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땅이름 연구 방법론
제1장 땅이름 연구 방법론 ... 3
1. 머리말 ... 3
2. 연구분야 ... 9
3. 맺음말 ... 17
제2장 땅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 23
1. 머리말 ... 24
2. 유연성에 따라 지은 땅이름 ... 24
3. 재생성된 땅이름 ...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땅이름 연구 방법론
제1장 땅이름 연구 방법론 ... 3
1. 머리말 ... 3
2. 연구분야 ... 9
3. 맺음말 ... 17
제2장 땅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 23
1. 머리말 ... 24
2. 유연성에 따라 지은 땅이름 ... 24
3. 재생성된 땅이름 ... 28
4. 땅이름 형태소를 결합하여 지은 땅이름 ... 37
5. 맺음말 ... 40
제3장 낱말만들기의 관점에서 본 특수어 연구 ... 45
1. 머리말 ... 46
2. 낱말만들기 ... 47
3. 맺음말 ... 72
제4장 생성 과정에서 본 땅이름 연구 ... 77
1. 머리말 ... 77
2. 평택군 현덕면의 개황 ... 78
3. 생성 과정에서 본 땅이름 ... 81
4. 맺음말 ... 124
제5장 한자말로 맞옮긴 토박이말 땅이름과 토박이말 땅이름 연구 ... 129
1. 머리말 ... 129
2. 한자말로 맞옮긴 토박이말 땅이름 ... 130
3. 토박이말 땅이름의 짜임새 ... 142
4. 맺음말 ... 158
제Ⅱ부 땅이름 연구의 실제
제1장 강화군 화도면의 땅이름 연구 ... 165
1. 머리말 ... 165
2. 화도면의 땅이름 ... 168
3. 생성 과정에서 본 땅이름 ... 209
4. 땅이름 계통적 분류 ... 228
5. 맞옮긴 관계에 있는 땅이름 ... 243
6. 땅이름의 뜻과 꼴 ... 246
7. 땅이름의 내부적 구성 요소 분석 ... 251
8. 맺음말 ... 257
제2장 경기도 평택군 현덕면 동남부 지역의 땅이름 연구 ... 261
1. 머리말 ... 261
2. 땅이름의 짜임새 ... 262
3. 맺음말 ... 275
제3장 경기도 평택군 현덕면 중북부 지역의 땅이름 연구 ... 277
1. 머리말 ... 277
2. 유연성에 따라 생성된 땅이름 ... 279
3. 재생성된 땅이름 ... 297
4. 맺음말 ... 314
제4장 충북 중원군 엄정면의 땅이름 연구 ... 317
1. 머리말 ... 317
2. 중원군 및 엄정면의 연혁 ... 318
3. 통일의 대상이 되었던 땅이름 ... 319
4. 땅이름 통일의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 ... 352
5. 제안 ... 353
제Ⅲ부 국어 음운 연구
제1장 남부 해안의 방언의 자음음운 배합 현상 ... 359
1. 서언 ... 359
2. 자음 음운 변화 ... 360
3. 결언 ... 375
제2장 향음 [m,n,ŋ,l]의 음성학적 고찰 ... 378
1. 문제 제기 ... 378
2. 음절 분다 ... 381
3. 향음 [m,n,ŋ,l]의 음성적 특성이 드러난 보기 ... 392
4. 맺음말 ... 402
제3장 '형식소'를 세울 것인가에 대하여 ... 405
1. 문제 제기 ... 406
2. 형식소의 정의-가설을 세움 ... 408
3. 형식소를 세워야 할 까닭 ... 408
4. 형식소의 기능 ... 409
5. 형식소에는 어떠한 것이 있나 ... 410
6. 확대해서 받아들임 ... 411
7. 가설의 수정 ... 412
8. 이제까지의 설명과 다른 점 ... 416
9. 형식소와 비슷한 개념이 있는 요소와 형식소의 다른 점 ... 420
10. 남은 문제 ... 425
11. 맺음말 ... 426
제4장 ㅎ끝소리 자리바꾸기와 센소리되기에 대하여 ... 431
1. 문제 제기 ... 431
2. ㅎ끝소리 자리바꾸기 ... 434
3. 센소리되기 ... 448
4. ㅎ끝소리 자리바꾸기와 센소리되기 ... 451
5. 검증 ... 452
6. 맺음말 ... 45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