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천명론과 인문주의 사상의 맹아 ... 11
1. 천명론과 그 비판 ... 12
2. 음양(陰陽)·오행(五行)론의 자연관 ... 21
3. 인문주의 사상의 맹아 ... 31
제2장 공자의 인본주의적 이상과 교육론 ... 35
1. 공자의 위기의식과 주례(周禮)의 이상화 ... 39
2. 공자의 유신된 '군자'(君子)관과 '화'(和)의 세계관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천명론과 인문주의 사상의 맹아 ... 11
1. 천명론과 그 비판 ... 12
2. 음양(陰陽)·오행(五行)론의 자연관 ... 21
3. 인문주의 사상의 맹아 ... 31
제2장 공자의 인본주의적 이상과 교육론 ... 35
1. 공자의 위기의식과 주례(周禮)의 이상화 ... 39
2. 공자의 유신된 '군자'(君子)관과 '화'(和)의 세계관 ... 47
3. 정명론(正命論)과 덕치(德治)의 이념 ... 52
4. 공자의 '인'(仁)사상 ... 57
5. 교육에 대한 태도와 방법 ... 60
6. 천명(天命)론의 수정과 인본주의 사상 ... 65
제3장 묵가의 평등박애와 주체적 실천론 ... 69
1. 묵가의 노동하는 인간관과 의(義, 사회정의)에 대한 규정 ... 72
2. 처참한 전쟁상황과 묵가의 침략전쟁 반대론 ... 76
3. 묵가사상의 출발점 ... 78
4. 공리주의적인 '겸이역별'(兼以易別)의 이상론 ... 82
5. 상현(尙賢)론과 현자 독재론 ... 88
6. 주체적 실천[非命]론 ... 93
7. 공리주의적 천의(天意)론과 종교관 ... 101
8. 묵가사상에 대한 《장자》(莊子)의 기술과 비판적 평가 ... 110
제4장 양주학파의 개인주의 사상 ... 114
1. 양주(楊朱)의 개인주의 철학에 대한 평가 ... 117
2. 양주의 개인주의[爲我論] ... 118
3. 양주의 불간섭주의 ... 119
4. 경물중생(輕物重生)의 논리 ... 120
5. 감성적 인간존재와 절욕(節慾)론 ... 122
제5장 《손자》에 나타난 군사변증법사상 ... 125
1. 전쟁 운용의 중요 원리 ... 129
2. 지략(智略)전쟁의 원리 ... 131
3. 상대를 이길 수 있는 전투상황(形)의 조성 ... 134
4. 전투형세의 변증법적 변화 ... 137
5. 전쟁의 주도권 장악 ... 139
6. 기습전의 효용성 ... 141
7. 임기응변의 기동성 ... 143
8. 진정한 장군의 부하통솔 및 전쟁수행 원칙 ... 145
9. 강군 창출의 기본조건 ... 146
10. 간첩을 이용한 정확한 정보수집 활동 ... 150
제6장 송견·윤문학파의 전쟁반대론과 《관자》의 '기'론 ... 151
1. 평화주의와 전쟁반대론 ... 154
2. 절욕을 통한 마음의 평화와 '정기'(精氣)의 보전을 통한 양생술 ... 156
제7장 상앙학파 법치주의의 진보성과 반동성 ... 168
1. 절대국가권력의 창출 ... 174
2. 진보적 역사관과 개혁의 논리 ... 176
3. 법치이론의 진보성과 반동성 ... 179
4. 중형경상(重刑輕賞)론과 반(反)문화적 군국주의 ... 183
5. 유가적 지식인들의 '주체적 자율' 의식의 성장과 법가적 전제주의에 대한 비판 ... 188
제8장 맹자의 왕도정치론과 인본주의 철학 ... 192
1. 왕도(王道)정치와 인정(仁政)론 ... 197
2. 왕도정치의 경제적 기초 ... 202
3. 민본주의(民本主義) ... 206
4. 국가공리주의의 비판 ... 209
5. 혁명론: 군주 교체[革命]론의 합법성 ... 212
6. '군신(君臣)평등론'의 부정과 '상하차등적' 사회분업론 ... 213
7. 힘에 의한 통치[패도]와 겸병전쟁의 반대 ... 217
8. 성선(性善)론의 도덕 형이상학 ... 219
9. 호연지기(浩然之氣) ... 227
10. 맹자의 다른 제자백가들에 대한 비판 ... 228
제9장 노자의 자연철학과 사회비판철학사상 ... 233
1. 제자백가, 특히 유가·묵가·법가 등에 대한 비판 ... 237
2. 억압적이고 불평등한 당시 사회정치에 대한 비판 ... 243
3. '유약'(柔弱)이 '강강'(剛强)을 이기는 논리 ... 245
4. 적극적 행위의 부정과 전쟁반대론 ... 248
5. '유무상생'(有無相生)과 상대주의적 인식론 ... 254
6. 의인적 사유의 부정과 자연적 '도'론 ... 265
7. 문명비판적 사회관과 '소국과민'(小國寡民)의 이상사회 ... 275
제10장 장자의 상대주의적 인식론과 자유주의 철학사상 ... 284
1. 장자가 말하는 자신의 '무한한 변화'의 철학사상 ... 287
2. 인위적 제도 및 이념적 명분론에 대한 비판 ... 288
3. '제물론'(齊物論)에 입각한 상대주의적 인식론 ... 304
4. 험난한 세상과 무소용(無所用)의 논리 ... 317
5. 정신적 자유와 해방('逍遙遊')의 세계 ... 336
6. 진흙 속에서의 삶의 자유와 예술적 자유의 세계 ... 351
제11장 혜시의 상대주의적 논리와 공손룡의 절대고립주의의 논리 ... 360
1. 혜시(惠施)'역물'(曆物, 사물관찰)의 열 가지 명제 ... 364
2. 혜시와 다른 논변자들의 21까지 논리적 궤변명제 ... 366
3. 장자와의 대화에 나타난 혜시의 모습 ... 369
4. 《순자》에 소개된 혜시의 이야기 ... 374
5. 공손룡의 논변세계 ... 377
제12장 후기묵가의 논변사상 ... 386
1. (경)(經)과 (설)(說)에서의 인식론과 논리사상 ... 388
2. (경)과 (설)에 나타난 묵가의 사회윤리사상 ... 393
3. '소취'(小取): 논리와 인식의 운용에 나타난 비판적 분석 ... 396
제13장 순자의 사회철학과 인본주의 사상 ... 402
1. 직하(稷下)에서의 순자의 활약상 ... 407
2.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예'(禮)에 기초하는 이상사회 ... 408
3. '예'에 기초하는 사회 ... 413
4. 성악설과 인간의 실천적 행위[僞]의 의의 ... 417
5. 군자의 법의 근원 ... 419
6. 정명(正名), 즉 '명분과 실제의 합치'론 ... 420
7. 물리적 자연으로서의 '천'(天)론과 주체적 인본주의 ... 437
8. '도'에 '허심'(虛心)한 인식과 제자백가에 대한 비판 ... 447
제14장 추연의 역사발전 순환론 ... 458
1. 추연 학술의 출발점과 특징 ... 461
2. 당대 공자나 맹자보다 월등했던 추연의 영향력 ... 462
3. 중국 중심의 협소한 지리적 세계관의 무한 확장 ... 464
4. '오덕종시'설: 결정론적인 역사순환론 ... 465
5. 오덕종시설과 진시황의 제도개혁 ... 466
6. 동중서의 '천인감응'설에 나타나는 추연의 영향 ... 467
제15장 한비자의 철저한 법치주의의 이상과 비극 ... 469
1. 이기적 인간 본성과 법치의 필연성 ... 483
2. 법치에 의한 '부국강병'의 실현 ... 496
3. 인위적 '필연의 도리'의 근거 ... 501
4. 실증적인 합리적 인식론과 미신 반대론 ... 507
5. 시대의 변화와 사회·역사발전론 ... 519
6. '공'과 '사'의 모순적 이해관계 ... 525
7. '세'[勢, 군주절대권]에 대한 지적인 운용 ... 529
8. 법치의 의의와 원칙 ... 534
9. 중신을 제압하는 군주의 '술'(術)론 ... 540
10. 한비의 '외로운 울분'[孤憤]과 사명감 ... 54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