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i
제1부「단전」에 나타난 도가적 사유 방식
1.「단전」과 노장 ... 11
1)「단전」의 천도관은 도가사상이 중심이다 ... 14
2)「단전」의 주요학설과 노자사상의 관계 ... 17
만물기원설 ... 19
자연 순환론 ... 22
음양기화론 ... 24
강유상제설 ... 27
천·지·인 일체관 ... 29...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i
제1부「단전」에 나타난 도가적 사유 방식
1.「단전」과 노장 ... 11
1)「단전」의 천도관은 도가사상이 중심이다 ... 14
2)「단전」의 주요학설과 노자사상의 관계 ... 17
만물기원설 ... 19
자연 순환론 ... 22
음양기화론 ... 24
강유상제설 ... 27
천·지·인 일체관 ... 29
3)「단전」의 우주관과 장자 우주관의 공통점 ... 31
4)「단전」은 남방인이나 직하의 학자들이 썼다 ... 34
2. 「단전」의 도가적 사유 방식 ... 35
1) 천도에서 인사를 연역하는 「단전」의 도가적 사유 방식 ... 38
'천도에서 인사를 연역하는' 사유 방식은 「단전」 전체를 꿰뚫는다 ... 38
'천도에서 인사를 연역하는' 사유 방식은 『노자』 전체를 꿰뚫는다 ... 40
'천도에서 인사를 연역하는' 사유 방식은 『황제사경』을 꿰뚫는다 ... 42
2)「단전」의 만물 생성론 ... 44
'건원'과 '곤원'이 만물을 발생시킨다 ... 45
천지의 두기가 감응하여 만물을 낳고 변화시킨다 ... 48
강한 기운과 부드러운 기운이 교합하기 시작할 때 어려움이 발생한다 ... 50
3) 천행-천체 운행의 법칙 ... 52
4)「단전」에 나오는 '시時'의 의미 ... 56
5) 강을 숭상하는 「단전」과 양을 숭상하는 직하 도가 ... 62
6) 마무리 ... 66
제2부「상전」과 「문언전」에 나타난 도가적 사유 방식
1.「상전」에 나타난 도가적 사유 방식 ... 71
1)「상전」에 학파적 성격 ... 72
2)「상전」에 나타난 도가 고유의 사유 방식 ... 77
3)「소상전」은 노자사상을 통해 「건괘」·「곤괘」를 해석하였다 ... 82
4)「대상전」과 노자, 장자 및 황로 사상 ... 86
「대상전」 가운데 노자 사상과 합치하는 부분 ... 86
「대상전」에서 장자 사상과 상통하는 부분 ... 92
「대상전」 가운데 직하 도가나 황로학과 상통되는 부분 ... 95
5) 결론 ... 98
2.「문언전」 중의 도가적 경향 ... 100
1)「문언전」과 노장 ... 101
2)「문언전」과 황로 사상 ... 104
3)「문언전」은 도가가 성행한 전국 후기에 이루어졌다 ... 108
제3부「계사전」과 직하 도가
1.「계사전」에 끼친 노자사상의 영향 ... 113
1)『역경』-노장-『역전』으로 이어지는 선진 천도관의 발전 ... 113
2)「계사전」의 자연관에 끼친 도가의 영향 ... 116
천동지정설天動地靜說은 『장자』 「천도天道」의 설과 같다 ... 117
강유상추설剛柔相推說은 노자의 사상을 발전시킨 것이다 ... 118
'역지간능易之簡能'은 노자의 간이한 '도'와 같다 ... 119
'원시반종原始反終'은 노장 자연관의 특이한 관점이다 ... 120
'정기精氣' 개념은 도가에서 나왔다 ... 121
'신神'의 개념은 노장과 같다 ... 123
음양설은 도가와 음양가에서 나왔다 ... 124
태극설은 도가에서 나왔다 ... 126
도기설道器說은 노자에서 나왔다 ... 127
변통설은 노장사상을 발전시킨 것이다 ... 128
'기幾' 개념은 노자 '미명微明'의 또다른 표현이다 ... 129
'도'·'덕' 개념의 철학적인 의미가 노장과 같다 ... 130
'언어'(言)와 '의미'(意)의 관계에 대한 논지가 노장과 동일하다 ... 131
3) 『역전』은 유가경전이 아니고 도가 계통의 저작이다 ... 133
2. 「계사전」에 끼친 장자 사상의 영향 ... 137
1) 음양설 ... 137
2) 변화관 ... 143
3) '신'의 의미 ... 148
4) 언의론言意論 ... 150
5) 덧붙이는 논의 ... 153
6) 마무리 ... 158
3. 「계사전」은 직하 도가의 저작이다 ... 160
1) 점을 중시하는 「계사전」과 점을 숭상하는 제나라 풍습 ... 161
2)「계사전」의 학설과 직하 도가 ... 167
정기설 ... 167
도덕설 ... 168
권세와 지위의 강조 ... 170
3)「계사전」과 제나라 문화의 정신 ... 171
4)「계사전」은 도가의 관점으로 『역경』을 해석한 작품이다 ... 178
4. 『역전』과 초학 그리고 제학 ... 179
1) 초나라와 제나라에서 역학은 어떻게 전승되었는가 ... 180
2) 『역전』과 초학 ... 184
음양설 ... 185
강유설 ... 188
자연주의 천도관 ... 190
3) 『역전』과 제학 ... 194
4) 『역전』과 직하 ... 197
제4부 백서「계사전」과 도가 전본
1. 백서 「계사전」은 현존 최고의 도가 전본이다 203
1) 백서 「계사전」과 현행본 「계사전」의 다른 점 ... 205
2) 백서 「계사전」의 글자수 문제 ... 211
3) 백서본 「계사전」에 없는 부분은 한대 유가가 보충한 것이다 ... 212
4) '복희 작괘설'은 고대 역사에 대한 도가의 전설 체계에 속한다 ... 215
5) 도가 역학의 흥성과 백서본의 전승 ... 220
6) 마무리 ... 224
2. 백서본 「계사전」과 현행본 「계사전」 ... 226
1) 백서 「계사전」의 꼬리 표제와 그 의미 ... 227
2) 백서 「계사전」과 현행본 「계사전」의 괘의 순서와 위치 ... 231
백서본 『역경』의 괘의 순서와 위치 ... 232
현행본 『역경』의 괘의 순서 ... 233
백서본 「계사전」의 괘의 순서와 위치 ... 234
현행본 「계사전」의 괘의 순서 ... 237
3) 성괘법과 점서법 체계의 차이 ... 238
성괘법과 점서법 체계의 차이 ... 238
전후 문장의 연결 ... 239
4) 『주역』 창제설에 관하여 ... 242
백서본 「계사전」의 『주역』 창제설 ... 243
현행본 「계사전」의 『주역』 창제설 ... 245
5) 도가의 '시始'와 '초初' 중시 ... 249
다른 문장의 교증校證 ... 250
백서본 「계사전」을 통해 본 ‘시始’와 ‘초初’의 중시 ... 252
「역지의」를 통해 본 「계사전」의 ‘시’와 ‘초’에 대한 중시 ... 253
「역지의」는 ‘초’를 중시함과 아울러 ‘중中’도 중시하였다 ... 255
현행본 「계사전」은 여러 학설의 오류를 집합시켜 놓았다 ... 255
'초'의 중시와 ‘중’의 중시는 도가와 유가의 분계선이다 ... 258
3. 백서 「계사전」과 백서『황제사경』 ... 261
1) ‘천존지비天尊地卑’의 사유방식은 도가에 뿌리를 둔 것이다 ... 263
천도에서 인사를 설명하는 사유 방식은 도가에서 나온 것이다 ... 263
'천존지비' 개념은 백서 『황제사경』에서 비교적 일찍 나타난다 ... 265
'귀천위의貴賤位矣'는 백서 『황제사경』에 자주 나타난다 ... 266
2) 황로 도가와 「계사전」의 동정관動靜觀 ... 267
천동지정天動地靜의 관념은 『황제사경』과 『장자』에 보인다 ... 267
「계사전」의 '대시이동待時而動'이라는 관념은 『황제사경』에 자주 보인다 ... 269
3)「계사전」의 '강유상마剛柔相摩'와 『황제사경』의 '강유상성剛柔相成' ... 272
4) 백서 『황제사경』에서 「계사전」에 이르는 음양관의 발전 ... 275
5)「계사전」의 '삼극지도'와 선진 도가의 천·지·인 일체관 ... 277
6)「계사전」의 상공尙功사상과 직하도가의 관계 ... 280
4.「계사전」의 도론과 태극설 ... 284
1) 도론 ... 285
2) 태극설의 도가적 성격 ... 290
3) 대항大恒 개념은 노자에 근원한다 ... 296
제5부 백서 역설과 황로 사상
1. 「이삼자문」·「역지의」·「요」의 황로사상 ... 301
1) 「이삼자문二三子聞」·「역지의易之義」·「요要」의 성립 연대 ... 301
세 편의 백서는 동일 계통 혹은 동일한 사람의 작품이 아니다 ... 302
세 편의 백서의 성립 시기는 서로 멀지 않다 ... 303
세 편의 백서는 진한 시기 역학의 융합기에 나온 작품이다 ... 304
「이삼자문」의 편찬시대 ... 305
「역지의」와 「요」의 편찬연대 ... 307
2)「이삼자문」·「역지의」·「요」에 나타난 황로사상 ... 315
흑백론 ... 315
언어관 ... 318
강유상제설剛柔相濟說 ... 320
무시설務時說 ... 322
손익설損益說 ... 324
'상을 지킴'(보常)과 ‘도가 있음’(有度) ... 325
가득 참과 텅빔(빈虛), 나아감과 물러남(進退) ... 327
능청能精·능백能白의 개념 ... 327
2. 백서 「무화 繆和」「소력昭力」의 황로 사상 ... 331
귀언貴言 ... 332
무심 ... 333
덕을 베풀되 보답을 바라지 않으며 공을 이루되 거기에 머물지 않는다 ... 333
덕을 지키고 도를 얻으면 싸우지 않고도 이긴다 ... 333
겸손함을 높이고 부드러움을 숭상한다 ... 334
천도天道·지리地理·인심人心 ... 337
음양陰陽과 회명晦明 ... 337
동정과 명공名功 ... 338
명과 실 ... 339
금지하고 벌함이 죄에 합당함 ... 339
뭇신하들이 아첨하며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면서 딴 마음을 품고 있다 ... 339
재물과 자신(身) ... 340
시를 좇아 복을 취한다 ... 340
중복되는 문자 ... 341
부록
1.「단전」「계사전」의 주요 개념과 도가 관계표 ... 345
2.「계사전」의 학파 성격에 대하여 ... 35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