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편역자 서문 ... 8
1부 신시기문학 개관
1. 소생의 빛과 그림자 ... 15
2부 신시기문학의 작가와 작품
1. 가치관의 전환 ; 『담임선생님』 / 유심무(劉心武) ... 31
2. 상흔문학(傷痕文學) ; 『상흔(傷痕)』 / 노신화(盧新華) ... 36
3. 복권하는 우파분자 ; 『천운산전기(天雲山傳奇)』 / 노언주(魯彦周)...
더보기
목차 전체
편역자 서문 ... 8
1부 신시기문학 개관
1. 소생의 빛과 그림자 ... 15
2부 신시기문학의 작가와 작품
1. 가치관의 전환 ; 『담임선생님』 / 유심무(劉心武) ... 31
2. 상흔문학(傷痕文學) ; 『상흔(傷痕)』 / 노신화(盧新華) ... 36
3. 복권하는 우파분자 ; 『천운산전기(天雲山傳奇)』 / 노언주(魯彦周) ... 41
4. 적발문학(摘發文學) ; 『고보금석(古保今昔)』 / 유빈안(劉賓雁) ... 47
5. 신극(新劇)의 고발 ; 『만약 내가 진짜였다면』 / 사엽신(沙葉新) ... 52
6. 고뇌하는 지식인 ; 『중년이 되어』 / 심용(諶容) ... 64
7. 의식의 흐름 ; 『호접(胡蝶)』 / 왕몽(王夢) ... 70
8. 몽롱시(朦朧詩)의 출현 ; 1)몽롱 시인들 2)『오늘(今天)』파의 의미 ... 76
9. 여류작가의 활약 ; 『방주(方舟)』 / 장결(張潔), 『단추없는 빨간 블라우스』 ... 86
10. 보고·기실문학(報告·紀實文學) 이유(理由), 『열정(熱情)』 ; 『인간과 요괴 사이』 / 유빈안(劉賓雁), 『영탄조(詠嘆調) 북경 버스이야기? ... 97
11. 향토문학 ; 『포류(蒲柳)의 사람』 / 유소당(劉紹棠) ... 106
12. 시민의 일상성을 주시 ; 『우물(井)』 / 육문부(陸文夫) ... 112
13. 농민군상 ; 『진환생(陳奐生)도시에 가다』 / 고효성(高曉聲) ... 117
14. 기업문학 ; 『교(喬)공장장 취임기』 / 장자룡(葬子龍) ... 123
15. 휴머니즘의 대두 ; 『사람아 아, 사람아!』 / 대후영(戴厚英), 『문예는 정치와 종속관계에 있지 ? ... 132
16. 자전적 소설 ; 『봄의 동화』 / 우라금(遇羅錦) ... 140
17. 애정문학 ; 『사랑은 잊을 수 없는 것』 / 장결(張潔) ... 144
18. 성(性)의 문학 ; 『남자의 반은 여자』 장현량(張賢亮) ... 150
19. 반봉건문학(反封建文學) ; 『사랑에 잊혀진 구석』 / 장현(張弦) ... 156
20. 실존주의의 파문 ; 『양월월(楊月月)과 사르트르 연구』 / 심용(諶容) ... 162
21. 문혁을 묘사 ; 『단풍』 / 정의(鄭儀) ... 168
22. 군사문학 ; 『높은산 아래의 화환』 / 이존보(李存보) ... 172
23. 무협소설 ; 『연(燕)의 여삼(呂三)』 / 단림(檀林) ... 177
24. SF소설 ; 『태평양인(太平洋人)』 / 정문광(鄭文光) ... 184
25. 청춘군상 ; 『오로라』 / 장항항(張抗抗) ... 188
26. 젊은 세대의 문학 ; 『장기왕(棋王)』 / 아성(阿城) ... 194
27. 홍위병(紅衛兵)세대의 문학 ; 『69년 졸업생』 / 왕안억(王安憶) ... 203
28. 신(新)리얼리즘 ; 『북경인(北京人)』 / 장신흔(張辛欣)·상엽(桑曄) ... 209
29. 모더니즘의 도전 ; 『화두(花豆)』 / 고행건(高行建) ... 213
30. 구(舊)지식인의 문혁체험 ; 『간교육기(幹校六 )』 / 양강(楊絳) 『운몽택을 회상함』 ... 217
31. 소수민족, 변경(邊境)의 문학 ; 『호박색 모닥불』 / 우롤드 ... 221
3부 90년대 중국문학의 전개
1. 90년대 중국문예에 대한 세가지 문제제기 ... 231
2. ‘후신시기문학’에 대한 토론 ... 258
3. 중국의 선봉소설과 신사실주의 ... 262
부록 신중국의 파란만장한 역사와 그 문학적 추구 ... 269
칼럼
1. 파금(巴金) - 〈수상록(隨想錄)〉 ... 57
2. 호풍(胡風)복권의 음영 ... 83
3. 정령(丁玲) - 파란의 생애 ... 93
4. 『문예강화(文藝講話)』와 신시기문학 ... 128
5. 중국 현대문학관 개관 ... 149
6. 창작의 자유와 그 한계 - 당(黨)의 문예정책 ... 165
7. 유재복(劉再復)의 ‘문학의 주체성’론 ... 180
8. 신시대(新時代)의 인간선언 ... 201
9. 조단(趙丹)의 유언 ... 22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