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배경론 - 문체와 문체분류
한문문체와 운문문체 ... 3
한문문체분류의 전개양상 ... 6
시문선집의 편찬제재와 분류체계 ... 32
1. 편찬체재 ... 32
2. 분류체계 ... 45
Ⅱ. 문체론 - 운문문체의 이해
서론 ... 53
운문문체의 연원 ... 56
1. 箴의 연원 ... 56...
더보기
목차 전체
Ⅰ. 배경론 - 문체와 문체분류
한문문체와 운문문체 ... 3
한문문체분류의 전개양상 ... 6
시문선집의 편찬제재와 분류체계 ... 32
1. 편찬체재 ... 32
2. 분류체계 ... 45
Ⅱ. 문체론 - 운문문체의 이해
서론 ... 53
운문문체의 연원 ... 56
1. 箴의 연원 ... 56
2. 銘의 연원 ... 66
3. 頌의 연원 ... 85
4. 贊의 연원 ... 88
운문문체의 體裁와 類別 ... 90
1. 箴의 體裁와 類別 ... 90
2. 銘의 體裁와 類別 ... 104
3. 頌의 體裁와 類別 ... 122
4. 贊의 體裁와 類別 ... 134
결론 ... 141
Ⅲ. 작품론 - 운문문체의 분석
이규보 箴銘의 문체 분석 ... 149
1. 箴의 문체 분석 ... 149
2. 銘의 문체 분석 ... 154
茶山 頌의 문체 분석 ... 165
『동문선』 소재 贊의 문체 분석 ... 177
1. 형식분석 ... 177
2. 주제유형별 서술구조 ... 193
이규보 贊의 문체 분석 ... 225
1. 내적 의미(inner meaning)에서 탈피 ... 225
2. 외적 형식(outward form)의 다양성 제시 ... 228
3. 갈래(Genre)의 영역 확장 ... 231
참고문헌 ... 235
찾아보기 ... 23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