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新羅社會의 형성
新羅의 風土와 그 역사적 특성-新羅史 序說
1. 머리말 ... 2
2. 新羅의 영역 확대와 성공의 秘訣 ... 3
3. 洛東江流域과 慶州盆地의 지리적 환경 ... 9
4. 王京 第一主義에 따른 西北邊境의 封建地帶化 ... 15
5. 맺는말 ... 21
干老傳說의 世界-新羅史上의 英雄時代
1. 머리말 ... 23...
더보기
목차 전체
Ⅰ. 新羅社會의 형성
新羅의 風土와 그 역사적 특성-新羅史 序說
1. 머리말 ... 2
2. 新羅의 영역 확대와 성공의 秘訣 ... 3
3. 洛東江流域과 慶州盆地의 지리적 환경 ... 9
4. 王京 第一主義에 따른 西北邊境의 封建地帶化 ... 15
5. 맺는말 ... 21
干老傳說의 世界-新羅史上의 英雄時代
1. 머리말 ... 23
2. 干老의 系譜·武勳·最後 ... 24
3. 干老 관계 記事의 비판 ... 29
4. 영웅시대론과 干老의 시대 ... 34
5. 英雄敍事詩로서의 干老 전설 ... 38
6. 맺는말 ... 41
新羅 中古期 淸道 山西지방의 戰略的 중요성-西畿停의 起源문제에 부쳐서
1. 머리말 ... 42
2. 新羅의 성장과 伊西國 병합 ... 43
3. 對加耶諸國 진출의 戰略的 要衝으로서의 淸道지방 ... 46
4. 豆良彌知停(西畿停)의 설치 ... 49
5. 護國神의 住處 穴禮의 위치 문제 ... 55
6. 맺는말 ... 57
Ⅱ. 新羅社會論
新羅의 骨品制度와 日本의 氏姓制度
1. 머리말 ... 60
2. 骨品制度의 개관 ... 62
3. 氏姓制度에 대한 通說과 新說 ... 70
4. 八色姓 제정과 골품제도 ... 75
5. 맺는말-하나의 展望 ... 82
新羅社會와 佛敎-國家權力과 身分制社會와의 관련에서
1. 머리말-社會階層과 思考體系의 연관성 ... 85
2. 佛敎 受容의 정치·사회사적 의의 ... 87
3. 企劃的인 國家佛敎의 전개 ... 90
4. 中代의 국가권력과 華嚴思想 ... 95
5. 阿彌陀淨土信仰의 兩面性 ... 100
6. 實力主義時代의 到來와 禪宗 ... 104
7. 맺는말 - '이데올로기'에서 '유토피아'로 ... 108
新羅 衰亡史觀의 槪要
1. 머리말 ... 112
2. 新羅의 衰亡 원인에 대한 諸說 ... 113
3. 諸說의 總括的 검토
(1) 귀족·사찰의 대토지 경영과 이로 인한 생산력의 減退라는 문제에 대하여 ... 118
(2) 불교사상의 나쁜 영향이라는 문제에 대하여 ... 121
(3) 장기간의 국제평화가 국민정신을 타락시켰다는 문제에 대하여 ... 122
(4) 영토의 확장이 멸망의 원인이라는 문제에 대하여 ... 123
(5) 東아시아 국제관계의 변화라는 문제에 대하여 ... 124
4. 맺는말-지방세력과 국가권력의 문제 ... 127
Ⅲ. 統一期 新羅社會의 변화
新羅 興德王代의 정치와 사회
1. 머리말 ... 136
2. 中代에서 下代로-중대의 정치적 歸結 ... 138
3. 興德王代의 시대적 배경-下代 초의 정치·경제·사회적 難局
(1) 정치적 측면 ... 114
(2) 사회경제적 측면 ... 149
4. 興德王의 個性과 卽位事情
(1) 흥덕왕의 個性과 정치적 經綸 ... 154
(2) 흥덕왕의 즉위를 둘러싼 몇 가지 의문 ... 157
5. 興德王代 정치적 課業과 治績
(1) 對外關係의 긴장과 西南海岸 警備 강화 ... 162
(2) 집권체제의 정비와 834년의 敎書 ... 168
(3) 佛敎界의 새로운 동향과 華嚴結社의 의의 ... 176
6. 맺는말 ... 180
薛仲業과 淡海三船의 交歡-統一期 新羅와 日本과의 문화적 교섭의 한 斷面
1. 머리말 ... 182
2. 薛仲業의 渡日使行에 대한 諸記錄 ... 184
3. 日本國 '眞人'(혹은 '上宰')은 淡海三船이다 ... 188
4. 맺는말 ... 192
張保皐와 그의 海上王國
1. 머리말-東亞史上의 장보고 ... 195
2. 張保皐의 출신과 在唐 활동
(1) 장보고의 鄕邑과 신분 ... 198
(2) 渡唐의 계기와 군부대 경력
1) 渡唐의 계기 ... 201
2) 徐州 武寧軍에서의 '軍中小將' ... 203
3. 張保皐의 귀국과 淸海鎭 설치
(1) 귀국의 동기 ... 205
(2) 淸海鎭 설치 ... 208
4. 海上王國의 번영
(1) 新羅를 중심으로 한 東亞 삼국의 국제무역환경 ... 211
(2) 三角貿易의 독점
1) 在唐 신라인 사회의 활용 ... 213
2) 일본과의 交易 ... 219
5. 海上王國의 몰락
(1) 왕위계승쟁탈전에의 介入과 納妃 문제의 결렬 ... 222
(2) 장보고의 被殺과 淸海鎭 폐쇄 ... 225
6. 맺는말-장보고의 遺産 ... 227
Ⅳ. 花郞徒와 新羅社會
新羅 花郞徒 연구의 現段階
1. 머리말 ... 232
2. 團體史的 관점에서-新羅社會와 花郞徒의 史的 전개 ... 233
3. 思想史的 관점에서-이른바 '風流道'의 源流와 그 특성 ... 243
4. 마르크스주의 역사가의 花郞觀 ... 252
5. 맺음말 ... 256
新羅 上古의 戰爭과 遊戱-'風流'의 源流를 찾아서
1. 머리말 ... 258
2. 戰爭記事에 보이는 遊戱的 요소 ... 259
3. 맺음말-유희의 발전을 통해서 본 新羅社會史의 한 斷面 ... 263
新羅社會와 花郞徒-身分制社會에서의 靑少年運動
1. 머리말 ... 267
2. 骨品制社會의 성립과 전개 ... 268
3. 화랑도의 源流와 제정 ... 273
4. 화랑도의 골품제사회 緩衝劑로서의 기능 ... 277
5. 골품제사회의 변동과 화랑도의 변질 ... 280
5. 맺는말 ... 286
花郞像의 변천에 관한 覺書-花郞文化論에 부쳐서
1. 머리말 ... 289
2. 戰爭에서 '놀이'로 ... 291
3. 國學의 영향 ... 295
4. 八關會와 仙郞 ... 300
5. 맺는말 ... 306
索引 ... 30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