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내면서 ... 11
서장 ... 21
제1부
16, 17세기 재지사족의 향촌지배와 그 구조
제1장 조선 전기 안동부 재지사족의 향촌지배 ... 45
1. 머리말 ... 45
2. 선초 재지사족의 향촌지배와 그 한계 ... 48
1) 재지사족과 유향소 치폐(置廢) ... 48
2) 재지사족과 이족(吏族) ... 57
3. 재지사족...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내면서 ... 11
서장 ... 21
제1부
16, 17세기 재지사족의 향촌지배와 그 구조
제1장 조선 전기 안동부 재지사족의 향촌지배 ... 45
1. 머리말 ... 45
2. 선초 재지사족의 향촌지배와 그 한계 ... 48
1) 재지사족과 유향소 치폐(置廢) ... 48
2) 재지사족과 이족(吏族) ... 57
3. 재지사족의 향촌지배 체제 확립과정과 그 내용 ... 62
1) 16세기의 향안과 입록인물 ... 63
2) 향안의 정비와 재지사족 ... 72
3) 향규의 정비와 그 내용 ... 80
4. 맺음말 ... 96
제2장 16세기 향촌문제와 재지사족의 대응 - 「예안약조」(禮安鄕立約條)를 중심으로 ... 101
1. 머리말 ... 101
2. 16세기 향촌문제와 재지사족 ... 104
3. 「예안약조」의 성립과 추이 ... 125
1) 성립과정과 배경 ... 127
2) 내용과 성격 ... 132
4. 「예안약조」의 추이와 「금단규약」(禁斷規約)의 성립 ... 139
5. 맺음말 ... 142
제3장 임란 전후 상주지방 사족의 동향 ... 145
1. 머리말 ... 145
2. 16세기 상주지방 사족의 향촌지배 ... 147
3. 상주지방 사족의 의병활동 ... 159
1) 상주와 임란 초의 상황 ... 159
2) 의병의 조직과 구성 ... 162
3) 의병의 활동과 그 한계 ... 167
4. 임란 후 사족의 동향 ... 182
1) 임란 후의 향촌사회와 사족 ... 182
2) 향촌지배 조직의 정비 ... 188
3) 서원의 건립 ... 191
5. 맺음말 ... 197
제4장 16세기 안동지방의 동계·동약 ... 199
1. 머리말 ... 199
2. 안동지방 동계·동약의 자료 ... 201
3. 인적 구성과 지역적 범위 ... 205
4. 동계·동약의 기능 ... 211
5. 임란 후 동계·동약의 변화양상 ... 220
6. 맺음말 ... 225
제5장 16, 17세기 재지사족의 향촌지배와 그 성격 ... 229
1. 머리말 ... 229
2. 16세기 사회문제와 재지사족의 향촌지배 ... 230
3. 사족 주도 향촌지배 체제의 확립과정과 구조 ... 234
1) 향촌지배 체제의 확립과정 ... 234
2) 향촌지배의 조직과 규약 ... 239
4. 향촌지배의 내용과 성격 ... 245
1) 수령·향리·농민과의 관계 ... 245
2) 교화(敎化)와 부세운영 ... 248
3) 향촌지배의 성격 ... 251
5. 맺음말 ... 254
제2부
조선 후기 재지사족의 촌락지배와 그 해체과정
제1장 국가의 촌락지배 정책의 추이와 한계 ... 261
1. 머리말 ... 261
2. 촌락지배 정책의 추이와 내용 ... 263
3. 면리제의 전개와 한계 ... 275
1) 면·리의 편제와 사족 ... 275
2) 면리제의 운영과 사족 ... 285
3) 오가작통의 실제 ... 293
4. 맺음말 ... 303
제2장 조선 후기 동성촌락의 형성과 사회적 기능 ... 305
1. 머리말 ... 305
2. 촌락사회의 변화와 재지사족의 촌락지배 ... 308
1) 17세기의 신분구성과 『단성향안』 ... 308
2) 18세기 신분구성의 변화와 촌락지배 ... 318
3. 동성촌락의 형성과 발달 ... 327
1) 형성과정 ... 327
2) 형성과 발달의 역사적 배경 ... 337
4. 동성촌락의 사회경제적 구조와 갈등관계 ... 346
1) 사회경제적 구조 ... 347
2) 갈등관계와 촌락지배의 해체과정 ... 355
5. 맺음말 ... 374
제3장 18, 19세기 동계·동약 실시와 그 한계 - 대구 부인동동약(夫仁洞洞約)을 중심으로 ... 379
1. 머리말 ... 379
2. 부인동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최씨가 ... 382
1) 부인동과 최씨가 ... 382
2) 부인동의 사회경제적 변화 ... 385
3. 부인동동약의 실시와 「강사창계좌목」 ... 395
1) 동약 실시의 배경과 과정 ... 395
2) 「강사창계좌목」의 분석 ... 410
4. 동계·동약에 대한 저항과 분쟁 ... 418
1) 실시의 한계와 저항의 일반적 양상 ... 418
2) 부인동동약을 둘러싼 분쟁과 대립관계 ... 429
5. 맺음말 ... 455
제4장 조선 후기 '분동'(分洞)과 그 성격 ... 461
1. 머리말 ... 461
2. 분동의 전개와 양상 ... 463
1) 리 분화의 일반적 양상 ... 463
2) 『단성현호적대장』상의 리 분화 ... 467
3. 분동의 사례 검토 : 고문서 자료의 분석 ... 487
4. 공동납(共同納)의 전개와 분동 ... 501
5. 맺음말 ... 520
제3부
변혁기의 민중운동과 향촌지배층의 동향
제1장 19세기 향촌사회 재배구조와 대립관계 ... 525
1. 머리말 ... 525
2. 사족의 향권(鄕權)상실과 새로운 세력 ... 527
1) 향권 상실의 배경 ... 527
2) 새로운 세력의 성장과 그 한계 ... 532
3. 수령권의 강화와 향촌사회의 대립관계 ... 538
1) 수령권 강화의 한계와 수탈구조의 형성 ... 539
2) 부세운영과 향촌사회의 대립관계 ... 544
4. 맺음말 ... 558
제2장 1894년 농민전쟁기 향촌지배층의 동향 ... 563
1. 머리말 ... 563
2. 향촌지배층과 그 존재형태 ... 567
3. 농민전쟁과 향촌지배층의 동향 ... 578
1) 농민군의 지향과 향촌지배층 ... 578
2) 보수지배층의 반농민군 활동 ... 593
4. 맺음말 ... 606
참고문헌 ... 611
찾아보기 ... 62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