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 서설|근대의 책 읽기와 소설 독자
1 문화변동 속의 책 읽기 ... 23
2 역사의 신비한 힘 : 1920∼30년대에 주목하는 이유 ... 27
3 왜 '소설 읽기'를 통해 보는가? ... 37
4 독자란 누구인가? ... 45
5 어떤 소설을 읽었을까? ... 52
2 근대 독자 형성의 문화적 조건
1 근대적 대중 독자...
더보기
목차 전체
1 서설|근대의 책 읽기와 소설 독자
1 문화변동 속의 책 읽기 ... 23
2 역사의 신비한 힘 : 1920∼30년대에 주목하는 이유 ... 27
3 왜 '소설 읽기'를 통해 보는가? ... 37
4 독자란 누구인가? ... 45
5 어떤 소설을 읽었을까? ... 52
2 근대 독자 형성의 문화적 조건
1 근대적 대중 독자 등장의 전야 ... 63
구활자본 소설 독자의 문화적 위상 ... 64
"소설은 국민의 나침반" ... 76
"소설은 여자와 시정 무식배가 제일 즐겨하는 바" ... 81
2 문맹과 이중언어 상황 ... 92
문명의 도구는 일본어였다 ... 93
소설과 책의 다양한 표기법 ... 99
"漢字를 너무 썼어" : 순한글 문학의 위상 ... 103
3 책 읽기와 시각의 근대화 ... 108
공동체적 도서/음독·개인적 독서/묵독과 근대성 ... 109
묵독이 이단을 낳는다 : 근대문학과 묵독 ... 120
구술문화와 공동체적 독서의 재생산 127
'시각적 현대성'의 성립 ... 134
영화·연극 '보기'와 책 '읽기' ... 139
4 글쓰기와 연애편지의 시대 ... 146
삶의 새로운 양식으로서의 글쓰기 ... 147
근대문학 발전은 연애편지 쓰기로부터 ... 157
3 1920∼30년대의 책 읽기와 문화의 변화
1 1920∼30년대 책 발간 추세 ... 171
독서인구의 급격한 증가 ... 172
1920년대 조선문 출판물 허가 건수 추세 ... 175
검열과 출판의 자유 ... 177
2 매뉴얼과 포르노프래피의 시대 ... 181
기능적 독서의 시작 : 근대의 책은 실용서 ... 182
교재·수험서와 처세·출세를 위한 책 읽기 ... 184
오락과 '취미'로서의 책 읽기 ... 193
3 책 읽기에 나타난 비동시적 근대 ... 204
세대절단 : '사회주의'와 '문학'에 나타난 누벨바그 ... 205
어린이의 '발견'과 어린이 책 ... 215
'비'근대적 책 읽기 : 족보와 『정감록』붐에 나타난 구세대의 불안 ... 218
4 일본어로 책 읽기 ... 227
일본어 책을 읽는 여러 이유 ... 228
한글과 조선어의 위기 ... 236
이중언어, 이중구속 : 장혁주의 운명 ... 242
'순한글 창작'이라는 신화 ... 252
계급문학론의 민족문학 ... 256
4 문학 독자층의 형성과 분화
1 신문학 독자층 형성의 동인 ... 271
근대적 대중독자와 엘리트적 독자층의 등장 ... 272
"소설은 영(靈)과 혈(血)의 기록이다" : 소설에 대한 새로운 인식 ... 280
2 1920-30년대 소설 수용의 변화 추세 ... 285
"프랑스 혁명이 낳은 탐정소설을 읽어라" ... 286
신소설에서 이광수로 : 「동아일보」광고면을 통해본 1920년대의 소설 읽기 ... 293
난세의 사람들, 역사소설을 읽다 : 1930년대 중·후반 소설 읽기 ... 302
"문단의 걸작적 기현상" : 1930년대 말 출판문화의 융성 ... 308
3 식민지 중간층 문화와 소설 읽기 ... 316
도시 대중문화로서의 소설 읽기 ... 317
1931년 서울 월급쟁이의 삶 ... 318
신문 연재소설의 문화적 위상 ... 324
4 식민지 여성의 책 읽기 ... 335
조선 여자들, 책 읽기 시작하다 ... 336
평양기생 투르게네프를 읽고, 서울 여학생 『붉은 연애』에 빠지다 ... 345
여성이 더 소설을 좋아하고 더 잘 감동하는가? ... 351
5 학생·노동자·인텔리겐차의 책 읽기 ... 358
학생층의 독서 경향 ... 359
경성 인쇄노동자들의 책 읽기 ... 366
한문학에서 서양책 읽기로 : 고급독자의 성장경로 ... 371
러시아 문학의 영향 ... 377
영원한 분립 : 그들만의 책 읽기 ... 380
5 책 읽는 방법의 제도화와 문학사
1 감각의 육성과 수용양식의 제도화 ... 389
감성교육 : 동일화하는 반응은 진화하는가? ... 390
식민지인의 눈물과 웃음 ... 397
'감격'시대의 망탈리테 ... 405
2 소설 수용양식의 제도화 과정 ... 413
'고급' 문사의 분노 : 문단 형성과정의 상징투쟁 ... 413
'창작'으로 문청을 조직하다 : 『조선문단』의 수용사적 의미 ... 420
선별과 배제 : 문학사적 정전의 구성과정(1) ... 428
기억하기와 공포 : 문학사적 정전의 구성과정(2) ... 434
대중, 통속의 구별이 굳어지다 : 구별 짓는 감각의 완성 ... 441
3 독자상과 작가상 ... 448
독자에게 미친 문단의 영향 : 고보생들이 쓴 독후감 ... 449
"작가는 몽매한 독자를 깨우칠 신성한 의무가 있다" ... 456
조직대상으로서의 독자 : 카프의 독자 ... 460
작가와 독자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 467
글을 마치며 ... 471
자료실 ... 481
주석 ... 500
참고문헌 ... 534
찾아보기 ... 55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