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4
제1장 중국 문화의 개념과 특징 ... 17
1. 문화(文化)의 개념을 둘러싼 문제들 ... 19
2. 중국 문화의 이해와 관련된 역사 인식 ... 23
(1) 상고주의(尙古主義)에 바탕을 둔 역사 인식 ... 24
(2) 역사 문헌의 자료적 가치와 역사 서술의 기본 원칙 ... 27
3. 중국 문화의 ...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4
제1장 중국 문화의 개념과 특징 ... 17
1. 문화(文化)의 개념을 둘러싼 문제들 ... 19
2. 중국 문화의 이해와 관련된 역사 인식 ... 23
(1) 상고주의(尙古主義)에 바탕을 둔 역사 인식 ... 24
(2) 역사 문헌의 자료적 가치와 역사 서술의 기본 원칙 ... 27
3. 중국 문화의 변천 과정 및 시기별 특징 ... 33
(1) 중국 문화의 맹아 ... 33
(2) 중국 문화의 형성 ... 37
(3) 중국 문화의 융합 ... 40
(4) 중국 문화의 총결 ... 45
제2장 중국 문화의 사상적 토대 : 철학 ... 49
1. 제자 백가의 시대 : 선진 유학(先秦儒學) ... 51
(1) 중국 철학 사상의 초석 : 유가(儒家) ... 52
1) 인(仁)과 예(禮)에 바탕을 둔 사상가 공자 ... 54
2) 신분 증시의 가치관과 정명론(正名論) ... 58
3) 공자 사상의 계승자 맹자(孟子)와 순자(荀子) ... 64
(2) 자연주의자 도가의 탄생 ... 67
1) 도가의 창시자 노자(老子) : <도덕경(道德經)> ... 71
2) 노자의 계승자 장자(莊子) ... 73
(3) 유가의 이단적 지파 : 겸애주의자 묵자(墨子) ... 80
(4) 논리주의적 사상가 : 명가(名家) ... 84
(5) 엄격한 법치주의자 : 한비자(韓非子) ... 86
2. 철학 사상의 융합과 발전 : 양한(兩韓) 경학(經學) ... 90
(1) 한대 철학의 성립 조건과 일반적 특징 ... 90
(2) 천인감응(天人感應)관념의 형성 : 동중서(董仲舒) ... 92
(3) 양웅(揚雄)과 회의적 이성주의자 왕충(王充) ... 98
3. 위진 현학(魏晋玄學) : 현학의 근원과 분파 ... 101
4. 신유학(新儒學)의 등장 : 송명 이학(宋明理學) ... 107
(1) 송명 유학(신유학)의 분파 : 이학과 심학 ... 110
(2) 송명 유학의 흥기 배경 : 역사적 상황 ... 111
(3) 송명 이학의 집대성자 주희(朱熹) ... 115
(4) 신유학의 이단 : 양명학(陽明學)의 탄생 ... 117
5. 실용주의 철학 : 청대 실학(淸代實學) ... 121
(1) 이학과 심학에 대한 비판과 계승 ... 121
(2) 고증학파(考證學派) : 고염무(顧炎武)와 대진(戴震) ... 126
(3) 공양학파(公羊學派) : 강유위(康有爲), 담사동(譚嗣同), 양계초(梁啓超) ... 128
제3장 중국 문화의 내세적·현세적 지향 : 종교 ... 133
1. 종교의 개념 규정 ... 135
2. 원시 종교의 궤적 ... 138
(1) 인류 탄생의 토템적 요소 ... 141
(2) 제사를 통한 의식 : 교매 의식 ... 146
(3) 개벽(開闢)신화와 무술(巫術) ... 150
3. 조상 숭배와 풍수설(風水設)의 관계를 통해서 본 종교적 잔영 ... 156
4. 현세주의적 종교 : 유교 ... 163
(1) 유교의 형성 과정 : 예악 교화 전통 ... 163
(2) 전통 제례에 대한 중시 : 공자의 종교관 ... 167
(3) 종교적 체제로의 발전과 쇠퇴 ... 171
(4) 비종교적 인문 사조에 대한 반동 : 묵자 ... 172
5. 도교(道敎)의 탄생 : 주술과 종교의 접목 ... 175
(1) 종교 부정론자 노자와 그 학설의 계승자 장자 ... 176
(2) 조직적 민간 종교로서의 의미 획득 ... 180
6. 불교 : 고전적 중국 문화의 대한 도전과 응전 ... 187
(1) 불교의 여러 종파 ... 193
(2) 불교의 교리 ... 196
1) 사성체(四聖諦), 팔정도(八正道) ... 196
2) 연기(緣起), 윤회(輪回) ... 197
3) 무상(無常)·무아(無我)와 열반(涅槃) ... 199
7. 기타 종교들 : 회교(回敎)와 기독교(基督敎) ... 201
제4장 중국 문화의 심미적 표출 : 미술 ... 205
1. 유가와 도가를 통해서 본 중국의 예술 정신 ... 206
(1) 공자의 회화에 대한 계시 : 회사 후소론(繪事後素論) ... 206
(2) 노장의 심미관과 예술 정신의 탄생 ... 208
1) 철저한 자연주의자 : 노자 ... 210
2) 주객 합일(主客合一)의 미적 관조주의자 : 장자 ... 213
(3) 실용(實用)과 사실(寫實)위주의 미론 제시 : 한비자 ... 218
2. 중국 회화의 시대별 성격 ... 221
(1) 도안 미술의 탄생과 실용 회화 시대 : 삼대(三代)와 춘추 전국 시대 ... 223
(2) 예교(禮敎) 미술의 시대 : 진한 시대 ... 228
(3) 본격적인 회화의 등장 : 위진 남북조 시대 ... 232
1) 중국 회화의 특징적 산물 : 산수화의 탄생 ... 233
2) 노장 철학관의 심미적 계승 : 수묵화 ... 238
3) 위진 남북조 시대의 삼대 화가 : 고개지(顧愷之), 육탐미(陸探微), 장승요(張僧繇) ... 242
4) 중국 회화 이론 비평의 기초 제시 : 사혁(謝赫)의 육법(六法) ... 247
5) 최초의 산수화론 : 종병(宗炳)의 <화산수서(畵山水序)>와 왕미(王微)의 <서화(敍畵)> ... 254
(4) 산수화의 성숙기 : 수당 오대(隨唐五代)의 회화 ... 257
1) 금벽 산수화와 수묵 산수화의 발전 ... 257
2) 중국 최초의 전기체 회화사 : <역대 명화기(歷代名畵記)> ... 265
3) 산수화의 지위 확립 : 형호(荊浩) ... 268
(5) 중국 회화의 규범 확립과 대전환기 : 송대(宋代) ... 272
1) 화가의 분류 ... 272
2) 산수화의 가치 평가 : 곽희 ... 276
3) 문인화의 등장 ... 279
(6) 원(원)·명(明)·청(淸)대의 회화 ... 287
1) 사생(寫生)과 독창성의 중시 : 원대 ... 287
2) 긍정 화원 화가의 등장과 남북 분종론의 제기 : 명대 ... 291
3) 복고주의 화풍 : 청대 ... 298
제5장 중국 문화의 언어적 표현 : 문학 ... 303
1. 중국 문학 관념의 형성 과정 ... 304
(1) 중국 문학 관념의 변천 양상 : 문질론(文質論)의 입장에서 ... 304
(2) 중국 문학 사상의 두 흐름 ... 308
1) 유가 ... 308
2) 도가 : 자연 숭상과 무위를 주장함 ... 314
2. 유학 전성 시대의 문학 사상 ... 317
(1) 유가 시가 이론의 집대성 : <모시대서(毛詩大序)> ... 317
(2) 사마천(司馬遷)의 문학 창작론 : '발분저서(發憤著書)' ... 320
(3) 문학의 심미적 가치 인정 : 양웅(揚雄) ... 324
(4) 정통 문학관에 대한 비판 : 왕충(王充) ... 328
3. 순문학의 자각과 문학의 독자적 가치 추구 ... 330
(1) 위진 현학에 있어서 언의지변(言意之辯)의 논쟁 ... 331
(2) 제량(齊梁)문단의 신구 논쟁(新舊論爭) ... 332
(3) 인물 품평과 문학 사상의 일대 변화 ... 334
(4) 문기론(文氣論)의 제시 : 조비(曹丕)의 <전론·논문(典論·論文)> ... 337
(5) 순문학적 관점에서의 문학론 : 육기(陸機)의 <문부(文賦)> ... 340
(6) 투철한 심미의식의 체계적 저술 : 유협(維협)의 <문심조룡(文心雕龍)> ... 343
(7) 최초의 시가 품평서의 탄생 : 종영(鐘嶸)의 <시품(詩品)> ... 347
4. 시가(詩歌) 황금 시대의 문학 사조 ... 350
(1) 당시(唐詩)의 특징과 시기적 특성 ... 350
(2) 백거이(白居易)와 원진(元진)의 문학 사회학적 구현 ... 356
(3) 한유(韓愈)와 유종원(柳宗元)의 고문 운동(古文運動)과 복고 사조의 형성 ... 360
(4) 당대 심미 이론의 집대성 : 사공도(司空圖)의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 ... 363
5. 신유학 시기의 문학관 ... 366
(1) 제2차 고문 운동 : 구양수(歐陽修)와 소식(蘇軾), 그리고 황정견(黃庭堅) ... 366
(2) 문학과 철학의 만남 : '이선유시(以禪兪詩)' ... 370
6. 복고주의 문학 사조의 발전 ... 373
(1) 전후 칠자(前後七子)의 문학 사상 ... 373
(2) 양명 심학(陽明心學)과 문학 사조의 흥기 : 공안파(公安派) ... 376
(3) 왕부지(王夫之)와 섭섭(葉燮)의 시가 이론 ... 380
(4) 원매(袁枚)의 성령설(性靈設)과 옹방강(翁方綱)의 기리설(肌理設) ... 383
(5) 동성파(棟城派)의 문학 이론 ... 385
참고문헌 ... 389
색인 ... 39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