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이 책을 읽는 분에게 ... 3
한국어판 서문 ... 7
서문 ... 11
들어가는 말 ... 23
제1장 본질론 : 산문의 심미 세계 ... 32
1. 산문의 시적 성격 : 주정적 세계와 심미적 운치 ... 33
2. 세계 관조의 독특한 방식 : 비허구성과 내심의 진실성 ... 40
3. 대화 방식 : 텍스트의 콘텍스트와 일상생활의 콘텍스...
더보기
목차 전체
이 책을 읽는 분에게 ... 3
한국어판 서문 ... 7
서문 ... 11
들어가는 말 ... 23
제1장 본질론 : 산문의 심미 세계 ... 32
1. 산문의 시적 성격 : 주정적 세계와 심미적 운치 ... 33
2. 세계 관조의 독특한 방식 : 비허구성과 내심의 진실성 ... 40
3. 대화 방식 : 텍스트의 콘텍스트와 일상생활의 콘텍스트 ... 49
4. 고금의 포괄 : 문화적 의미와 인간에 대한 관심 ... 57
5. 무법칙의 법칙, 자유 서술 : 문체 규범의 비한정성 ... 66
6. 예술로서의 언어 : 낯설게하기와 예술적 여백 ... 70
제2장 범주론 : 산문 장르의 발전과 추세 ... 80
1. 산문의 장르 : 배제적 정의와 예술적 난제 ... 80
2. 산문 범주의 변천 : 광의에서 협의로 ... 91
3. 현대산문의 장르 발전의 추세 : 장르의식의 제고와 순수화 ... 98
4. 서정산문의 발전 : 횡적 수용과 종적 계승 ... 107
제3장 글읽기론 : 산문 글읽기의 사회 역사성과 당대의 심미적 기대 ... 118
1. 문학의 본질로서의 글읽기 : 당대 산문 연구의 새로운 시각 ... 118
2. 사회의 글읽기와 산문 글읽기의 역사성 ... 122
3. 산문 글읽기에서의 당대 독자의 선택과 기대 지평 ... 127
4. 창조적인 산문 글읽기 : 심미적 본질의 최종적 실현 ... 137
제4장 17년시기 산문의 심미 형태 ... 143
1. 17년시기 산문의 인문적 배경 ... 143
2. 17년시기 산문의 창작 개황 ... 147
1) 작가군의 형성 ... 147
2) 창작 성과 ... 148
3. 17년시기 산문의 심미적 특징 ... 150
1) 소재 선택의 기준 '시대정신' ... 151
2) 예술적 구상에서의 '시화 현상' ... 153
3) 심미상의 단순화 추세 ... 159
제5장 3대 산문가의 창작과 그들이 대표하는 심미적 경향 ... 164
1. 양수어 : 시정, 의경, 에술적 파라독스 ... 164
1) 가송체의 예술적 격조 ... 165
2) 시적 산문 창작 ... 166
3) 3단식 예술 구조 ... 169
2. 친무 : 고금의 넘나듦, 미적 정취의 추구 ... 173
1) '한 줄기 사상의 실' ... 174
2) '가없이 넓은 산문의 영역' ... 177
3) 소재라는 '진주'를 '가지런한 진주목걸이'로 ... 181
3. 리우빠이위 : 시대의 주선율, 사회적 대문제 ... 183
1) 찬양의 정서와 욱일승천의 묘사 ... 186
2) 언어 표현 능력 ... 188
3) 새로운 세계의 추구 ... 189
제8장 17년시기의 산문작가 ... 193
1. 삥신·빠진의 산문 창작 ... 194
1) 삥신 : 자연, 모성애, 동심의 순수성 ... 194
2) 빠진 : 불을 지피는 불씨, '무기교'의 예술 ... 201
2. 차오징후아·우뽀샤오의 산문 창작 ... 206
1) 차오징후아 : 평담하면서도 고매함 ... 206
2) 우뽀샤오 : 정이 녹아있는 이야기 ... 210
3. 삐예·황지의 산문 창작 ... 215
1) 삐예 : 아름다움에 대한 송가 ... 215
2) 황지 : '당의 부름, 나의 지향' ... 218
4. 꾸어훵과 당대 산문시 ... 219
1) 당대 산문시의 흐름 ... 219
2) 꾸어훵 : 산문시의 세계를 일구면서 ... 220
5. 여타 산문가의 창작 ... 225
1) 후앙메이 : 추구를 의식하지 않는 추구 ... 225
2) 옌원징 : 인생의 내재성 발굴 ... 227
3) 선총원 : 생명 탐구의 여유로운 모습 ... 230
4) 훵쯔카이 : 인생 세태에 대한 품평 ... 232
5) 예사오쥔 : 질박, 중후, 개성 ... 235
제7장 신시기 산문 : 다원적 시대, 예술의 공존 ... 237
1. 신시기 산문의 인문적 배경 ... 237
2. 신시기 산문의 발전 역정 ... 240
1) 회고와 되돌아보기 (1979~82) ... 240
2) 다원적 시대, 예술의 공존 (1982~88) ... 242
3) 시장경제, 산문의 성행, 독자의 기대 (1989~1996) ... 243
3. 작가의 진용과 그 분포 ... 245
1) 작가의 분포 ... 245
2) 다원적 예술 선택과 작가군 ... 246
4. 신시기 산문의 심미 형태 ... 247
1) 개성 의식의 복귀, 서정적 색채의 증가 ... 247
2) '한적' 문화의 성행과 산문의 세속화 경향 ... 250
3) 이성적 색채와 깊이 추구 ... 253
제8장 되돌아보기산문 ... 256
1. 빠진 : 정신의 독립사 ... 257
2. 쑨리 : 시심의 내화, 인간사의 변천 ... 266
3. 여타 작가의 되돌아보기산문 ... 271
1) 후앙치우윈 : 정향나무 밑의 감상적 노래 ... 271
2) 웨이쥔이 : '사람'을 내세움 ... 275
3) 천쌍 : 인성의 왜곡 시대와 인성의 외침 ... 276
4) 리우멍 : 영혼의 별빛 ... 277
제9장 문화산문 ... 281
1. 위치우위 : 지식인의 문화적 인격에 대한 비판적 관심 ... 283
2. 린훼이 : 현대성, 대화성, 생명의 사색 ... 290
3. 저우꾸어핑 : 철리적 산문과 심미적 인생의 추구 ... 297
4. 왕츠옹뤼 : 문학 속의 역사 세계 ... 302
5. 장종싱 : 지성, 이성, 문화적 기품 ... 311
6. 리앙헝 : 산수의 묘사와 인생의 의미 ... 313
제10장 향토산문 ... 320
1. 서부 지역의 우의적 세계 탐구 ... 321
1) 지아핑와 : '못난 돌'과 서부의 달빛 ... 323
2) 저우타오 : 사막의 풍골, 시각, 기개 ... 329
3) 마리후아 : 고원의 영원한 태양 ... 333
2. 향토 사랑과 고향 의식 ... 337
1) 지아빠오취앤 : 쪽빛 뿌리찾기 꿈 ... 339
2) 리우츠엉장 : '땅', 옌안의 글자 ... 343
3) 양위이 : 물가 마을의 정취 ... 346
4) 쉬즈칭 : 꿰이린의 산수와 미에 대한 사랑 ... 348
5) 장우 : 고향 후우지엔에 대항 응시 ... 349
6) 허꾸 : 후앙허 나루와 변방 마을의 노래 ... 351
7) 저우통삔 : 중원에서 온 '대지에의 사랑' ... 352
8) 삐엔치아 : 후앙허강 옛 물길의 추억 ... 353
제11장 여성산문 ... 355
1. 복잡 다양한 여성세계와 여성산문 ... 355
1) 작품의 함축 ... 356
2) '참'의 추구 ... 359
2. 중년 여성작가의 심미적 추구 ... 360
1) 쫑푸 : 지식인의 운명 ... 360
2) 장지에 : 사랑의 추구와 생명의 격정 ... 363
3) 샤오훵 : 정신적 세계의 동경, 아름다운 인생의 추구 ... 366
4) 마르웨이황 : 자신만의 독특한 인생 위치와 삶에 대한 관점 ... 369
5) 예원링 : '정'의 중시 ... 372
6) 리티엔황 : 온누리의 해바라기 ... 373
3. 젊은 어성작가들의 산문 ... 374
1) 수팅 : 시심으로 쓰는 산문 ... 375
2) 탕민 : 의식적인 삶의 정련 ... 377
3) 왕잉치 : 기나긴 여정, 혼자 하는 여행 ... 379
4) 쓰하오 : 더욱 광활한 인생으로 ... 381
참고문헌 ... 384
저자 후기 ... 387
부록 : 신시기 중국 산문의 변모 양상 ... 389
색인 ... 42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