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ⅲ
제1부
1. 개화계몽운동의 담론구조 ... 3
실패한 근대화의 장면 ... 3
주체와 타자 ... 8
새것과 낡은 것 ... 15
담론 속으로 끼여든 일본 ... 18
2. 국어국문운동과 담론의 근대성 ... 27
문화적 혁명으로서의 국어국문운동 ... 27
국문...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ⅲ
제1부
1. 개화계몽운동의 담론구조 ... 3
실패한 근대화의 장면 ... 3
주체와 타자 ... 8
새것과 낡은 것 ... 15
담론 속으로 끼여든 일본 ... 18
2. 국어국문운동과 담론의 근대성 ... 27
문화적 혁명으로서의 국어국문운동 ... 27
국문체의 제도적 기반 ... 30
언어문자 공동체의 인식 ... 35
절충적 언어체로서의 국한문체 ... 41
국문체의 확대와 담론공간 ... 48
새로운 글쓰기로서의 문학 ... 58
3. 서사양식과 담론의 정치성 혹은 유희성 ... 67
소설, 그 개념과 범주 ... 67
계몽담론으로서의 소설의 정치성 ... 70
오락담론으로서의 소설의 유희성 ... 77
소설의 예술화 경향과 비예술적 속성 ... 82
4. 서사양식의 분화와 담론구조 ... 86
문학과 서사양식 ... 86
장르적 실체로서의 소설 ... 89
서사양식의 담론적 속성 ... 96
양식의 분화와 담론공간 ... 100
체계로서의 장르 ... 104
양식론의 남는 문제 ... 109
제2부
1. 서사양식과 식민주의 담론의 형성 ... 115
일본을 통해 본 조선과 조선적인 것들 ... 115
한성신보의 정치적 성격 ... 125
『신진사문답기』의 경우 ... 131
문학과 식민주의 담론 ... 145
2. 신소설과 조선보호론의 담론적 실체 ... 148
신소설의 시대 ... 148
보호받아야 할 조선 - 『일념홍(一捻紅』의 경우 ... 151
일본이 인도하는 문명개화의 길 - 『혈의루』의 경우 ... 155
신소설의 식민주의적 담론구조 ... 163
3. 영웅전기와 민족공동체의 발견 ... 166
개화계몽시대의 반식민주의 운동 ... 166
장지연과 『애국부인전』 ... 171
신채호의 영웅전기 ... 176
민족적 주체구성의 가능성 ... 182
4. 풍자와 우화 그리고 식민주의 담론 비판 ... 185
식민주의 담론의 언어적 해체 ... 185
우화적 공간과 통합된 세계인식 ... 188
훼손된 삶의 가치와 풍자 ... 196
지배담론의 전복과 그 가능성 ... 206
5. 근대소설의 기원과 담론의 근대성 ... 208
신소설의 의미 ... 208
서사공간으로서의 일상적 현실 ... 215
시간과 공간의 서사적 재구성 ... 218
개인의 발견 혹은 주체의 근대적 인식 ... 221
신소설과 담론의 가치지향성 ... 226
부록
신진사문답기(申進士問答記) ... 231
일념홍(一捻紅) ... 266
혈의루(血의淚) ... 317
애국부인전(愛國婦人傳) ... 413
병인간친회록(病人懇親會錄) ... 436
절영신화(絶纓新話) ... 463
찾아보기 ... 48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