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11
제1장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의 회화 ... 17
고구려 고분벽화의 흐름 ... 18
Ⅰ 머리말 ... 18
Ⅱ 고분벽화의 개관 ... 20
Ⅲ 초기의 고분벽화 ... 23
Ⅳ 중기의 고분벽화 ... 33
Ⅴ 후기의 고분벽화 ... 39
Ⅵ 맺음말 ... 44
삼국시...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11
제1장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의 회화 ... 17
고구려 고분벽화의 흐름 ... 18
Ⅰ 머리말 ... 18
Ⅱ 고분벽화의 개관 ... 20
Ⅲ 초기의 고분벽화 ... 23
Ⅳ 중기의 고분벽화 ... 33
Ⅴ 후기의 고분벽화 ... 39
Ⅵ 맺음말 ... 44
삼국시대의 인물화 ... 45
Ⅰ 머리말 ... 45
Ⅱ 고구려의 인물화 ... 47
Ⅲ 백제와 신라의 인물화 ... 102
Ⅳ 맺음말 ... 112
기미년명 순흥 읍내리 고분벽화의 내용과 의의 ... 116
Ⅰ 머리말 ... 116
Ⅱ 벽화의 내용과 특징 ... 117
Ⅲ 맺음말 ... 133
삼국시대 회화의 일본전파 ... 135
Ⅰ 머리말 ... 135
Ⅱ 일본에서 활약한 삼국계 화가들 ... 136
Ⅲ 삼국계 화풍을 지닌 일본 소재 대표작들 ... 144
Ⅳ 맺음말 ... 202
통일신라의 회화 ... 211
제2장 고려시대의 회화 ... 215
이녕과 고려의 회화 ... 216
Ⅰ 머리말 ... 216
Ⅱ 『고려사』의 기록을 통해 본 이녕 ... 217
Ⅲ 이녕과 고려의 회화 ... 219
Ⅳ 맺음말 ... 224
고려시대의 인물화 ... 225
Ⅰ 머리말 ... 225
Ⅱ 초상화 ... 227
Ⅲ 일반 인물화 ... 231
Ⅳ 고분벽화 속의 인물 ... 240
Ⅴ 불교회화 속의 인물 ... 246
Ⅵ 맺음말 ... 250
파주 서곡리 고려 벽화고분의 벽화 ... 252
Ⅰ 머리말 ... 252
Ⅱ 네 벽의 십이지신상 ... 253
Ⅲ 천정의 성수도 ... 260
Ⅳ 맺음말 ... 262
고려 불교회화의 회화사적 의의 ... 265
Ⅰ 머리말 ... 265
Ⅱ 고려불화의 특징 ... 267
Ⅲ 고려불화와 일반회화의 연관성 ... 274
Ⅳ 맺음말 ... 284
고려 및 조선 초기의 대중(對中) 회화교섭 ... 285
Ⅰ 머리말 ... 285
Ⅱ 고려시대의 대중 회화교섭 ... 285
Ⅲ 안평대군 소장의 중국화 ... 297
Ⅳ 조선 초기의 대중 회화교섭 ... 303
Ⅴ 맺음말 ... 306
제3장 조선 초기의 회화 ... 309
조선 초기(1392∼약 1550) 회화의 제경향 ... 310
Ⅰ 머리말 ... 310
Ⅱ 고려 전통의 계승과 중국 화풍의 수용 ... 311
Ⅲ 왕공·사대부와 회화 ... 315
Ⅳ 도화서와 화원 ... 319
Ⅴ 회화의 제경향 ... 323
Ⅵ 일본 무로마치 시대 회화에 미친 영향 ... 338
Ⅶ 맺음말 ... 342
안견과 그의 화풍 - 〈몽유도원도〉를 중심으로 ... 343
Ⅰ 머리말 ... 343
Ⅱ 15세기 조선왕조의 산수화단 ... 343
Ⅲ 안견과 안평대군 ... 347
Ⅳ 〈몽유도원도〉의 고찰 ... 357
Ⅴ 맺음말 ... 378
안견 전칭의 〈사시팔경도〉 ... 380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소상팔경도〉 ... 390
필자미상의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 ... 401
조선 초기 안견파 산수화 구도의 계보 ... 408
Ⅰ 머리말 ... 408
Ⅱ 15세기 안견파 산수화의 구도 ... 409
Ⅲ 16세기 전반 안견파 산수화의 구도 ... 414
Ⅳ 맺음말 ... 427
16세기 안견파 회화의 단선점준 ... 429
Ⅰ 머리말 ... 429
Ⅱ 단선점준의 발생 ... 430
Ⅲ 16세기 전반의 회화와 단선점준 ... 433
Ⅳ 16세기 후반의 회화와 단선점준 ... 447
Ⅴ 맺음말 ... 449
속전(俗傳) 안견 필 〈적벽도〉 ... 451
16세기 중엽의 계회도를 통해 본 회화양식의 변천 ... 463
조선 초기의 회화와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수묵화 ... 474
Ⅰ 머리말 ... 474
Ⅱ 조선 초기 한·일 회화교섭의 배경 ... 475
Ⅲ 양수 찬(讚) 〈파초야우도〉 ... 479
Ⅳ 슈분(周文)과 수문(秀文) ... 482
Ⅴ 文淸(문청 / 분세이)의 문제 ... 492
Ⅵ 맺음말 ... 499
제4장 조선 중기의 회화 ... 501
조선 중기(약 1550∼약 1700) 회화의 제양상 ... 502
Ⅰ 머리말 ... 502
Ⅱ 산수화의 제경향 ... 504
Ⅲ 인물화의 경향 ... 529
Ⅳ 동물화와 화조화의 경향 ... 539
Ⅴ 사군자화와 묵포도화의 경향 ... 548
Ⅵ 맺음말 ... 557
절파계 화풍의 제양상 ... 558
Ⅰ 머리말 ... 558
Ⅱ 중국 절파 화풍의 생성과 발전 ... 562
Ⅲ 절파 화풍의 동전(東傳)과 수용 ... 568
Ⅳ 한국 절파 화풍의 변천 ... 572
Ⅴ 맺음말 ... 618
내조(來朝) 중국인 화가 맹영광 ... 620
Ⅰ 머리말 ... 620
Ⅱ 맹영광의 생애 ... 620
Ⅲ 맹영광의 내조 경위 ... 623
Ⅳ 맹영광 내조시의 교유와 활동 ... 625
Ⅴ 맹영광의 화풍 ... 629
Ⅵ 맺음말 ... 639
제5장 조선 후기 및 말기의 회화 ... 641
조선 후기(약 1700∼약 1850) 회화의 신동향 ... 642
Ⅰ 머리말 ... 642
Ⅱ 회화의 신경향 ... 643
Ⅲ 맺음말 ... 665
『관아재고』의 회화사적 의의 ... 666
Ⅰ 머리말 ... 666
Ⅱ 관아재 조영석의 생애와 예술 ... 667
Ⅲ 『관아재고』의 내용과 의의 ... 673
Ⅳ 맺음말 ... 684
조선 말기(약 1850∼1910) 회화의 제양상 ... 686
Ⅰ 머리말 ... 686
Ⅱ 다난의 시대 ... 687
Ⅲ 전통의 위축 ... 689
Ⅳ 김정희파의 지배 ... 699
Ⅴ 이색화풍의 대두 ... 715
Ⅵ 허련·장승업 두 계보의 확립 ... 718
Ⅶ 맺음말 ... 726
부록1 ... 731
조선시대의 화원 ... 732
조선 초기 회화 연구의 제문제 ... 764
부록2 ... 781
나의 한국회화사 연구 ... 782
안휘준 저작목록 ... 800
수록된 글의 출전 ... 828
도판목록 ... 830
찾아보기 ... 83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