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제1장 시란 무엇인가
1. 시는 시험을 위한 것이 아니다 ... 3
2. 시는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것인가 ... 6
3. 시와 말하는 사람 ... 9
3-1. 시에서 말하는 사람과 시인 ... 9
3-2. 시에서 어떤 사람이 말하나 ... 11
4. 시인은 누구인가 ... 14
5. 시심과 논리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제1장 시란 무엇인가
1. 시는 시험을 위한 것이 아니다 ... 3
2. 시는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것인가 ... 6
3. 시와 말하는 사람 ... 9
3-1. 시에서 말하는 사람과 시인 ... 9
3-2. 시에서 어떤 사람이 말하나 ... 11
4. 시인은 누구인가 ... 14
5. 시심과 논리 ... 20
5-1. 시심과 동심 ... 20
5-2. 논리와 감각 ... 26
6. 인기시와 좋은 시 ... 32
6-1. 인기시와 시적 유행 ... 32
6-2. 좋은 시란 어떤 것인가 ... 38
7. 시는 우리에게 즐거움을 준다 ... 41
제2장 우리는 왜 시를 읽는가
1. 시 쓰기와 실 읽기 ... 47
2. 시적 체험의 변증법 ... 50
3. 세계의 중심과 시를 읽는 기쁨 ... 63
제3장 시 읽기의 첫걸음
1. 봄의 신록과 찬란한 슬픔 ... 70
1-1. 지적 고뇌를 굴리는 바퀴 ... 70
1-2. 편지를 쓰는 밤의 따스함 ... 72
1-3. 무르녹는 봄이 찬란한 ... 74
1-4. 풀 냄새가 물큰한 계절의 여왕 ... 76
2. 여름의 정열과 분노 ... 80
2-1. 미풍에 흔들리는 푸른 강 ... 80
2-2. 바다 저편에의 환상 ... 82
2-3. 어둠 속의 천둥 같은 화산 ... 85
2-4. 생철 지붕을 뚫는 대못 소리 ... 87
3. 가을의 성철과 성숙 ... 90
3-1. 맑은 구름과 파아란 바람 ... 90
3-2. 떫은 애증의 생생한 바람 소리 ... 93
3-3. 쓸쓸한 바람과 서러운 햇빛 ... 95
3-4. 떠도는 자들의 사랑 노래 ... 98
4. 겨울의 비정과 사랑 ... 101
4-1. 여물 써는 소리를 듣는 조랑말 ... 101
4-2. 얼어붙은 도시의 콧등이 빨간 사나이 ... 103
4-3. 가난하고 쓸쓸한 자의 사랑 ... 105
4-4. 비정한 사랑의 뜨거움 ... 107
제4장 기초 단계의 시 읽기
1. 시 읽기의 기초 단계 ... 114
1-1. 예제 : 장만영의 「달·포도·잎사귀」 ... 114
1-2. 예제 : 이문재의 「기념식수」 ... 123
2. 기초적 시 읽기의 사례 연습 ... 131
2-1. 유치환의 「바위」사례 연습 ... 131
2-2. 유치환의 「깃발」에 대한 형식주의적 해석 ... 147
제5장 난해시와 읽기의 다양성
1. 하나의 시어 읽기 - 윤동주의 「또 다른 고향」에서 '백골'의 의미 ... 156
2. 시 읽기와 문맥의 다의성 - 「산유화」·「진달래꽃」·「광야」를 중심으로 ... 166
3. 난해한 이상(李箱)의 시 ... 178
3-1. 권태에 관한 공포의 기록 - 「오감도」시제1호 분석
3-2. 벼랑 끝 인식의 문학적 해결 -「오감도」시제 1호·시제15호 분석
제6장 깊이 읽기의 몇 가지 사례
1. 한용운의 「님의 침묵」자세히 읽기 ... 204
2. 김수영의 「풀」과 서러움의 변증법 ... 216
3. 정지용의 「비」와「구성동」의 세계 ... 225
4. 깊이 읽기 연습과 사례 ... 239
4-1. 한용운의 「알 수 없어요」의 두 가지 읽기 ... 239
4-1-1. 교리적 해석에 대한 회의와 작품 자체 ... 240
4-1-2. 구조적 접근과 수사적 측면 ... 243
4-2. 기형도와 이성복의 시 읽기 ... 247
4-2-1. 기형도의 「포도밭 묘지·1」분석 ... 248
4-2-2. 이성복의 무기력과 불감증 ... 260
제7장 사례 연습의 정리와 비교
1. 김소월의 「접동새」 ... 270
2.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282
3. 이육사의 「절정」 ... 296
4. 서정주의 「목화」 ... 309
5. 조지훈의 「승무」 ... 322
제8장 한국명시 읽기
1. 김소월의 「산유화」 ... 342
2. 정지용의 「향수」 ... 344
3. 백석의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 347
4. 김수영의 「풀」 ... 350
5. 김춘수의 「꽃」 ... 352
6. 신경림의 「농무」 ... 354
제9장 우리 시의 문제점과 인식 전환
1. 우리 시와 중용적 적당주의 ... 359
2. 우리 시의 네 가지 약점 ... 264
3. 시의 지평 확대 ... 367
3-1. 시, 영화 그리고 우리들의 삶 ... 367
3-2. 시와 인접 예술의 새로운 종합 ... 373
4. 시적인 것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하여 ... 376
부록
1. 중요 참고문헌 ... 387
2. 찾아보기 ... 39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