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신화'와 '광기'를 넘어서 - 소통 가능성을 위하여 ... 5
제1부 탈근대와 탈식민
식민지인식의 회색지대 - 일제하 공공성과 규율권력 ... 23
1. 왜 회색지대인가? ... 23
2. 저항과 협력의 변증법 - 식민지적 공공성의 의미 ... 27
3. 근대화와 규율권력 ... 39
4. 결론에 대신하여 ...
더보기
목차 전체
'신화'와 '광기'를 넘어서 - 소통 가능성을 위하여 ... 5
제1부 탈근대와 탈식민
식민지인식의 회색지대 - 일제하 공공성과 규율권력 ... 23
1. 왜 회색지대인가? ... 23
2. 저항과 협력의 변증법 - 식민지적 공공성의 의미 ... 27
3. 근대화와 규율권력 ... 39
4. 결론에 대신하여 ... 49
친일파 청산과 탈식민의 과제 ... 53
1. '친일파 청산'에 관한 논의의 흐름 ... 53
2. '일제잔재 청산'과 '인적청산'의 문제 ... 56
3. 일제잔재 청산과 한국 근대민족주의 ... 64
4. 인권, 민주주의, 일제잔재 청산 ... 68
5. 동아시아 냉전과 일본의 전후청산 ... 71
6. 민족국가 단위의 역사인식과 역사의 기억을 둘러싼 투쟁 ... 73
억압된 '주체'와 '맹목'의 권력 - 동아시아 역사논쟁과 국민국가 ... 77
1. 군말 ... 77
2. '동아시아 역사논쟁'이 던지는 질문 ... 81
3. '우익교과서'의 '구성주의'가 가지는 패러독스 - '뜨거운 감자'인가? ... 84
4. 가해와 피해의 이중주 - '근린제국조항'과 '황국사관' 비판 ... 91
5. '거울'을 깨자 ... 96
제2부 한국 근대민족주의 비판
한국 민족주의의 근대성 비판 ... 111
1. 들어가는 말 ... 111
2. 한국 근대민족주의의 특성 ... 115
3. 해방 이후 민족주의의 체제성과 운동성 ... 141
4. 한국 민족주의의 전망 ... 150
내파하는 민족주의 ... 156
1. 들어가는 말 ... 156
2. 국민국가의 지위와 공공민족주의(civic nationalism) ... 169
3. 내파하는 민족주의 ... 179
4. 맺음말 ... 188
제3부 한국 근대민족주의 재인식
신채호의 민족주의 - 민중적 민족주의 또는 민족주의를 넘어서 ... 193
1. 신채호를 재독해할 의무 ... 193
2. 대한제국기 신채호 민족주의의 성격 ... 197
3. 1920년대 신채호의 민중적 민족주의 또는 민족주의의 극복 ... 215
4. 결론에 대신하여 ... 228
민족부르주아지에서 황국신민으로 - 일제하 협력의 기저 ... 231
1. 들어가는 말 ... 231
2. '만주특수'의 도래와 조선인자본가들의 '진출' ... 232
3. '농민획득경쟁'과 농민운동의 관제운동으로의 포섭 ... 239
4. 1930년대 초반 민족주의운동의 '방향전환'과 친일화과정 ... 249
5. 맺음말 ... 258
제4부 인터뷰
한국 근대민족주의 비판과 탈식민의 논리 ... 263
1. 한국 근대민족주의의 '근대성' 비판 ... 263
2. '내재적 발전론' 비판 ... 274
3. 분단 - 냉전 질서와 한국사 연구 ... 288
4. 식민잔재의 청산과 탈식민 ... 297
[일러두기] ... 309
[찾아보기] ... 31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