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Ⅰ. 緖論 ... 9
Ⅱ. 朝鮮後期 觀察使와 그 統治機能 ... 15
1. 序言 ... 17
2. 관찰사제도의 확립과 그 운영 ... 18
1) 관찰사제의 확립 ... 18
2) 관찰사의 선임 ... 20
3) 任期 ... 22
3. 관찰사의 지위 ... 26
4. 監營기구의 조직과 그 기능 ... 36
5. 관찰사의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Ⅰ. 緖論 ... 9
Ⅱ. 朝鮮後期 觀察使와 그 統治機能 ... 15
1. 序言 ... 17
2. 관찰사제도의 확립과 그 운영 ... 18
1) 관찰사제의 확립 ... 18
2) 관찰사의 선임 ... 20
3) 任期 ... 22
3. 관찰사의 지위 ... 26
4. 監營기구의 조직과 그 기능 ... 36
5. 관찰사의 통치행정 기능 ... 43
1) 外憲 기능 ... 43
2) 方伯 기능 ... 51
6. 結語 ... 70
Ⅲ. 朝鮮後期 都事의 地方統治行政 機能 ... 73
1. 序言 ... 75
2. 都事制度의 確立 ... 76
3. 조선전기의 都事의 기능과 都事職 ... 78
4 .조선후기의 都事의 기능과 都事職 ... 84
5. 結語 ... 100
Ⅳ. 朝鮮後期 守令의 統治行政機能 ... 103
1. 序言 ... 105
2. 수령제도의 확립과 운용 ... 106
1) 수령제도의 확립 ... 106
2) 임용제도 ... 108
3) 임기제도 ... 113
3. 수령의 지위와 그 실체 ... 117
4. 수령의 통치행정 기능 ... 127
1) 행정적 기능 ... 127
2) 司法的 기능 ... 133
3) 軍事的 기능 ... 135
5. 수령의 통치행정기능과 그 한계 ... 138
6. 結語 ... 141
Ⅴ. 朝鮮後期 鄕廳의 行政機能 ... 145
1. 序言 ... 147
2. 조선전기의 향청 ... 148
1) 鮮初의 留鄕所 ... 148
2) 復立留鄕所의 성격과 기능 ... 150
3) 16세기 향청의 성격과 기능 ... 153
3. 조선후기 鄕廳의 성격변화 ... 158
1) 京在所와 留鄕所 ... 158
2) 경재소 혁파와 향청의 변화 ... 161
3) 鄕廳의 지방행정기구화 ... 166
4. 조선후기 향청의 기능 ... 177
1) 향청의 구조와 鄕任 ... 177
2) 향임의 기능 ... 180
3) 향임과 수령·읍리의 관계 ... 187
5. 結語 ... 193
Ⅵ. 朝鮮後期 邑吏의 行政機能 ... 197
1. 序言 ... 199
2. 조선후기 邑治機構의 조직구조 ... 200
3. 조선후기 吏職의 조직구조 ... 211
4. 조선후기 邑吏의 任免과 자격요건 ... 221
5. 조선후기 邑吏의 행정기능 ... 232
1) 邑吏들의 행정실무 ... 232
2) 郡縣의 행정체계 ... 236
3) 지방민 지배와 邑吏의 기능 ... 241
6. 結語 ... 246
Ⅶ. 朝鮮後期 暗行御史의 地方統制 ... 251
1. 序言 ... 253
2. 御使의 개념 ... 254
3. 조선전기의 暗行御史制 ... 257
1) 鮮初의 御使制 ... 257
2) 暗行御史制의 성립 ... 264
4. 조선후기 암행어사와 지방통제 ... 270
1) 일반어사의 암행어사화 ... 270
2) 암행어사제의 강화 ... 275
5. 암행어사의 지방통제기능과 그 한계 ... 283
6. 結語 ... 290
Ⅷ. 結論 ... 293
부록 ... 301
찾아보기 ... 34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