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제1장 학문과 저술 ... 13
1. 학문의 길 ... 13
1. 입문 과정 ... 14
2. 학문의 목표 ... 19
3. 학문적 스승 ... 23
4. 학문하는 태도 ... 26
5. 출사 시기의 학문 ... 30
6. 이황의 동학들 ... 33
2. 강학 및 저술 활동 ... 37
1. 『도산급문제현록』...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제1장 학문과 저술 ... 13
1. 학문의 길 ... 13
1. 입문 과정 ... 14
2. 학문의 목표 ... 19
3. 학문적 스승 ... 23
4. 학문하는 태도 ... 26
5. 출사 시기의 학문 ... 30
6. 이황의 동학들 ... 33
2. 강학 및 저술 활동 ... 37
1. 『도산급문제현록』과 이황의 문인 ... 37
2. 가르침의 중점 ... 39
3. 학교 교육 개선을 위한 노력 ... 43
4. 향리 교육의 내용 ... 49
5. 임금에게 올린 글 - 「무진육조소」와 「성학십도」 ... 54
6. 이황의 저작들 ... 58
제2장 『심경부주』의 존숭과 심학 ... 62
1. 『심경』과 『심경부주』 ... 63
2. 이황의 『심경부주』 연구 ... 66
1. 『심경부주』의 구득과 탐독 ... 66
2. 의심나는 뜻에 관한 문인과의 문답논변 ... 67
3. 독서 지도와 교육 ... 77
4. 저술 ... 80
3. 이황 심학의 내용과 특징 ... 82
4. 이황과 조목의 『심경부주』 문답 ... 89
1. 조목의 『심경부주』 연구와 이황에의 품질 ... 89
2. 문답논변의 내용 ... 91
3. '상자강마'의 본보기 ... 95
제3장 『자성록』과 학문방법론 ... 96
1. 『자성록』의 편집과 체제 ... 98
2. 초학자들의 공통된 병을 고치는 요령 ... 99
3. 학문하는 기본 자세 ... 101
4. 학문하는 방법 ... 103
5. 명성을 가까이 하는 데 대한 경계 ... 109
제4장 『고경중마방』과 수양론 ... 112
1. 『고경중마방』의 편집 경위 ... 112
2. 『고경중마방』의 구성 체계와 내용 ... 114
3. 옛 거울(古鏡)이 상징하는 것 ... 119
4. 『고경중마방』의 수양론적 의의 ... 123
제5장 「전습록변」과 육왕학 비판 ... 126
1. 정학과 이단 ... 126
2. 『전습록』에 담긴 철학 사상 ... 128
1. 재친민설 ... 128
2. '치지', '격물'에 대한 해석 ... 129
3. 심즉리설 ... 130
4. 지행합일설 ... 131
5. 치양지와 사상마련 ... 133
3. 주자만년정론설 ... 134
4. 이황의 육왕학 비판 ... 137
1. 「백사시교변」에서의 육왕학 비판 ... 138
2. 「전습록변」에서의 양명학 비판 ... 138
3. 「백사시교전습록초 인서기후」에서의 양명학 비판 ... 142
4. 「초의려선생집부백사양명초후 부서기말」에서의 양명학 비판 ... 143
5. 양명학에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 144
제6장 리기이원론과 도덕의 원천 ... 150
1. 퇴계학과 「성학십도」 ... 150
2. 우주론과 선악의 근원 문제 ... 150
3. 이황의 리기론에 담긴 윤리적 함의 ... 155
제7장 퇴계학의 입문서 『퇴서백선』 ... 157
1. 『퇴서백선』 편집의 기준 ... 157
2. 『퇴서백선』의 편집 체제 및 주제 ... 160
3. 『퇴서백선』의 의의 ... 164
제8장 이황과 조식 ... 167
1. 조식의 생애와 처세 ... 167
2. 조식의 학문과 사상 ... 172
3. 조식과 이황의 관계 ... 176
제9장 이황과 후설 - 거경궁리의 성리학과 본질직관의 현상학 ... 186
1. 비교연구의 조건과 방법론에 관한 검토 ... 186
1. 비교연구의 조건 ... 188
2. 비교연구의 방법론 ... 190
3. 이해 지평의 융합과 확대 ... 194
2. 퇴계학의 중심 문제 ... 195
1. 철학함의 근본 동기 ... 195
2. 성리학의 이념 : 성학의 추구 실현 ... 196
3. 성리학의 주제 : 리와 기, 심과 성 ... 198
4. 성리학의 방법 : 궁리·성찰과 거경·존양 ... 201
3. 후설 현상학의 중심 문제 ... 206
1. 철학함의 근본 동기 ... 206
2. 현상학의 철학 이념 : 엄밀한 학문으로서의 철학 ... 209
3. 현상학의 주제 : 지향성 ... 211
4. 현상학의 방법 : 환원과 본질직관 ... 215
4. 퇴계학과 후설 현상학의 유사점과 차이점 ... 217
1. 유사점 ... 217
2. 차이점 ... 221
5. 맺는 말 ... 223
제10장 이황과 셸링의 자연철학 ... 233
1. 이황의 자연철학 ... 234
1. 태극 ... 237
2. 동정 ... 239
3. 기(우주의 질료) ... 241
4. 리(우주 생성의 원리와 질서) ... 242
5. 이황의 이원론적 자연철학 ... 244
2. 셸링의 자연철학 ... 245
1. 절대자 ... 248
2. 절대자의 운동 ... 250
3. 절대자의 자연에로의 분화 전개 ... 252
4. 절대자의 정신화 ... 253
5. 셸링의 일원론적 동일철학 ... 254
3. 맺는 말 ... 256
부록 퇴계학의 외국 전파와 국제적 연구 현황 ... 259
부록1. 해외 전파의 역사 ... 261
부록2. 국제화 현황 ... 273
1. 퇴계학의 국제화 추진 ... 273
2. 지역별 퇴계학 연구 현황 ... 279
3. 평가 및 과제 ... 291
부록3. 퇴계학국제학술회의 일람 ... 293
참고문헌 ... 312
찾아보기 ... 31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