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농민소설과 저항의 역사
1. 농민소설의 역사성 ... 7
2. 농민의 저항과 카프의 농민소설 ... 12
3. 저항의 새로운 의미 - 『고향』과 『상록수』 ... 19
4. 『고향』에서 『객지』까지 ... 26
Ⅱ. 이무영의 3부작 『農民』, 『農軍』, 『老農』
1. 근대사와 농민소설 ... 29
2. 작품의 구조와 작...
더보기
목차 전체
Ⅰ. 농민소설과 저항의 역사
1. 농민소설의 역사성 ... 7
2. 농민의 저항과 카프의 농민소설 ... 12
3. 저항의 새로운 의미 - 『고향』과 『상록수』 ... 19
4. 『고향』에서 『객지』까지 ... 26
Ⅱ. 이무영의 3부작 『農民』, 『農軍』, 『老農』
1. 근대사와 농민소설 ... 29
2. 작품의 구조와 작가의 시대 인식 ... 33
3. 농민을 보는 시각 ... 43
4. 농민의 저항과 그 한계 ... 59
5. 농민 의식과 역사적 진실성 ... 69
Ⅲ. 『지하촌』의 세계와 『사하촌』의 세계
1. 강경애와 김정한의 문학사적 위치 ... 72
2. 증오와 고발의 미학 ... 77
3. 주인공이 없는 서사 세계 ... 85
4. 문학과 상황 ... 97
Ⅳ. 일제 말기의 사회 변동과 농민소설의 다양화
1. 사회의 변동과 농민소설의 변모상 ... 100
2. 신분 의식의 변화와 세대 간의 갈등 ... 105
3. 계획생산 정책과 생산소설 ... 117
4. 농촌 환경의 변화와 귀·이농의 문제 ... 127
Ⅴ. 농촌 사회의 변화와 이무영의 농민소설
1. 이무영 소설의 사회적 의미 ... 135
2. 『第一課 第一章』 - 농민화 과정과 역설적 현실 의식 ... 138
3. 『흙의 奴隸』 - 농본 의식의 역사적 의미 ... 146
4. 연작 단편 『궁촌기』 - 사회 변동과 전통적 농민상 ... 156
Ⅵ. 만주 이민의 삶과 농민소설
1. 만주 소설의 특성 ... 165
2. 「만선일보」와 만주 작가들의 사명 ... 169
3. 「만선일보」의 농민소설 ... 174
4. 「싹트는 大地」의 농민소설 ... 185
Ⅶ. 만주개척사와 안수길의 농민소설
1. 안수길의 문학사적 위치 ... 195
2. 『새벽』 - 이민 수난기와 역사의식 ... 197
3. 『벼』 - 민족 생존과 민족 의식 ... 210
4. 『북향보』 - 생산 정책과 농민 정신 ... 226
Ⅷ. 이무영과 안수길의 소설 비교연구
1. 기자 생활과 체험의 문제 ... 234
2. 이무영 소설의 특성과 성찰적 인물 창조 ... 240
3. 안수길 소설의 특성과 사건의 역동성 ... 244
4. 문장의 스타일의 비교 ... 248
Ⅸ. 역사를 읽는 눈과 현실을 보는 눈
1. 30년대 후반기와 신진 작가의 과제 ... 252
2. 서술 언어의 감응력과 관찰력 ... 255
3. 현실 문제의 포착력과 과감성 ... 261
4. 일탈된 세계와 의지의 소멸 ... 268
5. 정신과 현실 ... 275
Ⅹ. 해방 직후 농민소설과 토지의 문제
1. 해방 직후 농민소설의 시대적 과제 ... 279
2. 민족 문학과 농민소설 ... 282
3. 국가인가, 민족인가 - 채만식의 『논 이야기』, 안회남의 『농민의 비애』 ... 290
4. 토지개혁의 전후사(前後史) - 이선희의 『창』, 이태준의 『농토』 ... 302
5. 해방의 의미와 농민의 삶 ... 312
참고문헌 ... 31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