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서론 ... 11
1. 연구과제 ... 11
2. 연구방법 ... 19
제1장 판소리 가창자의 변모양상과 그 의미 ... 25
1. 가창자(歌唱者)의 사회적 위상의 변모 ... 25
1) 19세기 이전의 양상 ... 26
(1) 17세기의 양상 ... 26
(2)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서론 ... 11
1. 연구과제 ... 11
2. 연구방법 ... 19
제1장 판소리 가창자의 변모양상과 그 의미 ... 25
1. 가창자(歌唱者)의 사회적 위상의 변모 ... 25
1) 19세기 이전의 양상 ... 26
(1) 17세기의 양상 ... 26
(2) 18세기의 양상 ... 31
2) 19세기의 양상 ... 33
3) 20세기 초의 양상 ... 37
2. 유파의 분화와 그 의미 ... 38
3. 음악적 측면에서의 발달 ... 43
4. 판소리 비평과 이론의 대두 ... 49
제2장 판소리 연행방식과 사회적 위상의 변모양상 ... 57
1. 판소리 연행방식의 변모양상 ... 57
1) 다른 민속예능과의 합동공연 ... 57
2) 단돈 연행 ... 62
3) 전문 흥행예술과의 합동 연행 ... 65
4) 판소리의 실내악화와 기악화 ... 68
5) 극장에서의 연행 ... 71
2. 판소리의 사회적 위상의 변모양상 ... 80
1) 대중예술로서의 위상 ... 80
2) 당대 풍속과의 관계 ... 83
제3장 판소리 수용과 수용의식의 변모양상 ... 89
1. 19세기 판소리의 수용양상과 수용의식 ... 89
1) 상층의 경우 ... 89
(1) 수용양상 ... 89
(2) 수용태도와 감흥의 본질 ... 98
2) 중간층의 경우 ... 107
(1) 중서층의 경우 ... 107
(2) 평민부호층의 판소리 수용양상 ... 122
(3) 하층의 경우 ... 125
2. 20세기 초의 판소리 수용양상과 수용의식 ... 132
1) 수용양상 ... 132
2) 수용의식 ... 138
제4장 판소리 작품세계의 변모양상 ... 145
1. 19세기 후반부의 변모양상 ... 145
1) 주인공의 이상화 ... 145
(1) 주인공의 출생과정을 통한 이상화 ... 145
(2) 춘향에 대한 주변인물들의 태도를 통한 이상화 ... 153
2) 도덕적 엄격성과 의지의 강화 ... 157
3) 극적 집중화 ... 163
4) 현실인식의 문제 ... 167
2. 20세기 초의 변모양상 ... 170
1) 범인서사시와 영웅서사시 사이의 갈등 ... 170
2) 서사와 극 사이에서의 갈등 ... 173
3) 주인공의 시민적 형상화의 바탕 ... 174
4) 극적 집중화의 강화 ... 180
5) 범인적 비장에서 영웅적 비장으로의 변모 ... 182
결론 ... 187
제2부
19세기∼20세기 초 판소리 수용양상 연구 ... 195
1. 서론 ... 195
2. 19세기∼20세기 초 판소리 연행공간의 의미 ... 198
1) 19세기 판소리 연행공간의 의미 ... 198
2) 20세기 초 판소리 연행공간의 의미 ... 205
3. 19세기∼20세기 초 판소리 수용의 두 층위 ... 209
1) 19세기의 경우 ... 209
(1) 이념의 층위 ... 209
(2) 정서적 층위 ... 215
2) 20세기 초의 경우 ... 218
4. 19세기∼20세기 초 판소리 수용의 실태 ... 222
1) 「광한루악부」의 경우 ... 222
2) 장자백 창본 「춘향가」의 경우 ... 229
(1) 자료의 성격 ... 229
(2) 내용상의 특징 ... 231
(3) 골계지향적 정신과 그 표현 ... 237
3) 신재효 「춘향가」의 행방 ... 242
(1) 연행의 측면에서 「남창」과 「동창」의 비교 ... 243
(2) 「남창」과 김창환제 「춘향가」의 비교 ... 246
5. 결론 ... 256
「은세계」의 성립과정 연구 ... 259
1. 머리말 ... 259
2. 「최병두타령」의 현장 ... 260
1) 경금 ... 262
2) 본평댁 ... 262
3) 최병도 ... 263
4) 김정수 ... 263
5) 정감사 ... 264
3. 판소리사와 「최병두타령」의 구조적 원천 ... 267
1) 「최병두타령」의 구조적 원천 ... 267
2) 판소리사에서의 위치 ... 271
4. 「최병두타령」에서 「은세계」로의 이행원리 ... 273
1) 판소리 「최병두타령」과 창극 「은세계」 ... 274
2) 소설 「은세계」의 존재 방식 ... 277
5. 애국계몽기와 「은세계」 ... 281
6. 맺음말 ... 287
판소리의 근대문학 지향과 「은세계」 ... 289
1. 머리말 ... 289
2. 창극운동과 「은세계」 ... 291
1) 19세기 판소리의 지향과 창극 ... 291
2) 창작 주체의 문제 ... 292
3) 창작의 원천 ... 298
4) 「은세계」의 영향 ... 300
3. 「은세계」의 시민성과 현실주의 ... 303
1) 시민 최병도 ... 303
2) 갈등구조의 현실주의적 성격 ... 306
4. 영웅적 비장미 ... 313
5. 맺음말 ... 317
참고문헌 ... 321
찾아보기 ... 32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