) ... 432
(14) 천·지·인제의(天·地·人制宜) ... 435
(15) 장수익화(壯水益火) ... 437
(16) 물상위기(勿傷胃氣) ... 439
(17) 진기종지 정신내수(眞氣從之 精神內守) ... 442
(18) 장위내상 신기내부(腸胃內傷 神氣乃浮) ... 444
(19) 심자종지(甚者從之) ... 448
(20) 결자해지(結者解之) ... 450
(21) 동병이치(同病異治) ... 45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