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B>권호명 : < / B>1
제1장 서문
1. 문학사의 단위 ... 13
2. 시대 구분 ... 15
제2장 1900년대 문학 (1894∼l909)
1. 배경 ... 23
1) 갑오경장 ... 23
2) 신문학의 모색 ... 24
2. 시 ... 24
1) 개화기 가사 ... 25
2)「용담...
더보기
목차 전체
<B>권호명 : < / B>1
제1장 서문
1. 문학사의 단위 ... 13
2. 시대 구분 ... 15
제2장 1900년대 문학 (1894∼l909)
1. 배경 ... 23
1) 갑오경장 ... 23
2) 신문학의 모색 ... 24
2. 시 ... 24
1) 개화기 가사 ... 25
2)「용담유사(龍潭遺辭)」 ... 27
3) 독립(獨立)·애국가(愛國歌)류 ... 29
4) 창가 ... 29
5) 의병가(義兵歌) ... 30
6) 개화기 시가의 주제의식유형 ... 31
7) 개화기 시가의 문학사적 의의 ... 31
3. 소설 ... 32
1) 역사·전기 소설 ... 32
2) 토론체 소설 ... 33
3) 번역과 번안소설 ... 34
4) 개화기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 34
5) 신소설 ... 35
(1) 발생 요인 ... 35
(2) 신소설의 특징 ... 36
(3) 작가와 작품 ... 36
(4) 신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 39
6) 공진회 ... 39
4.희곡 ... 40
1) 개화기 희곡 ... 41
2) (쇼경과 안즘방이)의 희곡사적 의의 ... 41
3) (은세계)의 주제 ... 42
4) 대표적인 극작가 ... 43
5. 비평 ... 44
1) 서발비평(序跋批評) ... 44
2) 실천 비평 ... 45
3) 이론 비평 ... 47
4) 개화기 비평의 문학사적 의의 ... 49
제3장 1910년대 문학
1. 배경 ... 51
1) 한일합방과 주권상실 ... 51
2) 민족운동 ... 52
2. 시 ... 52
1) 1910년대 시의 의의 ... 53
2) 신체시의 등장 ... 53
3) 신체시의 특징 ... 54
4) 최남선의 신체시 ... 54
5) 이광수의 우국시 ... 57
6) 신채호의 애국시 ... 59
7) 상징주의 시 ... 60
3. 소설 ... 62
1) 1910년대 문학의 특징과 경계 ... 62
2) 1910년대 소설 속의 세계관 ... 63
3) 신소설 작가와 작품 ... 63
4) 신채호의 문학 ... 66
5) 이광수의 문학 ... 68
(1) 민족 개조론 ... 69
(2) 이광수의 역사의식 ... 70
(3) 무정의 문학사적 의의 ... 71
(4) 이광수 문학의 위상 ... 73
4. 희곡 ... 74
1) 신파극의 용어 ... 74
2) 신파극의 기점 ... 75
3) 신파극의 특성 ... 76
4) 신파극의 주제 ... 77
5) 최초의 연극인 ... 80
6) 신파극의 본질 ... 81
7) 최초의 희곡 (병자삼인) ... 82
8) 대표적인 작가 ... 82
5. 비평 ... 83
1) 상징문학론 ... 84
2) 민족문학론 ... 85
3) 효용문학론 ... 85
제4장 1920년대 문학
1. 배경 ... 87
1) 3·1 운동의 결과 ... 88
2) 1920년대 문학의 의의 ... 89
2. 시 ... 90
1) 형성배경 ... 90
2) 민요시 ... 91
3) 로만시 ... 98
4) 민족의식 ... 103
5) 전통적 서정시 ... 105
6) 탈감상의 시 ... 107
7) 시조의 부흥 ... 110
8) 프로시 ... 114
9) 동인지 ... 116
(1) 창조(創造) ... 117
(2) 폐허(廢墟) ... 118
(3) 장미촌(薔薇村) ... 119
(4) 백조(白潮) ... 120
(5) 영대(靈臺) ... 122
(6) 개벽(開關) ... 122
(7) 금성(金星) ... 122
(8) 조선문단·문예공론·해외문학 ... 123
3. 소설 ... 124
1) 근대소설의 형성과정 ... 125
2) 사실주의 정립 ... 126
(1) 김동인 ... 127
(2) 염상섭 ... 129
(3) 현진건 ... 132
3) 로맨티시즘 ... 134
4) 빈궁소설 ... 135
5) 신경향파 문학 ... 136
(1) 의의 및 형성배경 ... 137
(2) [염군사] [PASKYULA][KAPF] ... 138
(3) 카프의 해산 ... 139
(4) 신경향파 소설의 경향 ... 140
(5) 프로작가의 작품 ... 142
(6) 신경향파 소설의 성격 ... 145
6) 역사소설의 등장 ... 146
4. 희곡 ... 147
1) 근대극의 시도 ... 147
2) 신파극의 지속 ... 149
3) 토월회(土月會) ... 149
4) 대중극 ... 150
5) 실험극 ... 152
6) 최초의 희곡집 「황야에서」 ... 154
7) 사회주의 리얼리즘 ... 155
8) 대표적인 극작가 ... 156
9) 타 장르의 희곡참여 ... 159
5. 비평 ... 162
1) 민족문학론 ... 162
(1) [가갸날] 조선어 정리운동 ... 163
(2) [신간회(新幹會)] 창립 ... 164
2) 형식비평 ... 164
3) 국민문학론 ... 167
4) 절충주의 문학론 ... 168
5) 프로문학론 ... 169
(1) 내용과 형식논쟁 ... 170
(2) 제1차 방향전환론 ... 174
(3) 제2차 방향전환론 ... 177
(4) 아나키스트와의 논쟁 ... 177
(5) 대중과의 영합 ... 179
(6) 통속소설론 ... 180
(7) 대중화론 ... 181
(8) 참작방법론 ... 183
(9) 신창작 방법론 ... 184
6) 농민 문학론 ... 185
제5장 1930년대 문학
1. 배경 ... 187
1) 식민지 문학의 진로 ... 187
2) 1930년대 문학의 성과 ... 188
2. 시 ... 189
1) 1930년대 시의 주류 ... 190
2) 시문학(詩文學)파 ... 190
3) 전원파(田園派) ... 195
3) 해외문학파 ... 199
4) 모더니즘시 ... 203
5) 이미지즘시 ... 208
6) 생명파 ... 210
7) 저항시 ... 213
8) 카프시 ... 216
9) 동인지 ... 218
3. 소설 ... 221
1) 1930년대 소설의 흐름 ... 222
2) 성에로의 도피 ... 222
3) 풍자와 해학 ... 227
4) 현실비판과 도피 ... 232
5) 서정적 분위기 ... 234
6) 농민 소설 ... 234
7) 역량있는 작가 ... 240
8) 세태소설 ... 246
9) 카프작가 ... 248
10) 장편·역사소설 ... 250
7. 희극 ... 250
1) 근대 희곡의 위치 확립 ... 250
2) 토막(土幕) ... 251
3) 경향극 (양산도)·(나루)·(청춘)·(봄의 서곡)·(황혼) ... 252
4) 전통인습의 탈피 ... 256
5) 리얼리즘극 ... 258
6) 소설가의 극작 참여 ... 260
7) 군소작가 ... 261
5. 비평 ... 261
1) 물논쟁 ... 262
2) 휴머니즘론 ... 263
3) 인상비평 ... 265
4) 쾌락비평 ... 267
5) 포즈론 ... 268
6) 지성론 ... 269
7) 고발론 ... 271
8) 해외문학론 ... 272
9) 비해외문학론 ... 273
10) 풍자론 ... 274
11) 박영희 의 전향론 ... 275
12) 마르크스주의 비평 ... 277
13) 장편소설론 ... 278
14) 전통문학론 ... 278
제6장 1940년대 문학
1. 배경 ... 281
1) 좌·우 대립의 문학 ... 282
2) 8·15의 문학사적 의의 ... 284
2. 시 ... 287
1) 1940년대 시단 ... 288
2) 청록파 ... 289
3) 저 항시 ... 294
4) 토속적 서정시 ... 297
5) 감상적 서정시 ... 300
6) 월북시인 ... 302
7) 경향시 ... 305
8) 동인지 ... 308
3. 소설 ... 309
1) 해방 직후 소설의 경향 ... 309
2) 카프소설 ... 310
3) 전향소설 ... 312
4) 섬세한 감수성 ... 312
5) 귀향과 좌절 ... 314
6) 가치관의 붕괴 ... 315
7) 노동문제 ... 316
8) 농촌·향토문제 ... 317
9) 풍자와 해학 ... 320
10) 그 밖의 주요소설 ... 322
4. 희곡 ... 323
1) 극작가의 전력(轉歷) ... 324
2) 해방 직후 희곡의 흐름 ... 324
3) 친일극 ... 325
4)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 326
5) 민족주의 극작가 ... 327
5. 비평 ... 328
1) 1940년대 비평의 관심사 ... 328
2) 좌익문단의 결성 ... 329
3) 우익문단과 순수문학 ... 330
4) 좌익간의 논쟁 ... 331
(1) [조선문학건설본부]와 [조선프로레타리아문학동맹] ... 331
(2) [조선프로레타리아문학가동맹]과 [북조선예술총동맹] ... 333
5) 좌·우익 의 논쟁 ... 336
(1) 개인논쟁 ... 336
(2) 집단논쟁 ... 338
6) 우익의 정착 ... 339
7) 위기론 ... 340
8) 순수시론 ... 341
참고문헌 ... 343
참고잡지 ... 355
작가색인 ... 357
작품색인 ... 361
용어색인 ... 373
<B>권호명: < / B>2
제1장 서문
1. 문학사의 단위 ... 13
제2장 1950년대 문학
1. 배경 ... 15
1) 6·25와 분단문학 ... 15
2) 분단이 갖는 문학사적 의의 ... 16
2. 시 ... 17
1) 전후 시의 전개양상 ... 17
2) 문총구국의 시 ... 17
3) 전후 모더니즘 ... 20
4) 시적 인식의 확대 ... 28
5) 순수 서정시 ... 30
6) 전통적 서정시 ... 33
7) 존재탐구의 시 ... 34
8) 일상적 순수시 ... 38
9) 감상적 서정시 ... 41
10) 6·25와 부산시단 ... 42
3. 소설 ... 44
1) 전후소설 ... 45
2) 이데올로기 소설 ... 45
3) 전쟁 비 극 ... 46
4) 세태소설 ... 53
5) 서정성의 실현 ... 55
6) 현실저항·고발 ... 56
7) 개인사적 소설 ... 58
8) 6·25와 부산소설 ... 59
9) 여류작가 ... 61
4. 희곡 ... 63
1) 국립극장과 계몽적 리얼리즘 ... 63
2) 절충적 사실주의 ... 66
3) 전쟁의 상처 ... 67
4) 대중극 ... 68
5) 삶의 애환 ... 69
5. 비평 ... 70
1) 신세대 비평가의 등장 ... 70
2) 전통론 ... 71
3) 실존주의 비평 ... 74
4) 휴머니즘론 ... 76
5) 뉴크리터시즘 논쟁 ... 77
제3장 1960년대 문학
1. 배경 ... 81
1) 4·19와 문학적 인식전환 ... 81
2) 5·16과 문단의 통일 ... 82
3) 60년대 문학의 특성과 의의 ... 82
2. 시 ... 83
1) 60년대시의 조류 ... 83
2) 참여 시 ... 84
3) 새로운 서정시 ... 90
4) 미적 모더니즘 ... 92
5) 전통적 서정시 ... 100
6) 동인지 ... 103
7) 60년대 시의 의의 ... 104
3. 소설 ... 104
1) 60년대 소설의 갈래 ... 105
2) 실험적 모더니즘 ... 106
3) 비판적 사실주의 ... 108
4) 전쟁소재소설 ... 110
5) 소외계층소설 ... 112
6) 이데올로기소설 ... 114
7) 농민문제 ... 117
8) 현업작가군 ... 117
9) 전통적 서정소설 ... 120
4. 희곡 ... 121
1) 풍자극 ... 122
2) 전통과 서구의 접목 ... 124
3) 부조리극 ... 125
4) 서사극 ... 125
5) 로컬리즘극 ... 127
6) 사실주의 극 ... 128
7) 신예극작가 ... 128
8) 타 장르의 희곡 참여 ... 129
9) 여성 극작가 ... 130
5. 비평 ... 130
1) 순수·참여론 ... 131
(1) 김우종과 이형기의 논쟁 ... 132
(2) 서정주와 홍사중의 논쟁 ... 133
(3) 이어령-김수영간의 논쟁 ... 134
(4) 김붕구- 임중빈의 논쟁 ... 135
(5) 백철과 신동한의 논쟁 ... 136
(6) 그 밖의 논의 ... 137
2) 전통론 ... 139
3) 실천비평과 강단비평의 조화시도 ... 139
4) 신비평 ... 140
5) 형식비평 ... 141
제4장 1970년대 문학
1. 배경 ... 143
1) 70년대 문학 ... 143
2) 민족문학의 의의 ... 144
2. 시 ... 145
1) 77년대 시의 갈래 ... 145
2) 민중시 ... 147
3) 소외문제 ... 154
4) 도시서정시 ... 156
5) 전통적 서정시 ... 161
6) 개성적 서정시 ... 164
7) 언어실험모색 ... 165
8) 초현실주의 시 ... 169
9) 동인지 ... 170
3. 소설 ... 173
1) 70년대 소설의 특징 ... 173
2) 농민소설 ... 174
3) 노동소설 ... 178
4) 대중소설 ... 182
5) 풍자소설 ... 185
6) 여성작가 ... 186
7) 분단의 자각 ... 188
8) 성장소설 ... 192
9) 역사소설 ... 194
10) 70년대 소설의 의미 ... 196
4. 희곡 ... 196
1) 희곡 살아남기 ... 196
2) 사실주의 극 ... 197
3) 풍자·우화적 희곡 ... 200
4) 역사·전통소재극 ... 202
5. 비평 ... 204
1) 민족문학론 ... 205
2)「창작과 비평」과「문학과 지성」의 비평 ... 208
3) 정체성론 ... 210
4) 문학사의 정립 ... 211
제5장 1980년대 문학
1. 배경 ... 213
1) 80년대의 민족문학 ... 214
2) 노동·이데올로기·전쟁의 문학 ... 215
2. 시 ... 216
1) 80년대 시의 다양성 ... 216
2) 무크·동인지 시대 ... 217
3) 80년대 시의 유형 ... 218
4) 광주민주항쟁시 ... 218
5) 민중시 ... 222
6) 노동시 ... 223
7) 해체시 ... 226
8) 전통적 서정시 ... 233
9) 문명비판의 시 ... 235
10) 순수서정시 ... 237
11) 농민시 ... 239
12) 빨치산·반미(反美)문학 ... 241
13) 동인지 ... 241
3. 소설 ... 245
1) 광주민주항쟁 소설 ... 246
2) 분단체험 소설 ... 247
3) 6·25 미체험 세대의 소설 ... 252
4) 역사·장편소설 ... 254
5) 소외(疎外)소설 ... 256
6) 실험 소설 ... 259
7) 노동소설 ... 262
8) 장기수·이념·군(軍)의 문제 ... 264
9) 빨치산 소설 ... 265
4. 희곡 ... 266
1) 역사극 ... 267
2) 민족극 ... 269
3) 분단의 상처 ... 270
4) 사실주의극 ... 273
5) 전통지향극 ... 273
6) 창작극 ... 274
7) 풍자극·창극 ... 274
8) 실험적 극세계·메타드라마 ... 275
9) 뮤지컬·청소년 연극 ... 279
5. 비평 ... 281
1) 민족문학론·민중 문학론 ... 282
(1) 민중적 민족문학른 ... 283
(2) 노동해방문학론 ... 283
(3) 민족 해방 문학론 ... 284
(4) 소시민적 민족 문학론 ... 284
2) 이론비평 ... 286
3) 비평의 비평 ... 287
4) 텍스트 분석 비평 ... 288
제6장 1990년대 문학
1. 배경 ... 289
1) 포스트모더니즘과 90년대 문학의 출발점 ... 289
2) 90년대 문학과 생태·환경 ... 290
3) 사이버 문학과 환상성 ... 291
4) 90년대 문학적 위기와 대안 ... 293
2. 시 ... 294
1) 90년대 시의 관심 ... 294
2) 신서정시 ... 295
3) 도시적 일상시 ... 298
4) 포스트 모던시·메타시 ... 300
5) 성(性)을 소재로 한 시 ... 305
6) 생태·생명·환경시 ... 308
7) 페미니즘 시 ... 313
8) 대중문화의 시 ... 316
9) 메타시 ... 318
3. 소설 ... 318
1) 97년대 소설의 특징 ... 319
2) 리얼리즘 소설 ... 320
3) 역사소설 ... 320
4) 성장·체험 소설 ... 322
5) 대중 소설 ... 323
6) 성(性)에 관한 소설 ... 325
7) 정치소설 ... 328
8) 포스트모더니즘 소설 ... 329
9) 메타픽션 ... 330
10) 사이버·환상 소설 ... 331
(1) 사이버 소설 ... 331
(2) 환상소설 ... 332
4. 희곡 ... 335
1) 90년대 한국연극의 추세 ... 336
2) 새로운 언어 ... 337
3) 극장주의 희곡 ... 337
4) 정통희곡 ... 338
5) 역사·정치·풍자극 ... 338
6) 심리·소시민 소재극 ... 340
7) 해체주의 극 ... 340
5. 비평 ... 343
1) 신세대문학론 ... 344
(1) 신세대문학론 ... 345
(2) 신세대 끌어안기 ... 345
2) 문학사 정립 ... 346
3) 포스트모더니즘 비평 ... 347
4) 페미니즘 비 평 ... 347
(1) 여성 해방주의 ... 347
(2) 여성적 특성 고찰 ... 349
5) 메타 비평 ... 350
6) 리얼리즘 논쟁 ... 351
7) 녹색 평론 ... 353
8) 비평의 전망 ... 356
21세기의 우리 문학
1. 과제 ... 357
2. 시도 ... 358
3. 전망 ... 361
작가색인 ... 365
작품색인 ... 377
용어색인 ... 401
작품집 색인 ... 40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