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Ⅰ부 한국 전후시의 전통과 모더니티
제1장 전통주의 시의 형성과 전개 : 문장파와 전후 전통주의를 중심으로
1. 전통주의의 개념과 외연 ... 11
2. 한국 근대시에서 전통주의의 계보 ... 16
3. 문장파의 시적 이념과 전통주의 ... 19
4. 1950년대 전통파의 시적 이념과 전통주의 ... 30
...
더보기
목차 전체
제Ⅰ부 한국 전후시의 전통과 모더니티
제1장 전통주의 시의 형성과 전개 : 문장파와 전후 전통주의를 중심으로
1. 전통주의의 개념과 외연 ... 11
2. 한국 근대시에서 전통주의의 계보 ... 16
3. 문장파의 시적 이념과 전통주의 ... 19
4. 1950년대 전통파의 시적 이념과 전통주의 ... 30
5. 맺음말 - 전통주의 시의 시사적 의의와 한계 ... 52
제2장 박봉우 초기시 연구
1. 서론 : 전후 시단의 형성과 박봉우 시의 위치 ... 55
2. 분단의 현실과 그 극복 의지 : 『휴전선』 ... 62
3. '신(神)'의 부재와 내성화 경향 : 『겨울에도 피는 꽃나무』 ... 70
4. 4·19체험과 참여시의 전개 : 『사월의 화요일』과 그 이후 ... 73
5. 맺음말 ... 80
제3장 전후 전봉건 시의 시간의식과 현실 부정성
1. 서론 ... 83
2. 정지된 시간과 기호화된 자아 ... 86
3. 회상과 에피파니 - 시간의 가치론적 위계화 ... 93
4. 초월적 상상력과 에로티즘의 언어 ... 103
5. 맺음말 ... 112
제4장 아웃사이더의 시학 : 천상병론
1. 서론 ... 115
2. '새' - 현실의 부정과 초월 ... 118
3. 무욕의 정신 - 시대의 광기와 폭력을 이겨내기 ... 128
4. '아이'와 '하나님'의 눈으로 세상보기 ... 136
5. 맺음말 ... 141
제Ⅱ부 '無意味詩'로의 도정 - 김춘수의 시와 시론에 대한 분석적 연구
제1장 김춘수 前期詩의 자아 인식과 미적 근대성 : '무의미시'로 이르는 길
1. 서론 ... 145
2. 이상적 자아와 근원적 자연의 합일 ... 148
3. 서정적 자아의 소멸과 관념적 대상의 극대화 ... 163
4. 맺음말을 대신하여 : 무의미 시의 가능성 ... 178
제2장 김춘수의 무의미시론 연구
1. 서론 ... 181
2. '解脫' - '생의 구원'으로서의 시쓰기 ... 184
3. '이미지'에서 '脫이미지'로 ... 191
4. 언어의 유희와 허무의 초극 ... 197
5. 명상의 시간성과 무의미시론의 딜레마 ... 203
6. 맺음말 ... 208
제3장 김춘수 '무의미시'의 자아 인식과 시간 의식
1. 서론 ... 211
2. 자아와 대상의 소멸 ... 213
3. 주체 파멸과 주체 현존의 변증법 ... 227
4. 명상의 시간성과 영원성에의 지향 ... 236
5. 맺음말 ... 244
제Ⅲ부 其他
제1장 서정시의 위상 : 전통적 서정시와 리리시즘의 현대적 의미
1. 서론 ... 249
2. 서정시의 개념과 장르적 위상 ... 252
3. 좁은 의미의 서정시가 지닌 특성 ... 258
4. 맺음말 : 현대시에서 서정시의 위상 ... 266
제2장 북한시의 고유어 지향성과 언어미
1. 서론 ... 269
2. 북한의 언어 정책 - 주체의 언어 이론 ... 271
3. 주체의 문예 이론이 요구하는 문학(시)의 언어 ... 276
4. 북한 서정시의 언어적 특성 - 고유어를 중심으로 ... 281
5. 맺음말 ... 288
찾아보기 ... 29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