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론 ... 17
제1장 1712년의 조·청(朝·淸) 백두산 정계
1. 정계의 배경 ... 31
가. 북관정비론(北關整備論)과 두만강변 개간지 확대 ... 31
나. 범월사건의 증가 ... 41
2. 조·청 백두산정계 ... 48
3. 두만강 수원(水源)의 문제와 조선의 대응 ... 59
제2장 중앙정부의 함경도 개발정책
1. 강역확보 노력 ...
더보기
목차 전체
서론 ... 17
제1장 1712년의 조·청(朝·淸) 백두산 정계
1. 정계의 배경 ... 31
가. 북관정비론(北關整備論)과 두만강변 개간지 확대 ... 31
나. 범월사건의 증가 ... 41
2. 조·청 백두산정계 ... 48
3. 두만강 수원(水源)의 문제와 조선의 대응 ... 59
제2장 중앙정부의 함경도 개발정책
1. 강역확보 노력 ... 74
2. 민생안정책 ... 88
가. 개시정례(開市定例)의 정비 ... 88
나. 교제창의 설치와 운영 ... 96
3. 백두산의 국가사전화(國家祀典化) ... 103
4. 왕실사적 현창사업 ... 107
5. 함경도 소개서의 증가 ... 118
제3장 함경도지역의 성장
1. 인구증가와 개간지 확대 ... 130
가. 두만강변 개간과 무산부(茂山府)의 성장 ... 131
나. 내륙지역 개발과 장진부(長津府) ... 138
(1) 장진부의 신설 ... 138
(2) 19세기 장진부의 읍세 변화 ... 142
다. 압록강변 개발과 폐사군지역의 읍치 설치 ... 152
(1) 후주지역의 개발과 후장군 설치 ... 154
(2) 자성군의 설치와 폐사군의 완전 복구 ... 169
2. 무사층과 친기위 ... 179
가. 설치경위와 편성규정 ... 179
(1) 설치경위 ... 179
(2) 편제 및 대우 ... 184
나. 체제확립과 증액과정 ... 193
(1) 증강정책의 추진 ... 193
(2) 규모확대의 의미 ... 197
다. 친기위의 허설화(虛設化) ... 202
(1) 친기위의 위상저하 ... 202
(2) 군사적 의미의 상실 ... 205
3. 함경도 문사층의 위상강화 노력 ... 213
가. 18세기말의 '문풍'(文風) 인정 ... 213
나. 19세기 함경도 유생들의 위상 강화 노력 ... 226
(1) 도과(道科)의 시행요구 ... 227
(2) 지방 명사 숭앙사업 ... 229
(3) 왕실사적 현창사업 참여 ... 234
제4장 조선 후기의 북방영토의식
1. 폐사군 복구론(廢四郡復舊論) ... 240
2. 고토수복론(故土收復論) ... 247
가. 요동수복론(僚東收復論) ... 247
나. 선춘령(先春嶺)에 대한 재인식 ... 251
3. 백두산정계 비판과 분계강론(分界江論) ... 256
가. 백두산정계에 대한 비판 ... 256
나. 분계강론(分界江論) ... 261
4. 19세기말 조·청 영토분쟁의 배경 ... 269
가. 조선의 범월방지 노력 ... 269
나. 조선인 월강 개간의 증가 ... 280
결론 ... 28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