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ⅲ
제1장 조선 후기 유교와 서학의 교류와 충돌 ... 1
1. 서학의 전래와 유교·서학의 갈등문제 ... 1
2. 서학의 전래와 조선사회의 수용기반 ... 4
3. 조선 정부의 서학 금압정책 ... 12
4. 서학 수용에 따른 쟁점과 영향 ... 28
5. 유교·서학의 교류와 갈등의 의미 ... 43
제2장 星湖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ⅲ
제1장 조선 후기 유교와 서학의 교류와 충돌 ... 1
1. 서학의 전래와 유교·서학의 갈등문제 ... 1
2. 서학의 전래와 조선사회의 수용기반 ... 4
3. 조선 정부의 서학 금압정책 ... 12
4. 서학 수용에 따른 쟁점과 영향 ... 28
5. 유교·서학의 교류와 갈등의 의미 ... 43
제2장 星湖 李瀷의 서학 인식 ... 47
1. 성호의 서학 인식문제 ... 47
2. 학풍의 개방성과 서학 지식의 이해 ... 50
3. 서학 윤리의 긍정적 이해와 천주교 교리의 비판적 인식 ... 57
4. 서양 과학의 인식과 새로운 세계과 ... 71
5. 성호 실학에서 서학이 지닌 의의 ... 82
제3장 遯窩 愼後聃의 서학 비판이론과 쟁점 ... 85
1. 攻西派의 설립과 신후담의 위치 ... 85
2. 신후담의 서학 인식과 비판태도 ... 90
3. 천주·태극개념의 논변 ... 95
4. 영혼론의 비판논리 ... 99
5. 신후담의 서학 비판론이 지닌 특성 ... 114
제4장 順菴 安鼎福의 서학 비판이론과 쟁점 ... 117
1. 安鼎福의 서학 인식과 비판의 기본입장 ... 117
2. 天主와 降生 문제의 쟁점 ... 122
3. 윤리와 사회질서의 쟁점 ... 125
4. 영혼론과 연관된 쟁점 ... 129
5. 艮翁 李獻慶의 「天學問答」에 제시된 서학 비판론 ... 134
6. 안정복의 서학 비판론이 지닌 특성 ... 137
제5장 髥齋 洪正河의 서학 비판이론과 쟁점 ... 141
1. 서학 비판의 목적 ... 141
2. 서학 비판의 기본방법 ... 145
3. 天主 개념의 비판과 쟁점 ... 153
4. 윤리의식과 자연과에 대한 비판 ... 168
5. 홍정하의 서학 비판론이 지닌 특성 ... 187
제6장 信西派의 유교문화 인식과 천주교 신앙 ... 191
1. 조선 후기 信西派의 천주교 신앙 ... 191
2. 信西派의 초기 신앙공동체와 전개과정 ... 193
3. 李檗의 서학 인식 ... 202
4. 丁若鍾의 『주교요지』와 黃嗣永의 「帛書」 ... 208
5. 丁夏祥의 「上宰相書」와 護敎論의 쟁점 ... 213
6. 信西派의 신앙활동이 지닌 성격과 의미 ... 219
제7장 茶山의 事天學과 서학 수용 ... 223
1. 事天學의 제기와 계승 ... 223
2. 다산과 천주교 신앙의 만남 ... 225
3. 白湖의 古學과 事天學의 정립 ... 229
4. 다산의 上帝·魂神 개념과 事天 ... 240
5. 다산의 心性 개념과 사후존재 ... 256
6. 다산의 서학 수용이 지닌 의미 ... 266
제8장 華西學派의 西學 인식과 斥邪論 ... 269
1. 한말의 시대상황과 斥邪論의 각성 ... 269
2. 천주·영혼개념을 形氣로 규정하는 비판론 ... 272
3. 서학의 신앙과 윤리관에 대한 비판론 ... 279
4. 華夷論과 西勢 배척의 논리 ... 286
5. 도학 정통의 수호와 禦洋 대책 ... 293
6. 한말 도학과 척사론의 의미 ... 297
제9장 海鶴 李沂와 佛人 神父 로베르의 儒學·西學 論辨 ... 301
1. 조선 후기 儒敎와 西學의 交涉史的 이해 ... 301
2. 李沂와 로베르의 논변에 관한 문헌과 성격 ... 306
3. 논변의 쟁점과 이론 ... 308
4. 논변의 의의와 한계 ... 322
참고문헌 ... 325
찾아보기 ... 32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