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저자서문 ... 5
역자서문 ... 9
序 ... 13
序說 - 儒學의 특질 ... 25
제1편 新儒學의 興起와 주자학의 성격
제1장 불교의 영향과 儒學側의 반성 ... 61
제1절 불교의 수입과 융성 ... 61
1. 불교융성의 사상적 동기 ... 61
2. 불교의 수용과 中國에 미친 영향 ... 70
제2절 儒學側의 반성 ... 77...
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서문 ... 5
역자서문 ... 9
序 ... 13
序說 - 儒學의 특질 ... 25
제1편 新儒學의 興起와 주자학의 성격
제1장 불교의 영향과 儒學側의 반성 ... 61
제1절 불교의 수입과 융성 ... 61
1. 불교융성의 사상적 동기 ... 61
2. 불교의 수용과 中國에 미친 영향 ... 70
제2절 儒學側의 반성 ... 77
1. 韓愈의 佛敎排擊思想 ... 78
2. 李고의 儒家的 成佛論(成聖論)의 시도 ... 81
제2장 儒家에 있어서의 死生論·成聖論의 성립과 존재 ... 85
제1절 李고·周敦이의 成聖論 ... 85
1. 李고의 復性·成聖論 ... 85
2. 周敦이의 成聖論과 宇宙論 전개의 의의 ... 99
제2절 주돈이·장재의 세계관과 생사관 ... 104
1. 주돈이의 세계관과 우주론적 특징 ... 104
2. 장재의 氣一元論的 세계관 ... 114
제3절 程이의 人性論 成立의 의의 ... 125
1. 理·氣二元的 世界觀 ... 125
2. 人性論 성립의 의의 ... 127
3. 修養論 ... 132
제3장 儒學의 (治人之學)적 전개 ... 139
제1절 韓愈에 의한 유학의 「治人之學」적 전개 ... 139
1. 인간존재의 문제 ... 140
2. 수양의 의미 ... 142
3. 실천의 문제 ... 143
제2절 歐陽修의 排佛中華思想과 名分論 ... 145
1. 「易童子問」에 있어서의 「治人之學」적 성격 ... 145
2. 排佛中華思想 ... 148
3. 歐陽修의 역사관 ... 152
4. 春秋論 ... 153
제3절 司馬光의 歷史學과 名分論 ... 154
1. 司馬光의 역사학의 목적 ... 154
2. 君王中心思想 ... 157
3. 禮論 ... 160
4. 名分論 ... 161
제4장 朱子學의 역사적 성격 및 의의 ... 165
제1절 「性卽理」로서의 인간론 ... 165
1. 理氣宇宙論 ... 165
2. 人性論 ... 180
제2절 居敬·窮理에 의한 人間形成論 ... 191
1. 格物致知 ... 191
2. 居敬 ... 192
제3절 政治思想 ... 194
제2편 天命觀念과 人間觀의 비교연구
제1장 朱子에 있어서의 天命의 二重構造와 二元的 人間觀 ... 199
제1절 創造∼運行原理로서의 天命과 (天人合一)의 인간관 ... 199
제2절 運行의 의미로서의 天命과 個的 인간존재의 확립 ... 200
제2장 麗末·朝鮮期에 있어서 (天人無間)의 二元的 人間觀 ... 203
제1절 李穡의 (天人無間)說 ... 204
제2절 權近의 天人心性合一說 ... 213
제3절 李退溪의 天命관념과 人間觀 ... 219
1. 「天卽理」설과 天命관념 ... 219
2. 李退溪의 인간관 ... 221
제3장 에도(江戶)期에 있어 天人分離와 個的 人間의 확립 ... 225
제1절 후지와라 세이가(藤原惺窩)에 있어서 「天人無間」설의 수용과 만물일체의 인간관 ... 227
제2절 구마자와 반잔(熊澤蕃山)의 천관념과 산만물일체사상 ... 232
1. 天의 구체적 파악 ... 232
2. 반잔의 인간관 ... 241
제3절 이또오 진사이(伊藤仁齋)의 천명관념과 인간관 ... 245
제4장 비교론적 고찰 ... 251
제3편 理氣論의 비교연구
제1장 朱子의 理氣論 ... 255
제1절 理氣論의 성립과정 ... 255
제2절 理氣論의 구조 ... 257
제3절 理氣論의 내용 ... 258
1. 理의 성격 ... 259
2. 氣의 성격 ... 260
3. 理와 氣의 관계 ... 261
제2장 麗末·朝鮮期에 있어서 理氣論의 人性論적 전개 ... 263
제1절 李穡의 生死無常說 ... 263
제2절 李彦迪의 理氣論의 人性的 ... 267
제3절 李退溪의 理중심의 修養哲學 ... 274
1. 理氣이원론의 확립 ... 274
2. 理우위설 ... 278
3. 理氣互發說 ... 279
제4절 李栗谷의 철학사상에 있어서 氣의 문제 ... 284
제3장 에도(江戶)期에 있어서 氣철학의 전개 ... 295
제1절 理氣論의 수용 및 변용 ... 295
1. 藤原惺窩의 理氣論 수용 ... 295
2.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理氣論 변용 ... 297
제2절 구마자와 반잔(熊澤蕃山)의 氣優位說 ... 307
제3절 이또오 진사이(伊藤仁齋)의 氣哲學 완성과 朱子學 비판의 의의 ... 312
제4장 비교론적 고찰 ... 315
제4편 敬思想의 비교연구
제1장 朱子의 居敬·窮理의 상호보완론 ... 319
제1절 居敬 ... 320
제2절 窮理 ... 322
제2장 麗末·朝鮮期의 敬사상의 체계적 전개 ... 325
제1절 李穡의 誠·敬說과 四端說 ... 325
제2절 誠·敬에서 敬으로의 종합 ... 332
제3절 李彦迪의 敬사상의 성격 ... 336
제4절 이퇴계의 敬사상의 체계적 완성 ... 342
1. 성인이 되는 것 ... 342
2. 敬學의 완성 ... 346
3. 靜坐法의 不受容 ... 349
4. 仁體의 구현 ... 351
제3장 에도(江戶)期에 있어서 敬에서 誠으로의 사상전개 ... 355
제1절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齋)의 敬사상 ... 355
제2절 구마자와 반잔(熊澤蕃山)의 五倫思想 ... 357
제3절 이또오 진사이(伊藤仁齋)의 誠의 思想 ... 361
제4장 비교론적 고찰 ... 369
제5편 政治思想의 비교연구
제1장 朱子의 王道政治思想 ... 373
제1절 王道정치 ... 375
제2절 禮治思想 ... 378
제2장 朝鮮期의 至治주의 운동의 전개 ... 381
제1절 趙光祖의 至治主義운동 ... 381
1. 至治의 근본은 개인적 수양에 있다 ... 382
2. 至治주의 운동의 전개 ... 387
3. 至治주의 운동의 폐해 ... 392
제2절 至治주의 운동의 이론적 접근 ... 393
제3절 至治주의 운동의 再燃 ... 397
1. 學의 목적은 실천에 있다. ... 397
2. 至治주의 운동의 계승 ... 404
3. 至治주의 이론의 체계적 완성 ... 406
제3장 에도(江戶)期에 있어서 禮治思想의 완성 ... 415
제1절 名分論의 전개 ... 415
제2절 禮治思想의 완성 ... 421
제4장 비교론적 고찰 ... 425
結語 ... 42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