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한초(漢初)의 황노술(黃老術) ... 9
1. 두태후(竇太后)의 황노술 ... 11
2. 유안(劉安)과 『회남자(淮南子)』 ... 12
Ⅱ. 한초(漢初)의 유가(儒家) ... 19
1. 숙손통(叔孫通) ... 19
2. 육가(陸賈)의 『신어(新語)』 ... 20
3. 가의(賈誼)와 『신서(新書)』 ... 23
Ⅲ. 동중서(董仲舒)의 자연철학 ...
더보기
목차 전체
Ⅰ. 한초(漢初)의 황노술(黃老術) ... 9
1. 두태후(竇太后)의 황노술 ... 11
2. 유안(劉安)과 『회남자(淮南子)』 ... 12
Ⅱ. 한초(漢初)의 유가(儒家) ... 19
1. 숙손통(叔孫通) ... 19
2. 육가(陸賈)의 『신어(新語)』 ... 20
3. 가의(賈誼)와 『신서(新書)』 ... 23
Ⅲ. 동중서(董仲舒)의 자연철학 ... 27
1. 대일통(大一統)과 춘추공양학 ... 29
2. 음양오행의 자연철학 ... 36
3. 인성 3품설(人性三品說) ... 40
4. 삼강 오상설(三綱五常說) ... 42
Ⅳ. 경학시대(經學時代) ... 45
1. 금문경학(今文經學) ... 45
2. 고문경학(古文經學) ... 49
3. 금고문 경학(今古文 經學)의 차별 ... 50
Ⅴ. 사마천(司馬遷)돠 유향(劉向) ... 53
1. 사마천(司馬遷) ... 53
2. 유향(劉向) ... 56
Ⅵ. 양웅(揚雄)과 유학 ... 59
1. 인성선악혼잡설(人性善惡混雜說) ... 60
Ⅶ. 후한시대(後漢時代)의 유학 ... 61
1. 『예경(禮敬)』과 『예기(禮記)』 ... 61
2. 참위설(讖緯說) ... 63
3. 환담(桓譚)의 무신론(無神論) ... 64
4. 왕충(王充)의 자연주의(自然主義) ... 66
5. 하휴(何休)와 정현(鄭玄) ... 76
6. 왕부(王符) ... 81
7. 순열(荀悅)과 중장통(仲長統) ... 86
Ⅷ. 위진(魏晋)의 자연주의(自然主義) ... 93
1. 하안(何晏) ... 93
2. 왕필(王弼) ... 96
3. 완적(阮籍)과 혜강(혜康) ... 102
4. 향수(向秀)와 곽상(郭象) ... 112
5. 부현(傅玄) ... 119
6. 장담(張湛)과 양천(楊泉) ... 124
7. 배위(裵위)의 『숭유론(崇有論)』 ... 135
8. 갈홍(葛洪)의 『포박자(抱朴子)』 ... 136
Ⅸ.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의 사상(思想) ... 147
1. 「무신론자(無神論者)」들 ... 147
2. 범진(范鎭)의 『신멸론(神滅論)』 ... 150
3. 「신불멸론(神不滅論)」 ... 153
4. 안지추(顔之推)의 『안씨가훈(顔氏家訓)』 ... 158
Ⅹ. 수당시대(隋唐時代)의 유학 ... 163
1. 왕통(王通) ... 163
2. 제왕학(帝王學) ... 170
3. 부혁(溥奕)의 불교배격 ... 187
4. 공영달(孔潁達)과 안사고(顔師古) ... 189
XI. 육지(陸贄)와 권덕여(權德輿) ... 195
1. 육지(陸贄) ... 195
2. 권덕여(權德輿) ... 198
XII. 한유(韓愈)의 유학 개혁(儒學改革)과 이고 ... 203
1. 한유(韓愈) ... 203
2. 이고(李고) ... 215
XIII. 당중엽(唐中葉)의 혁신파(革新派), 류종원(柳宗元)과 유우석(劉禹錫) ... 227
1. 류종원(柳宗元)의 「천설(天說)」 ... 227
2. 유우석(劉禹錫)의 「천론(天論)」 ... 229
3. 우승유(牛僧孺)와 피일휴(皮日休) ... 23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