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내면서 ... 3
19세기 판소리사와 「변강쇠가」 ... 13
1. 머리말 ... 13
1) 문제의 제기 ... 13
2) 「변강쇠가」의 자료, 연구사 및 문제점 ... 15
2. 「변강쇠가」의 인물 ... 18
1) 건달 - 강쇠 ... 18
2) 비극적 하층 천민의 삶 - 옹녀 ... 21
...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내면서 ... 3
19세기 판소리사와 「변강쇠가」 ... 13
1. 머리말 ... 13
1) 문제의 제기 ... 13
2) 「변강쇠가」의 자료, 연구사 및 문제점 ... 15
2. 「변강쇠가」의 인물 ... 18
1) 건달 - 강쇠 ... 18
2) 비극적 하층 천민의 삶 - 옹녀 ... 21
3. 「변강쇠가」의 구조 ... 23
1) 갈등구조 ... 23
2) 「흥부가」와의 비교 ... 25
3) 「장끼전」과의 비교 ... 28
4) 봉산탈춤 「미얄과장」과의 비교 ... 31
4. 「변강쇠가」의 사회사적 의미 ... 33
5. 19세기 판소리사와 「변강쇠가」 ... 39
「변강쇠가」와 기괴미 ... 47
1. 문제의 소재 ... 47
2. 등장인물의 성격과 갈등구조 ... 52
1) 변강쇠와 옹녀의 성격 ... 52
2) 갈등구조 ... 56
3. 「변강쇠가」의 미적 특질 ... 60
4. 기괴미의 추구와 신재효의 의식 ... 71
5. 맺음말 ... 81
「장끼전」의 뒤틀림의 미학 ... 83
1. 문제의 제기 ... 83
2. 「장끼전」의 이본계통 ... 85
1) 「장끼타령」관련자료 ... 85
2) 「장끼전」의 이본계통 ... 87
3. 장끼와 까투리의 인물 형상 ... 96
1) 장끼 ... 97
2) 까투리의 두 모습 ... 104
3. 「장끼전」의 갈등구조와 그 미적 특질 ... 110
1) 「장끼전」의 기본갈등-빈민의 지속적 고난 ... 110
2) 진지함과 뒤틀림의 대조-전반부 ... 112
3) 일탈과 뒤틀기-후반부 ... 117
4. 맺음말 ... 123
중세 해체기의 두 웃음 ― 「베비장전」에서 「이춘풍전」까지 ... 127
1. 머리말 ... 127
2. 개별 작품에 대한 예비적 고찰 ... 128
1) 이본 상황 ... 128
2) 성립 연대 ... 129
3. 내적 구조 ... 132
1)‘내기와 공모’의 두 구조 ... 132
2)‘내기와 공모’의 두 방식 ... 133
4. 작자와 독자층 ... 137
1) A형의 작자와 독자 ... 137
2) B형의 작자와 독자 ... 142
5. 전환기 ‘웃음’의 두 양상 ... 143
1) 제한된 공간의 풍자적 웃음 ... 144
2) 시정의 웃음과 그 시대적 의미 ... 147
6. 맺음말 ... 151
「무숙이 타령」과 19세기 서울 시정 ... 153
1. 머리말 ... 153
2. 「무숙이 타령」의 사설 정착인 근거 ... 154
1) 「관우희」의 자료 ... 154
2) 「게우사」가 「무숙이 타령」인 근거 ... 154
3) 「게우사」라 한 이유 ... 160
4) 「게우사」의 성립연대 ... 161
3. 인물 ... 161
1) 김무숙 ... 161
2) 의양 ... 166
3) 막덕이 ... 170
4. 구성과 주제 ... 172
5. 「무숙이 타령」과 19세기 서울의 시정 ... 176
1) 왈자 또는 평민 부호의 유흥 양상 ... 176
2) 서울 시정의 여러 모습들 ... 187
3) 판소리 관계 자료 ... 189
6. 19세기 판소리사와 「무숙이 타령」 ... 192
「옹고집전」과 조선후기 요호부민 ... 195
1. 머리말 ... 195
2. 「옹고집전」이본의 계통과 그 변이양상 ... 199
1) 자료현황 ... 199
2) 이본의 계통과 변모양상 ... 200
3. 옹고집의 신분 ... 211
4. 요호부민으로서의 옹고집 ... 216
5. 「옹고집전」의 풍자와 그 한계 ... 221
1) 성격적 결함 ... 221
2) 옹고집의 반사회성 ... 223
3) 풍자와 그 한계 ... 226
6. 「옹고집전」과 다른 작품과의 관계 ... 228
7. 맺음말 ... 231
창이 전승되지 않는 판소리의 종합적 연구 ... 233
1. 머리말 ... 233
1) 연구목적 ... 233
2) 연구사와 쟁점 ... 233
2. 시각의 조정 ... 236
1) 향유중심층과 향유의식 ... 236
2) 판소리 창자 쪽의 변화 ... 244
3) 창을 잃은 7가=평민적 성격의 등식문제 ... 245
3. 창을 잃은 판소리의 흥행변화와 자료의 실상 ... 247
1) 「관우희」·신재효·이해조·이선유의 시간적 거리 ... 247
2) 자료의 실상에 대한 검토와 그 특징 ... 247
4. 창을 잃은 판소리가 주로 문제삼은 것 ... 250
1) 「변강쇠가」 ... 251
2) 「장끼전」 ... 254
3) 「무숙이 타령」 ... 257
4) 「배비장전」 ... 260
5) 「강릉매화타령」 ... 262
6) 「옹고집전」 ... 264
7) 「가짜 신선타령」 ... 267
5. 인물유형과 갈등구조 그리고 작가의 시각 ... 270
1) 인물유형 ... 271
2) 갈등구조 ... 274
3) 작가의 시각 ... 276
6. 창을 잃은 판소리의 미적 특질 ... 278
7. 창을 잃은 이유의 검토 ... 282
8. 맺음말 ... 287
판소리 「숙영낭자전」연구 ... 291
1. 머리말 ... 291
2. 소설본과 창작본의 비교 ... 293
3. 판소리화의 방식 ... 296
1) 상황의 요약적 제시와 선택적 구성 ... 296
2) 특정 부분의 집중적 제시 ... 298
3) 기존 판소리 사설의 차용 ... 300
4) 새로운 사설의 창작 ... 303
4. 서사민요 「옥단춘요」와의 비교 ... 307
5. 미적 특질과 그 한계 ... 311
6. 맺음말 ... 314
19세기말 ∼20세기초 서울의 도시화와 시정세태 ... 317
1. 머리말 ... 317
2. 개항 전 서울의 시정세태 ... 319
3. 개항 후 서울의 시정세태 ... 321
1) 「이춘풍전」의 경우 ... 321
2) 갑오 이후 서울의 시정세태 ... 322
3) 「황금탑」과 성실성의 문제 ... 333
4. 맺음말 ... 338
찾아보기 ... 34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