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분자생물학의 영역 ... 1
제2장 생명의 물리화학적 기초 ... 5
2.1 고분자 ... 5
2.1.1 단백질 ... 6
2.1.2 핵산 ... 8
2.2 고분자의 입체구조를 이루는 비공유결합 ... 10
2.2.1 수소결합 ... 11
2.2.2 이온결합 ... 13
2.2.3 소수력 ... 14
2.2.4 반 데르 발스...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분자생물학의 영역 ... 1
제2장 생명의 물리화학적 기초 ... 5
2.1 고분자 ... 5
2.1.1 단백질 ... 6
2.1.2 핵산 ... 8
2.2 고분자의 입체구조를 이루는 비공유결합 ... 10
2.2.1 수소결합 ... 11
2.2.2 이온결합 ... 13
2.2.3 소수력 ... 14
2.2.4 반 데르 발스 인력 ... 14
2.3 고분자 연구에 이용되는 실험 방법 ... 15
2.3.1 전기영동법 ... 15
2.3.2 초원심 분리법 ... 18
2.3.3 전자 현미경 ... 21
제3장 핵산의 구조 ... 25
3.1 핵산의 단량체 성분 ... 25
3.1.1 피리미딘 염기류 ... 25
3.1.2 퓨린 염기류 ... 26
3.1.3 펜토스와 디옥시펜토스 ... 27
3.1.4 뉴클레오시드 ... 27
3.1.5 뉴클레오티드 ... 29
3.2 핵산의 1차구조 ... 30
3.2.1 명칭과 약어 ... 31
3.2.2 DNA의 염기분석 ... 32
3.2.3 DNA의 분자량 ... 33
3.3 DNA의 2차구조 ... 34
3.3.1 기본구조 ... 34
3.3.2 DNA의 역동적 구조 ... 37
3.4 DNA의 변성과 재생 ... 38
3.4.1 DNA의 변성 : 헬릭스 - 코일 전환 ... 38
3.4.2 DNA의 재생 : C_0 t 분석 및 부유밀도 ... 39
3.5 DNA의 3차구조 ... 40
3.5.1 DNA 수퍼코일 구조 ... 40
3.5.2 DNA의 십자형 구조 ... 42
3.5.3 여러 가닥 DNA ... 42
3.6 RNA 핵산의 2차 및 3차구조 ... 43
제4장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 45
4.1 단백질의 기능과 분류 ... 46
4.2 아미노산의 특성 ... 47
4.3 단백질의 구조 ... 50
4.4 단백질의 종류 ... 56
4.4.1 섬유형 단백질 ... 56
4.4.2 구형단백질 ... 60
4.5 단백질의 진화 ... 64
제5장 고분자의 상호작용과 복합체 ... 67
5.1 염색체와 염색질 ... 67
5.1.1 히스톤 ... 69
5.1.2 뉴클레오솜의 구조 ... 69
5.1.3 뉴클레오솜의 형성과 유전자 발현의 조절 ... 71
5.1.4 30㎚ 섬유상 구조 ... 73
5.1.5 세포분열 중기의 염색체 ... 74
5.1.6 염색체의 기본 구조 ... 77
5.2 DNA와 핵단백질의 상호작용 ... 78
5.2.1 박테리오파아지 λ의 Cro단백질과 DNA 결합부위와의 상호작용 ... 79
5.2.2 단백질에 존재하는 DNA 결합 모티프 ... 81
5.2.3 DNA 발자국법과 젤 결합 검정법 ... 84
5.3 생체막의 구조 ... 86
5.3.1 지질 이중층 ... 87
5.3.2 생체막의 유동성 ... 89
5.3.3 막단백질의 구조 ... 91
5.3.4 유동 모자이크 모델 ... 92
5.4 생체막의 신호 전달 체계 ... 95
5.4.1 수용체에 의한 자극의 수용과 전달 ... 96
5.4.2 G 단백질을 매개로 하는 신호 전달 체계 ... 97
제6장 유전물질 ... 99
6.1 유전물질로서의 DNA ... 100
6.1.1 폐렴균의 형질전환 ... 100
6.1.2 Hershey - Chase의 실험 ... 103
6.1.3 Chargaff의 법칙 : DNA의 화학적 조성 ... 105
6.2 유전물질로서의 RNA ... 106
6.3 유전정보의 전달 및 발현 ... 107
6.3.1 유전정보의 흐름체계 ... 107
6.3.2 유전암호와 접합자 이론 ... 108
6.4 유전물질의 일반적인 성질 ... 110
6.5 최초의 유전물질 : RNA ... 112
제7장 DNA복제 ... 117
7.1 DNA 복제의 특성 ... 117
7.2 DNA 복제 관여 효소 및 관련 단백질 ... 121
7.2.1 DNA 중합효소의 작용 메카니즘 ... 121
7.2.2 대장균 DNA 중합효소 Ⅰ ... 122
7.2.3 대장균 DNA 중합효소 Ⅱ ... 124
7.2.4 대장균 DNA 중합효소 Ⅲ ... 124
7.2.5 다른 원핵생물의 DNA 중합효소들 ... 127
7.2.6 DNA 리가아제 ... 127
7.2.7 헬리카제 ... 128
7.2.8 위상이성질화효소 ... 129
7.2.9 단일사슬 DNA 결합 단백질 ... 129
7.2.10 프리마아제와 프리솜 ... 130
7.3 DNA 복제 메카니즘 ... 131
7.3.1 박테리오파아지 M13 ... 134
7.3.2 박테리오파아지 øX174 ... 136
7.3.3 대장균 ... 140
7.4 진핵생물 염색체의 복제 ... 142
7.4.1 세포주기 ... 143
7.4.2 진핵생물의 DNA 중합효소 ... 143
7.4.3 진핵생물 DNA의 다중 복제 분기점 ... 146
7.4.4 염색질의 복제 ... 147
7.4.5 미토콘드리아 DNA의 복제 ... 147
7.5 DNA 복제의 개시 ... 149
7.5.1 대장균의 단백질들에 의한 복제개시 ... 150
7.5.2 SV40 원점에서의 DNA 복제개시 ... 152
7.5.3 동물세포의 복제원점 ... 152
7.5.4 선형 바이러스 DNA의 복제 ... 154
7.5.5 복제개시의 조절 ... 155
7.6 DNA 복제의 충실성 ... 155
7.6.1 존재하는 dNTP 농도의 균형 ... 155
7.6.2 주형에 상보적인 dNTP의 염기쌍 형성 ... 156
7.6.3 DNA와 중합효소의 유도된 적용 ... 156
7.6.4 3´→5´ 엑소뉴클레아제 활성에 의한 교정 ... 156
7.6.5 부적합 교정 ... 156
7.7 복제의 종결 ... 157
7.7.1 선형 DNA 분자의 복제 종결 ... 157
7.7.2 환형 DNA 복제종결 ... 158
제8장 DNA 회복 ... 161
8.1 DNA 상해 ... 161
8.1.1 물리적 요인 ... 161
8.1.2 화학적 요인 ... 165
8.2 DNA 회복 기구 ... 166
8.2.1 DNA 상해의 반전에 의한 회복 ... 166
8.2.2 절제회복 ... 169
8.2.3 후복제 회복 ... 173
8.2.4 미스 매취 회복 ... 174
8.3 DNA 회복반응과 그 조절기구 ... 176
8.3.1 폴리(ADP-리보오스) 형성 ... 176
8.3.2 SOS 회복조절기구 ... 178
8.3.3 Ada 조절기구 ... 179
8.4 회복의 생물학적 의의 ... 181
8.4.1 DNA 회복의 결손에 의한 질병 ... 181
8.4.2 노화 ... 182
제9장 RNA 생합성 ... 183
9.1 원핵생물의 전사 ... 184
9.1.1 핵심 단백질 - RNA 중합효소 ... 184
9.1.2 DNA 핵심부위 - 프로모터 ... 185
9.1.3 중합효소의 프로모터 탐색 ... 186
9.1.4 RNA 중합효소와 프로모터의 결합 ... 187
9.1.5 RNA 합성의 개시 ... 188
9.1.6 개시 속도의 조절 ... 189
9.1.7 RNA 합성의 신장 ... 190
9.1.8 신장 속도의 조절 ... 192
9.1.9 RNA 합성의 종결 ... 183
9.1.10 전사 종결의 조절 ... 195
9.2 진핵생물 유전자의 전사 ... 196
9.2.1 세 가지 RNA 중합효소와 전사 인자들 ... 196
9.2.2 RNA 중합효소 Ⅰ에 의한 전사 ... 198
9.2.3 RNA 중합효소 Ⅲ에 의한 전사 ... 199
9.2.4 RNA 중합효소 Ⅱ에 의한 전사 ... 201
9.2.5 진핵세포의 전사조절 ... 204
9.3 리보핵산의 전사후 과정 ... 205
9.3.1 RNA 스플리싱 ... 205
9.3.2 스플리싱 부위 ... 207
9.3.3 갈고리(lariat)구조 형성을 통한 스플리싱 ... 207
9.3.4 스플리스오솜 ... 208
9.3.5 그룹 Ⅱ 인트론 ... 209
9.3.6 선택적 스플리싱 ... 211
9.3.7 tRNA 스플리싱 ... 212
9.4 촉매 RNA ... 212
9.4.1 그룹 Ⅰ 인트론 리보짐 ... 213
9.4.2 RNase P의 M1 RNA ... 215
9.4.3 망치머리형 리보짐 ... 216
9.4.4 RNA 편집 ... 217
제10장 번역 ... 219
10.1 유전암호 ... 219
10.1.1 유전암호의 해독 ... 220
10.1.2 유전암호의 특성 ... 222
10.2 운반 RNA ... 225
10.2.1 운반 RNA의 구조 ... 225
10.2.2 tRNA의 3차 구조 ... 229
10.2.3 Wobble 이론 ... 229
10.2.4 아미노산의 tRNA에의 결합 ... 230
10.2.5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 ... 231
10.2.6 억제 tRNA ... 232
10.3 리보솜 ... 234
10.3.1 화학적 조성 ... 234
10.3.2 리보솜 RNA ... 237
10.3.3 리보솜의 재구성 ... 238
10.3.4 리보솜의 입체구조 ... 238
10.4 단백질 합성 ... 241
10.4.1 단백질 합성의 개시 ... 243
10.4.2 신장반응 ... 244
10.4.3 단백질 합성의 종결 ... 247
10.5 진핵생물에서의 단백질 합성 ... 248
10.5.1 리보솜 ... 248
10.5.2 개시 tRNA ... 250
10.5.3 번역개시코돈 ... 250
10.5.4 개시복합체 ... 250
10.5.5 신장인자 및 종결인자 ... 252
10.6 단백질 합성의 저해 ... 253
10.6.1 스트렙토마이신 ... 253
10.6.2 클로람페니콜 ... 254
10.6.3 퓨로마이신 ... 254
10.6.4 디프테리아 독소 ... 255
10.7 번역 후의 단백질의 변형 ... 255
10.7.1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한 절단 ... 256
10.7.2 단백질의 측쇄변형 ... 256
제11장 유전자의 발현과 그 조절 ... 257
11.1 원핵생물의 유전자 조절 기구 ... 257
11.1.1 세균의 오페론 ... 257
11.1.2 전사 조절 화합물 ... 268
11.1.3 전사조절 단백질들의 활성 조절 ... 270
11.1.4 박테리오파아지 λ에서의 유전자 발현의 조절 ... 273
11.1.5 번역 단계에서의 유전자 발현의 조절 ... 276
11.2 진핵생물의 유전자 조절기구 ... 277
11.2.1 전사 단계에서의 조절 ... 283
11.2.2 DNA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의 조절 ... 302
11.2.3 전사후 단계에서의 발현조절 ... 310
제12장 돌연변이 ... 323
12.1 돌연변이의 개념과 역사적 고찰 ... 323
12.2 돌연변이 빈도 ... 326
12.3 돌연변이의 발생 - 복제 잘못과 회복 잘못 ... 328
12.4 돌연변이의 유형 ... 330
12.4.1 DNA의 염기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형 ... 330
12.4.2 유전자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 332
12.4.3 개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 335
12.5 복귀돌연변이와 억제 ... 337
12.6 돌연변이원과 발암원 및 이의 검정법 ... 340
12.6.1 돌연변이원 ... 341
12.6.2 돌연변이 유발성과 돌연변이원의 검정법 ... 346
12.6.3 DNA 다형성과 인체 돌연변이 부위 검출 ... 352
12.6.4 돌연변이와 발암원 ... 353
12.7 세포내·외 돌연변이 제조법 ... 355
제13장 박테리오파아지 ... 359
13.1 파아지의 일반적인 특성 ... 359
13.1.1 파아지의 조성 및 구조 ... 360
13.2 파아지의 생활사 ... 362
13.2.1 용균환 ... 363
13.2.2 용원환 ... 367
13.3 파아지의 숙주 특이성 ... 368
13.3.1 파아지 수용체의 존재 ... 368
13.3.2 숙주 제한과 숙주 변형 ... 368
13.4 대표적인 파아지 ... 369
13.4.1 대장균 파아지 T4 ... 369
13.4.2 대장균 파아지 T7 ... 379
13.5 대장균 파아지 λ ... 379
13.5.1 λ유전자와 조절부위의 구성 ... 380
13.5.2 파아지 λ의 용균환 ... 382
13.5.3 파아지 λDNA의 복제 ... 383
13.5.4 파아지의 성숙 ... 384
13.5.5 용원환 ... 385
13.5.6 용원환의 성립 ... 387
13.5.7 어떤 요인이 파아지 λ가 항상 용원환을 형성하는 것을 막는가? ... 388
13.5.8 용균환과 용원환의 결정 ... 389
13.5.9 용원체와 연관된 다른 유전자 ... 390
13.5.10 유도작용 ... 391
제14장 플라스미드 ... 393
14.1 플라스미드의 발견 ... 394
14.2 플라스미드의 분류 ... 395
14.3 플라스미드의 확인 방법 ... 396
14.4 플라스미드의 분리 및 정제 ... 397
14.5 플라스미드의 구조 ... 398
14.6 F 플라스미드와 접합 ... 399
14.6.1 F 플라스미드의 유전자 구성과 기능 ... 400
14.6.2 성 필리(Sex pili) ... 401
14.6.3 DNA 전달 ... 402
14.6.4 고빈도 재조합 균주를 이용한 대장균의 염색체 지도작성 ... 404
14.7 플라스미드의 복제와 비공존성 현상 ... 406
14.7.1 ColE1의 복제 ... 407
14.7.2 전달성 플라스미드의 복제 ... 408
14.7.3 플라스미드 복제조절 기구 ... 409
14.7.4 비공존성 현상 ... 410
14.8 플라스미드의 유용 유전인자들 ... 412
14.8.1 항생제 저항성 플라스미드 ... 413
14.8.2 금속 내성 플라스미드 ... 415
14.8.3 플라스미드 유래의 제한효소와 변형효소 ... 416
14.8.4 Col 플라스미드 ... 417
14.8.5 대사 관련 플라스미드 ... 418
14.8.6 Ti 플라스미드와 Sym 플라스미드 ... 420
14.9 진핵생물의 플라스미드 ... 423
14.9.1 핵 플라스미드 ... 424
14.9.2 미토콘드리아 플라스미드 ... 426
14.9.3 고등식물의 플라스미드 ... 429
14.10 유전자 클로닝을 위한 운반체 플라스미드 ... 430
14.10.1 pBR322 ... 432
14.10.2 코스미드 운반체 ... 432
14.10.3 Bacillus 숙주계 운반체 ... 432
14.10.4 Streptomyces 숙주계 운반체 ... 434
14.10.5 효모 숙주계 운반체 ... 434
14.10.6 식물체의 유전자 운반체 ... 435
제15장 전위인자 ... 437
15.1 유전적 불안정성과 전위인자의 발견 ... 437
15.2 세균의 전위인자 ... 439
15.2.1 IS 전위인자 ... 439
15.2.2 전위작용 과정 ... 442
15.2.3 전위 중간체 ... 444
15.2.4 TnA 전위인자계의 전위작용 ... 444
15.2.5 세균 전위인자의 의학적 의미 ... 447
15.3 진핵생물의 전위인자 ... 449
15.3.1 효모 Ty 요소 ... 449
15.3.2 옥수수의 트란스포존 ... 451
15.3.3 초파리의 전위인자 ... 454
15.4 전위인자의 유전적 및 진화적 의의 ... 458
15.4.1 돌연변이와 염색체 절단 ... 458
15.4.2 유전분석에서의 이용 ... 458
15.5 고등생물 형질전환에의 이용 ... 459
15.5.1 진화학적 논제 ... 460
제16장 진핵생물 바이러스 ... 463
16.1 바이러스의 본질 ... 464
16.2 바이러스의 구조와 조성 ... 465
16.2.1 캡시드 단백질 ... 465
16.2.2 바이러스의 핵산 ... 469
16.2.3 외피 ... 471
16.3 바이러스의 증식 ... 472
16.3.1 흡착 ... 473
16.3.2 침투 ... 474
16.3.3 탈피 ... 475
16.3.4 유전자 발현 과정 ... 475
16.3.5 조합 ... 484
16.3.6 방출 ... 485
16.4 바이러스와 숙주와의 관계 ... 485
16.4.1 바이러스와 세포의 관계 ... 485
16.4.2 바이러스와 개체의 관계 ... 487
16.5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메카니즘 ... 489
16.5.1 면역방어 ... 489
16.5.2 비면역방어 ... 491
16.5.3 인터페론 ... 492
16.6 바이러스와 암 ... 495
16.6.1 세포 변형 ... 496
16.6.2 DNA 종양바이러스 ... 497
16.6.3 RNA 종양바이러스와 암유전자 ... 499
제17장 재조합 DNA와 유전공학 ... 503
17.1 DNA와 단백질 합성 ... 505
17.2 단백질 유전자의 확보 ... 507
17.3 DNA 설계와 합성 ... 508
17.4 DNA 재조합에 사용되는 효소 ... 510
17.5 유전자의 정보분석 ... 512
17.6 유전자 운반체와 유전자 재조합 실험 ... 512
17.7 유전자 발현 ... 514
17.8 단백질의 생체구조의 조립 ... 515
17.9 단백질공학 ... 516
17.10 중합효소 연쇄반응과 응용 ... 517
17.11 유전병과 유전자 치료 ... 518
17.12 유전체 연구 ... 518
17.13 유전공학의 응용 ... 519
제18장 단백질 공학 ... 521
18.1 단백질공학의 방법 ... 523
18.1.1 단백질의 화학적 변형 ... 523
18.1.2 화학적 돌연변이 ... 524
18.1.3 합성단백질 또는 인공단백질 ... 525
18.1.4 유전자 조작에 의한 단백질공학 ... 526
18.2 이용범위 및 실용 예 ... 535
18.2.1 체내 흡수도 증가를 위한 인슐린의 변형 ... 536
18.2.2 반감기 증가를 위한 tPA의 변형 ... 537
18.2.3 γ인터페론 생산량의 증가 ... 538
18.2.4 새로운 스트렙토키나제의 개발 ... 539
18.2.5 항원에 대한 친화도와 특이성이 증가된 항체개발 ... 540
18.2.6 촉매항체의 제조 ... 542
18.3 단백질공학의 전망 ... 543
제19장 종양 면역학 ... 545
19.1 면역 반응의 정의 ... 546
19.2 암의 정의 ... 548
19.3 종양항원 ... 549
19.3.1 분류 ... 549
19.3.2 태생기 항원 ... 549
19.3.3 종양 항원의 임상적 응용 ... 550
19.4 면역 방어 기전 ... 550
19.4.1 T 림프구와 B 림프구 ... 551
19.4.2 자연 치사 세포 ... 551
19.4.3 단핵 탐식 세포계 ... 551
19.4.4 면역 감시 ... 552
19.4.5 숙주 면역 감시로부터의 도피 ... 552
19.5 암의 바이오치료법 ... 553
19.5.1 종양백신 ... 555
19.5.2 생체 반응 조절 물질 ... 557
19.5.3 양자 세포면역 치료법 ... 559
19.5.4 친화성 칼럼을 이용한 항체 제거 ... 560
19.6 종양면역학과 암 바이오치료법의 전망 ... 56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