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止止堂先生詩集序(지지당 선생 시집 서) / 曺偉 ... 61
卷之一
送兪克己登第觀親(유극기가 과거에 합격하고 부모님께 뵈러 감을 전송하다) ... 69
禁中春帖(궁중춘첩) ... 73
輓(혹자에 대한 만사) ... 76
次朴伯仁(박백인의 시에 차운하다) ... 77
奉和晉山君姜相國(진산군 강 상국께 받들어 화답하다) ... 79...
더보기
목차 전체
止止堂先生詩集序(지지당 선생 시집 서) / 曺偉 ... 61
卷之一
送兪克己登第觀親(유극기가 과거에 합격하고 부모님께 뵈러 감을 전송하다) ... 69
禁中春帖(궁중춘첩) ... 73
輓(혹자에 대한 만사) ... 76
次朴伯仁(박백인의 시에 차운하다) ... 77
奉和晉山君姜相國(진산군 강 상국께 받들어 화답하다) ... 79
奉呈徐相國恩府(서 상국 은부께 받들어 드리다) ... 80
送辛玉吾朝天(신옥오가 중국에 사신 감을 보내다) ... 84
送日本僧正求使還(일본 승 정구가 사신 왔다가 돌아감을 보내며) ... 85
次楊可行(양가행의 시에 차운하다) ... 86
翌日再遊西城門外次希明(다음날 다시 서쪽 성문 밖에 놀며 희명의 시에 차운하다) ... 87
次李明允(이명윤의 시에 차운하다) ... 88
止止堂閒詠(지지당에서 한가로이 읊다) ... 88
送日本國中山老衲海雲使還(일본의 중산 노승 해운이 사신 왔다가 돌아감을 보내다) ... 90
題架門寺(가문사에 적다) ... 91
題朴谷院樓(박곡원 누정에 적다) ... 92
春日書事(봄날 일을 적다) ... 93
春雪 二首(춘설 2수) ... 94
望日庵次家兄(망일암에서 가형의 시에 차운하다) ... 95
輓朴萬戶(박 만호에 대한 만사) ... 96
次晉山姜相公 二首(진산 강 상공의 시에 차운하다 2수) ... 98
贈曺太虛(조태허에게 주다) ... 100
次兪克己(유극기의 시에 차운하다) ... 101
題玉勒庵壁(옥륵암 벽에 적다) ... 102
次靜齋韻 三首(정재의 시에 차운하다 3수) ... 103
次曺叔度(조숙도의 시에 차운하다) ... 105
與太虛遊直指寺(조태허와 직지사에서 놀다) ... 106
西湖雜詠(서호잡영) ... 107
贈金仲節(김중절에게 주다) ... 108
次孫花翁(손화옹의 시에 차운하다) ... 109
題蘿月軒(나월헌에 적다) ... 110
次表少游(표소유의 시에 차운하다) ... 111
次彦謙(언겸의 시에 차운하다) ... 112
次望遠亭 三首(망원정에 차운하다 3수) ... 113
忍上人詩軸次李上舍(인 상인 시축의 이 상사의 시에 차운하다) ... 116
送永安李節度(영안〔함경도〕이 절도를 보내다) ... 117
彌勒寺書短律示金仲節兼贈雲湜師(미륵사에서 율시를 지어 김중절에게 보여주고 아울러 운식 스님에게 주다) ... 118
遊仁同龍喉亭吟一律示太守(인동 용후정에서 놀며 율시 한 수를 읊어 태수에게 보이다) ... 119
寄公叔(공숙에게 보내다) ... 120
會歡松亭贈主人金允儉(환송정에 모여 주인 김윤검에게 주다) ... 121
送朴公 安性 赴黃海監司(박 공 안성이 황해감사로 부임함을 보내다) ... 122
題玉汝令公詩軸(옥여 영공의 시축에 적다) ... 123
次聞慶樣碧堂韻(문경 양벽당에 차운하다) ... 124
次鄕人(고향 사람의 시에 차운하다) ... 125
題李訓導樓壁 二首(이 훈도의 누대 벽에 적다 2수) ... 126
大殿春帖(대전 춘첩) ... 129
步柳同年子灌韻(동년 류자관의 시운을 따라 짓다) ... 130
次元紘(원굉의 시에 차운하다) ... 131
偶吟贈連師(우연히 읊어 연 스님에게 주다) ... 132
次申彦深(신언심의 시에 차운하다) ... 133
正印寺贈克敬師(정인사에서 극경 스님에게 주다) ... 134
次彦深(언심의 시에 차운하다) ... 136
送崔光弼朝天(최광필이 중국에 사신 감을 보내다) ... 137
送朴奎甫之任扶餘 二首(박규보가 부여에 부임함을 보내다 2수) ... 138
次兪克己(유극기의 시에 차운하다) ... 141
送朴可遠朝天(박가원이 중국에 사신 감을 보내다) ... 142
次河安仁韻寄題孝友堂(하안인의 시에 차운하여 보내어 효우당에 적다) ... 142
偶吟(우연히 읊다) ... 144
耳수求詩書一律以贈(이수가 시를 구함에 율시 한 수를 써서 주다) ... 145
次彦深(언심의 시에 차운하다) ... 147
送友人歸覲(벗이 부모님 뵈러 돌아감을 보내다) ... 148
次金仲容 宗裕(김중용 종유의 시에 차운하다) ... 149
題止止堂(지지당에 적다) ... 150
止止堂閒詠(지지당에서 한가로이 읊다) ... 151
送河佐郞赴湖西幕(하 좌랑이 호서 막료에 부임함을 보내다) ... 152
題西山寺樓(서산사 누정에 적다) ... 153
山陽客館偶吟示李知(산양 객관에서 우연히 읊어 이지수에게 보이다) ... 154
太虛詩軸次克己韻(태허 시축의 극기 시에 차운하다) ... 155
與奎甫讀書乞米(규보와 함께 독서하다가 쌀을 빌리다) ... 156
次徐武甫(서무보의 시에 차운하다) ... 158
送太虛登第歸覲(태허가 급제하여 부모님께 뵈러 감을 보내다) ... 159
送鄭子健 錫堅 登第覲母(정자건 석견이 급제하여 자당께 뵈러 감을 보내다) ... 160
在橫川莊聞之實蒙赦還京適有劇故向雲鳳不果往別詩以爲贈兼柬晦翁叔伯康丈(횡천장에 있을 때 지실이 사면을 받아 서울로 돌아가게 되었음을 들었다 마침 급한 일이 있어 운봉으로 향하느라 가서 작별하지 못하고 시로써 주었다 아울러 회옹 숙과 백강 장께 전하다) ... 162
楊根客館次校生金世文見贈(양근 객관에서 교생 김세문이 준 시에 차운하다) ... 163
春雪(춘설) ... 164
次李生員(이 생원의 시에 차운하다) ... 165
寄希點(희점에게 부치다) ... 166
寄別李六兄使日本 己亥(이 육형이 일본에 사신가는 것에 부쳐 작별하다 기해년(1479)) ... 168
奉寄趙佐郞之瑞(좌랑 조지서에게 받들어 보내다) ... 169
題釣賢堂(조현당에 적다) ... 170
精忠旗(정충기) ... 171
望遠亭 二首(망원정 2수) ... 172
次盧秀才 琇(수재 노수의 시에 차운하다) ... 174
次人韻 二首(어떤 사람의 시에 차운하다 2수) ... 176
寄兪克己(유극기에게 부치다) ... 178
次敎官(교관의 시에 차운하다) ... 179
病中次人(병중에 남의 시에 차운하다) ... 181
奉呈徐相國恩府(서 상국 은부께 받들어 올리다) ... 181
送人赴燕(어떤 사람이 연경에 감을 보내다) ... 183
次韻(차운) ... 184
次友人(벗의 시에 차운하다) ... 185
次送老亭韻(송로정 시에 차운하다) ... 186
望遠亭韻 三首(망원정운 3수) ... 187
東萊君鄭節度詩卷(동래군 정 절도의 시권) ... 190
送人赴京(어떤 사람이 연경에 감을 보내다) ... 191
次太虛韻(태허의 시에 차운하다) ... 192
僅成二律錄奉晉山相公(겨우 두 편의 율시를 이루어 진산 상공께 드리다) ... 193
西湖雜詠(서호잡영) ... 195
奉呈徐相國恩府(서 상국 은부께 드리다) ... 196
中宮殿春帖(중궁전 춘첩) ... 198
次兪克己(유극기의 시에 차운하다) ... 199
次叔强韻(숙강의 시에 차운하다) ... 200
秋試賀考官(추시에 고시관에게 하례하다) ... 201
題仲彦詩軸(중언의 시축에 적다) ... 202
彦謙山堂詩卷(언겸의 산당 시권) ... 203
次舍兄(사형의 시에 차운하다) ... 204
次四兄幽居韻(사형의 유거시에 차운하다) ... 206
次太虛(태허 시에 차운하다) ... 206
次叔度(숙도 시에 차운하다) ... 208
寄溫上人(온 상인에게 부치다) ... 208
錄奉安水使(안 수사에게 적어 올리다) ... 210
次四佳恩府韻寄崔正行軒 二首(사가 은부의 시에 차운하여 최정의 행헌에 보내다 2수) ... 211
次李世仁(이세인의 시에 차운하다) ... 213
次金大猷(김대유 시에 차운하다) ... 214
輓權牧伯 得經(목백 권 득경 만사) ... 215
代判官輓權牧伯(판관을 대신하여 권 목백의 만사를 짓다) ... 216
次有若兄韻輓權牧伯(유약 형 시에 차운하여 권 목백의 죽음을 슬퍼하다) ... 217
直指寺次太虛韻(직지사에서 태허 시에 차운하다) ... 219
送太虛之任咸陽(태허가 함양으로 부임함을 보내다) ... 220
送友還鄕(벗이 고향에 돌아감을 보내다) ... 222
次(차운하다) ... 223
次鄕人(고향 사람의 시에 차운하다) ... 223
送安弘祖 潤孫 之任會寧(안홍조 윤손가 회령으로 부임함을 보내다) ... 224
貞熹王后輓章(정희왕후 만장) ... 225
送永安監司 二首(영안〔함경도〕감사를 보내다 2수) ... 226
次靜修韻書霜臺壁(정수의 시에 차운하여 상대 벽에 쓰다) ... 229
風月亭 六首(풍월정 6수) ... 230
夜飮記事(밤에 술을 마시고 적다) ... 235
大殿春帖(대전 춘첩) ... 236
輓晉山君姜二相(진산군 강 이상에 대한 만가) ... 237
望遠亭(망원정) ... 238
和克己(극기 시에 화답하다) ... 239
次友人韻(벗의 시에 차운하다) ... 240
送彦施觀察永安道(언시가 영안도〔함경도〕관찰사로 감을 보내다) ... 241
次可遠詩兼示如晦 四首(가원 시에 차운하고 겸하여 여회에게 보이다 4수) ... 243
子期聽伯牙彈琴圖幷畵鶴 二首(자기가 백아의 거문고 타는 것을 듣는 그림과 아울러 학을 그리다 2수) ... 245
止止堂卽事(지지당 즉사) ... 246
次可遠(가원 시에 차운하다) ... 246
示瓜堂(과당에게 보이다) ... 247
題觀師軸(관 스님의 시축에 적다) ... 247
題內院寺天台閣(내원사 천태각에 적다) ... 248
題內院寺孤雲軒(내원사 고운헌에 적다) ... 248
大殿春帖 二首(대전 춘첩 2수) ... 249
次安弘祖(안홍조의 시에 차운하다) ... 250
申彦深行偶吟寄奎甫子斗(신언심이 가다가 우연히 읊어 규보와 자두에게 부치다) ... 250
寄孫永叔邀飮(손영숙에게 부쳐 술마시자고 하다) ... 251
移病次諫院同僚(병을 핑계하여 사직하고 사간원 동료들의 시에 차운하다) ... 252
贈明師(명 스님에게 주다) ... 253
次楊可行 三首(양가행의 시에 차운하다 3수) ... 253
送河正言安仁辭職還鄕(정언 하안인이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감을 보내다) ... 255
題松竹蓮梅蘭菊契簇(송죽연매난국의 계모임에 적다) ... 255
次少游(소유의 시에 차운하다) ... 256
述懷(술회) ... 257
次瓜堂(과당의 시에 차운하다) ... 257
伽川竹枝曲 九首(가천 죽지곡 9수) ... 257
謝河城惠酒三簡以勸(하성이 술을 보내주고 세 번 쪽지를 보내 권함에 사례하다) ... 261
次孝叔(효숙의 시에 차운하다) ... 262
高山寺夜坐(고산사에서 밤에 앉아) ... 263
高山寺樓次河東府院君(고산사 누각에서 하동부원군의 시에 차운하다) ... 264
湖南行(호남 행차) ... 264
醉甚行至昌和驛始醒(취기가 심하여 행차가 창화역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깨다) ... 265
過浮사古邑初見冬柏花(부사 옛 읍을 지나다가 처음으로 동백꽃을 보다) ... 266
興陽奴庄望海(흥양의 노장에서 바다를 바라보다) ... 266
過潭陽客館後川邊(담양 객관 뒤의 개울 가를 지나며) ... 267
次克己(극기의 시에 차운하다) ... 267
秋日遊昭格洞次可行(가을날 소격동에서 놀며 가행의 시에 차운하다) ... 268
附次(차운시를 붙이다) ... 269
止止堂閒詠(지지당에서 한가로이 읊다) ... 270
乞畵鄭判官城主(정 판관 성주에게 그림을 청하다) ... 270
娛賓驛樓次太虛(오빈역 누각에서 태허의 시에 차운하다) ... 271
秋風(추풍) ... 272
題神巖詩軸 二首(신암의 시축에 적다 2수) ... 272
次克己韻 二首(극기의 시에 차운하다 2수) ... 273
次耳수(이수의 시에 차운하다) ... 274
次仁甫韻(인보의 시에 차운하다) ... 275
次吳玄風(오 현풍의 시에 차운하다) ... 275
次金敬差 順卿○二首(경차 김 순경의 시에 차운하다 2수) ... 275
次花甲寺贈安守約(화갑사에 차운하여 안수약에게 주다) ... 277
偶吟示鄭生員(우연히 읊어 정 생원에게 보이다) ... 277
次于後公詩(우후 공의 시에 차운하다) ... 278
次鄭訓導 二首(정 훈도의 시에 차운하다 2수) ... 278
次瓜堂 二首(과당의 시에 차운하다 2수) ... 279
次曺叔度 五首(조숙도의 시에 차운하다 5수) ... 280
彌勒寺吟示蟾上人(미륵사에서 읊어 섬 상인에게 보여주다) ... 282
題文殊寺壁(문수사 벽에 적다) ... 283
獨坐金泉驛館偶吟(홀로 김천 역관에 앉아 우연히 읊다) ... 283
示孟熙弟壽親席上(재종제 맹희의 어버이 수연 석상에 읊어 보이다) ... 284
贈金陵太守李公叔(금릉 태수 이공숙에게 주다) ... 284
醉題示之實(취중에 지어 지실에게 보이다) ... 285
醉吟示奇茂夫李儀甫柳灌之(취중에 읊어 기무부 이의보 류관지에게 보이다) ... 286
次耳수(이수의 시에 차운하다) ... 287
醉吟示明遠 二首(취중에 읊어 명원에게 보이다 이수) ... 287
次伯康 二首(백강의 시에 차운하다 2수) ... 288
次毅수(의수의 시에 차운하다) ... 289
次朴伯仁呈權牧伯(박백인의 시에 차운하여 권 목백께 드리다) ... 290
次靜齋韻兼示明遠 二首(정재의 시에 차운하고 아울러 명원에게 보이다 2수) ... 290
偶成題菴柱(우연히 지어 암자 기둥에 적다) ... 291
次靜齋(정재의 시에 차운하다) ... 292
山房次李世仁 二首(산방에서 이세인의 시에 차운하다 2수) ... 292
題安僧軸(안승의 시축에 적다) ... 293
次耳수白鵝韻(이수의 백아 시에 차운하다) ... 294
次耳수 二首(이수의 시에 차운하다 2수) ... 294
次明遠(명원의 시에 차운하다) ... 295
蒙賜職牒上恩深重驚悚之中偶成一絶(직첩 내려주심을 입고 임금의 은혜 깊고 무거움에 놀라고 두려운 가운데 우연히 절구 한 수를 짓다) ... 296
次公叔(공숙의 시에 차운하다) ... 297
金泉驛亭醉吟示虞佐太虛瑩中 二首(김천 역정에서 취중에 읊어 우좌 태허 형중에게 보여주다 2수) ... 298
醉吟示主人李公專(취중에 읊어 주인 이공전에게 보이다) ... 299
贈風水僧雪翁(풍수승 설옹에게 주다) ... 299
山房偶吟示同遊諸子(산방에서 우연히 읊어 함께 노는 여러 사람에게 보이다) ... 300
馬上偶吟(말 위에서 우연히 읊다) ... 301
望遠亭(망원정) ... 302
送金君實之任咸昌 二首(김군실이 함창으로 부임하는 것을 보내다 2수) ... 302
春江(춘강) ... 304
初晴(처음 개다) ... 304
衛宣公(위선공) ... 305
陳后主(진후주) ... 306
漢江舟中(한강의 배 가운데서) ... 307
聊城驛(요성역) ... 307
謫到高陽後五日太虛在金陵寄詩卽次韻 三首(귀양와서 고양〔고령〕에 이른 닷새 뒤에 태허가 금릉에 있으면서 시를 부쳐왔기에 곧 차운하다 3수) ... 308
步少游韻(소유의 시운을 따라 짓다) ... 309
醉吟示安守約(취중에 읊어 안수약에게 보이다) ... 310
記夢(꿈을 적다) ... 310
揮涕口號(눈물 뿌리며 읊다) ... 311
內院寺得劒池(내원사 득검지) ... 311
次金子淸惠蘭韻(김자청이 난초를 받고 지은 시에 차운하다) ... 312
次湜師(식 스님의 시에 차운하다) ... 312
次金大猷 二首(김대유의 시에 차운하다 2수) ... 313
寄于後公(우후공에게 부치다) ... 314
次叔强(숙강의 시에 차운하다) ... 315
次子綬(자유의 시에 차운하다) ... 315
次太虛(태허의 시에 차운하다) ... 316
寄權上舍(권 상사에게 부치다) ... 316
次元紘(원굉의 시에 차운하다) ... 317
次望遠亭韻(망원정에 차운하다) ... 317
送彦深歸湖南(언심이 호남으로 돌아감을 보내다) ... 318
戱贈奎甫(규보에게 장난삼아 주다) ... 318
題朴谷院樓 六言(박곡원루에 적다 6언시) ... 319
怪石聯句(괴석을 두 연구로 짓다) ... 320
桃源聯句(도원을 두고 연구로 짓다) ... 322
述懷聯句(술회를 연구로 짓다) ... 324
又(술회를 연구로 짓다) ... 327
與太虛叔度向直指寺聯句(태허 숙도와 직지사를 향하면서 연구로 짓다) ... 329
與伯仁共成一詩(백인과 함께 시 한 수를 이루다) ... 333
與耳수共賦聯句(이수와 함께 연구를 짓다) ... 334
與耳수夜坐聯句(이수와 밤에 앉아 연구를 짓다) ... 334
集古句送之實還京 二首(옛 싯구를 모아 지실이 서울로 돌아감을 보내다 2수) ... 335
集古句勸人賞春(고시를 모아 사람들에게 봄구경을 권하다) ... 336
跋(발문) ... 337
卷之二
附錄
점畢齋金先生詩(점필재 김선생의 시)
善源來訪(선원이 찾아오다) ... 341
與善源遊甘川西岸美中集冠童재酒肉至飮갹間善源有詩次韻(선원과 함께 감천 서쪽 언덕에서 노니는데 미중이 동자와 관자들을 모아 술과 고기를 가지고 와서 함께 마시고 웃고 하는 사이에 선원이 시를 지으므로 여기에 차운하다) ... 342
和善源在星州見寄(선원이 성주에서 부쳐준 시에 화답하다) ... 343
倻川望善源村居(야천에서 선원의 시골집을 바라보다) ... 345
次韻善源病後見寄(선원이 앓고 나서 부친 시에 차운하다) ... 346
次善源止止堂韻(선원의 지지당 운에 차운하다) ... 347
仲兄南還善源有詩次韻(중형이 남쪽으로 돌아갈 때 선원의 시가 있었으므로 거기에 차운하다) ... 348
送善源還伽倻舊居 五首(가야의 옛 집으로 돌아가는 선원을 보내다 5수) ... 349
答善源(선원에게 답하다) ... 355
善源看余頭流錄寄以詩因言明年告休還鄕須携我再遊以副宿願次韻却寄(선원이 나의 두류록을 보고는 시를 지어 부치고 이어서 명년에 휴가를 내서 고향에 돌아와 반드시 나와 짝하여 재차 두류산에 노닐며 평소의 소원을 풀겠다고 말하였으므로 차운하여 다시 부치다) ... 356
以熊神橘二十枚寄善源(웅신의 감귤 스무 개를 선원에게 부치다) ... 357
冶爐蓑衣洞喜善源至次其韻(야로의 사의동에서 선원이 온 것을 기뻐하여 그에 차운하다) ... 358
星州次善源(성주에서 선원의 시에 차운하다) ... 358
五月初二日與金善源兪克己曺太虛申次韶康甥遊楊花蠶頭峰是日欲雨不雨而有陰風(5월2일에 김선원·유극기·조태허·신차소·생질 강군과 함께 양화의 잠두봉에서 노니는데 이날 비가 올 듯하면서 오지는 않고 흐리고 바람이 불었다) ... 359
和善源却寄 二首(선원에게 화답하여 부치다 2수) ... 360
善源請告到倻川還京期迫聞余有子服惠然來弔爲留二日而去別後有作(선원이 휴가를 내어 야천에 왔다가 서울로 돌아갈 기일이 임박했는데 내가 자식의 복을 입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고맙게 와서 조문하고, 나를 위하여 이틀을 유숙하고 갔으므로 작별한 뒤에 짓다) ... 362
楊花渡和善源(양화도에서 선원에게 화답하다) ... 363
健元陵典祀廳示善源(건원릉 전사청에서 선원에게 보이다) ... 364
和鷗波軒韻與善源同賦(구파헌 운에 화답하여 선원·극기와 함께 짓다) ... 365
八月곤妻生子於開寧橫川里舍善源名以喜孫十月二十八日곤妻來密陽吾淑人出門欲抱其子始知月初巳夭(8월에 곤의 아내가 개령 횡천리 집에서 아들을 낳았는데, 선원이 희손이라 이름하였다. 그런데 10월 28일에 곤의 아내가 밀양에 오자, 나의 숙인이 문밖에 나가 그 아이를 안아보려고 하다가 그제야 비로소 월초에 이미 요사? ... 366
十月十日곤亡十五日藁葬干日峴(10월 11일에 곤이 죽어 15일에 일현에 고장하다) ... 367
次善源贈盧君韻(선원이 노군에게 준 시운에 차하다) ... 369
聞善源移疾隱궤戱贈(선원이 병가를 내어 침상에 누워 있다는 말을 듣고 장난삼아 주다) ... 370
醉翁亭和善源元翁韻(취옹정에서 선원의 원옹운에 화답하다) ... 371
寒暄堂金先生詩(한훤당 김선생의 시)
述懷二絶上止止堂(회포를 서술한 절구 두 수로 지지당께 올리다) ... 375
上止止堂(지지당께 올리다) ... 376
태呈止止堂(삼가 지지당께 드리다) ... 378
奉和止止堂(지지당께 받들어 화답하다) ... 379
兪○溪詩(유뇌계의 시)
高陽待金善源(고양에서 김선원을 기다리다) ... 381
寄金善源(김선원에게 부치다) ... 382
哀辭(애사) / 점畢齋 ... 383
輓章(만장) / 점畢齋 ... 392
又(만장) / 兪好仁 ... 394
祭墓文(묘소에 드리는 제문) / 鄭逑 ... 396
川谷鄕賢祠奉安祝文 丙申(천곡 향현사 봉안축문 병신년(1656)) / 朴공衢 ... 398
川谷常享祝文(천곡 상향 축문) / 仝人 ... 403
改莎艸時慰安祝文(사초를 새로할 때의 위안 축문) / 洪禹龜 ... 404
척錄(척록) ... 407
止止堂先生詩重刊跋(지지당선생 시집 중간 발) / 盧相稷 ... 415
後識(후지) / 金秉勳 ... 427
追錄
詩
三月三日遊北漢寺與諸友聯句楊可行 熙止 權叔强 健 李國耳 昌臣 鄭子健 錫堅 蔡耆之 壽 申次韶 從濩 李馨之 宜茂 表少游 沿沫 金君節 흔 姜子文 景敍 趙伯符 之瑞 崔子眞 淑生 鄭淸卿 淮 康子온 伯珍 金眉수 壽童 及余凡十六人云(3월 3일에 북한사에 놀며 여러 벗들과 연구를 지었는데, 김선원 맹성 권숙강 건 이국이 창신 ... 431
行狀
海華堂徐先生行狀(해화당 서선생 행장) ... 434
附錄
兪0溪詩(유뢰계의 시)
高陽公해與善源敍懷(고양 관아에서 선원과 심회를 나누다) ... 444
曺梅溪詩(조매계의 시)
高靈次金善源韻(고령에서 김선원의 시에 차운하다) ... 445
宿直指寺與金善源同賦(직지사에 묵으며 김선원과 함께 읊다) ... 446
過星州有懷止止堂(성주를 지나며 지지당을 그리워하다) ... 447
王朝實錄抄存(《왕조실록》초존) ... 447
虛庵集所載同門錄(《허암집》소재〈동문록〉) ... 490
嶺南人物考(《영남인물고》) ... 495
星山誌(《성산지》) ... 497
墓表(묘표) / 鄭在敎 ... 499
跋(발) / 金浩相 ... 505
註解索引(주해색인) ... 50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