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유교철학(儒敎哲學) ... 11
1. 유교철학의 규명 ... 11
2. 유교의 구성요소 ... 16
3. 하늘과 사람의 관계 ... 22
4. 유교철학의 기본구조 ... 24
5. 윤리적 사고경향 ... 29
6. 백성을 위하는 경세론 ... 36
7. 유교의 변천과 현대신유가의 대두 ... 40
제2장 『중용』...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유교철학(儒敎哲學) ... 11
1. 유교철학의 규명 ... 11
2. 유교의 구성요소 ... 16
3. 하늘과 사람의 관계 ... 22
4. 유교철학의 기본구조 ... 24
5. 윤리적 사고경향 ... 29
6. 백성을 위하는 경세론 ... 36
7. 유교의 변천과 현대신유가의 대두 ... 40
제2장 『중용』의 성론(性論) ... 45
1. 서론 ... 45
2. '천'(天) 이해의 다양성 ... 46
3. 유가의 '명'(命) ... 49
4. 『중용』의 내재화된 '천'(天)과 '명'(命) ... 55
5. 성(性)의 용례와 의미의 다양성 ... 67
6. 『중용』에서의 성(性)의 의미 ... 73
7. 결론 ... 85
제3장 맹자의 인정사상(仁政思想) ... 91
1. 서론 ... 91
2. 인정(仁政)의 정치적 이념 ... 94
3. 인정(仁政)의 구체적 방안 ... 114
4. 결론 ... 134
제4장 동중서의 성론(性論) ... 139
1. 서론 : 그의 학문역정과 사상일반 ... 139
2. 철학사상의 연수(淵藪)와 근거 ... 158
3. 성(性)의 의의와 그 선화(善化) ... 175
4. 결론 : 한대(漢代)의 성론(性論)과 동중서의 위치 ... 201
제5장 한유(韓愈)의 도통론(道統論)과 그 유학적 사유구조 ... 211
1. 서론 ... 211
2. 척불(斥佛)과 도통론(道統論)의 설립 ... 223
3. 유학적 사유구조와 현실구제 ... 257
4. 결론 ... 274
제6장 정명도(程明道)의 '이유선악'(理有善惡) 진전(眞詮) ... 283
1. 서론 ... 283
2. '이유선악'(理有善惡)의 창정(創定) ... 286
3. 새로운 문제점의 발단과 교정(矯正)의 가능성 ... 290
4. '이유선악'의 '이'(理)에 대한 해석방법 ... 301
5. 근래 학자의 고민과 해결의 실마리 ... 336
6. 결론 : 주지(主旨)의 설정과 창의적 재검토 ... 348
제7장 성(誠)의 경전적 의의 ... 361
1. 성(誠)의 용례와 그 의미 ... 361
2. 성(誠)의 특성 ... 367
3. 성(誠)의 구현방법(具現方法) ... 373
4. 주자(朱子)의 식성(識誠)과 성의장(誠意章) 개수(改修) ... 378
5. 퇴율(退栗)의 식성(識誠)과 정주(程朱)의 성론(誠論) ... 390
6. 결론 ... 395
제8장 정이천(程伊川)의 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 ... 399
1. 서론 ... 399
2. 함양(涵養)과 진학(進學)의 겸진(兼進) ... 409
3. 격물(格物)과 궁리(窮理) ... 415
4. 치지(致知)의 본의(本義)와 그 방법(方法) ... 424
5. 격물(格物)과 치지(致知)의 관계 ... 435
6. 궁리(窮理), 진성(盡性), 지명(至命)의 상호연계성 ... 438
7. 결론 ... 446
제9장 정이천(程伊川)의 심성론(心性論) ... 451
1. 서론 : 심성(心性)의 개략적 파악 ... 451
2. 이천의 심론 석의(心論析義) ... 460
3. 이천의 성론 석의(性論析義) ... 477
4. 결론 : 한국의 심성론과 비교하여 ... 489
제10장 『태극도설』(太極圖說)의 성립과 그 전수인맥(傳授人脈) ... 495
1. 서론 ... 495
2. 염계의 학문적 성숙계제(成熟階梯) ... 501
3. 학문적 경향과 「태극」의 의의 ... 519
4. 『태극도』 전수인맥(傳授人脈)의 확인(確認)과 추정(推定) ... 541
5. 「태극도」(太極圖)의 제작과정 ... 552
6. 결론 ... 57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