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장별 그림·도표·지도 ... 14
제1장 방언학의 배경
1. 방언과 언어 ... 21
1.1 방언의 개념 ... 21
1.2 언어와 방언의 범주 ... 23
1.3 방언연속 ... 27
1.4 방언 접촉과 고립 ... 30
2. 표준어와 방언 ... 32
2.1 표준어와 방언...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장별 그림·도표·지도 ... 14
제1장 방언학의 배경
1. 방언과 언어 ... 21
1.1 방언의 개념 ... 21
1.2 언어와 방언의 범주 ... 23
1.3 방언연속 ... 27
1.4 방언 접촉과 고립 ... 30
2. 표준어와 방언 ... 32
2.1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 ... 32
2.2 방언의 특성 ... 38
3. 방언연구 의의 ... 45
3.1 공시적 측면 ... 47
3.2 통시적 측면 ... 48
제2장 방언학의 발달
1. 방언학의 연구동향 ... 53
1.1 지리방언학 ... 53
1.2 구조·생성방언학 ... 60
1.3 사회·도시방언학 ... 71
2. 각국의 방언연구 동향 ... 74
2.1 독일의 방언연구 ... 74
2.2 프랑스의 방언연구 ... 75
2.3 영국의 방언연구 ... 77
2.4 이탈리아의 방언연구 ... 79
2.5 미국·캐나다의 방언연구 ... 80
2.6 일본·중국의 방언연구 ... 87
3. 한국어 방언연구 동향 ... 93
3.1 한국어 연구와 방언연구 ... 93
3.2 한국어 방언연구의 두 가지 경향 ... 94
3.3 한국어 방언연구 약사 ... 96
제3장 방언조사와 자료 처리
1. 방언조사 방법 ... 115
1.1 조사 항목 ... 116
1.2 질문지 ... 120
1.3 질문 방식 ... 124
1.4 조사지점과 조사방법 ... 130
1.5 제보자 ... 135
1.6 면담 ... 140
1.7 녹음과 전사 ... 142
1.8 조사원 ... 145
2. 자료의 정리와 보고서 ... 146
2.1 자료의 정확성과 동질성 ... 146
2.2 자료 정리 방법 ... 147
2.3 조사 보고서 ... 149
3. 웹사이트(Website)를 이용한 방언자료 검색 ... 151
3.1 인터넷의 활용 ... 151
3.2 인터넷 자료의 활용 ... 152
3.3 경제적인 정보 검색 ... 153
3.4 국내의 방언학 정보 ... 156
4. 자료의 해석 ... 157
4.1 어휘·의미자료 해석 ... 158
4.2 음운자료 해석 ... 162
4.3 문법자료 해석 ... 168
제4장 지리언어학
1. 지리언어학의 방법 ... 175
1.1 지리언어학의 과제 ... 175
1.2 지리언어학의 방법 ... 177
1.3 지리언어학의 기본적 가설 ... 181
1.4 지리언어학의 용어 ... 186
2. 언어와 방언의 지리적 분화 ... 189
2.1 계통수설 ... 189
2.2 파동설 ... 190
2.3 어휘통계설 ... 191
3. 언어지도 ... 192
3.1 언어지도 작성의 약사 ... 192
3.2 언어지도 형식 ... 196
4. 컴퓨터로 제작하는 언어지도 ... 210
4.1 언어지도 제작 ... 210
4.2 방언자료의 정리와 분류 ... 214
4.3 방언지도 작성 방법의 발달 ... 215
5. 경계와 등어선 ... 222
5.1 등어선과 방언경계 ... 222
5.2 등어선의 유형 ... 226
5.3 등어선의 등급화 ... 231
6. 전이 ... 237
6.1 전이지역 ... 238
6.2 전이지역 방언의 유형 ... 241
7. 지리적 확산 ... 251
7.1 언어의 공간적 확산 ... 251
7.2 공간적 확산에 대한 지도상의 표시 ... 255
제5장 사회방언학
1. 사회방언학의 형성과 발달 ... 261
1.1 W. Labov의 연구 ... 265
1.2 Shuy와 Wolfram의 사회방언연구 ... 269
1.3 P. Trudgill의 영국 사회방언연구 ... 270
1.4 Gumperz의 연구 ... 271
1.5 James & Lesley Milroy의 연구 ... 272
1.6 한국에서의 사회방언연구 ... 272
2. 사회방언학과 도시방언학에서의 자료수집 ... 274
2.1 자료수집 ... 274
2.2 제보자의 분류 ... 275
2.3 자료의 계량적 분석방법 ... 277
2.4 사회방언학과 관련되는 술어 ... 280
3. 언어의 사회적 분화 ... 283
3.1 언어와 사회계층 ... 284
3.2 말투상의 차이 ... 287
3.3 연령, 세대에 따른 분화 ... 288
3.4 성별에 따른 분화 ... 290
3.5 인종집단에 따른 분화 ... 291
3.6 사회조직망에 따른 분화 ... 293
3.7 개별적 특성 ... 295
4. 사회언어학적 구조와 언어개신 ... 295
4.1 지표와 표지 ... 295
4.2 실제시간과 현장시간 ... 300
5. 사회언어학적 확산 ... 301
5.1 언어확산 이론 모형 ... 302
5.2 사회적 확산의 개신자 ... 306
5.3 사회계층에 따른 어휘확산 ... 309
5.4 사회적 변화의 역사성 ... 312
제6장 한국어 지리방언학
1. 음운체계 ... 319
1.1 모음체계 ... 319
1.2 자음체계 ... 326
1.3 운소체계 ... 331
2. 음운현상 ... 334
2.1 움라우트 ... 334
2.2 구개음화 ... 336
2.3 전부모음화 ... 338
2.4 원순모음화 ... 339
2.5 어간말자음군 단순화 ... 340
2.6 경음화 ... 341
3. 형태·문법체계 ... 342
3.1 한국어 방언 형태론 ... 342
3.2 방언 굴절체계 ... 352
3.3 문의 구성 ... 363
3.4 문법범주 ... 394
4. 어휘·의미체계 ... 398
4.1 연구 동향과 성과 ... 398
4.2 방언 어휘의 특성 ... 401
4.3 방언 어휘자료 ... 404
4.4 방언의 어휘분화 ... 413
5. 한국어 방언의 통시적 연구 ... 418
5.1 연구 현황 ... 418
5.2 연구 성과 ... 421
5.3 한국어 방언사 관계 문헌자료 ... 430
6. 한국어 방언구획 ... 435
6.1 한국어 방언구획 약사 ... 436
6.2 하위방언구획과 방언 특징 ... 448
제7장 방언학의 학제적 연구
1. 방언과 문학 ... 461
1.1 연구 현황과 흐름 ... 461
1.2 문학작품과 방언 ... 462
2. 방언과 방송 ... 474
2.1 방송언어의 폐쇄성 ... 474
2.2 방송의 방언사용 실태 ... 476
3. 인터넷과 지역방언 ... 479
3.1 인터넷 속의 지역방언 ... 479
3.2 지역방언의 사용 유형 ... 482
4. 한국어 교육과 방언 ... 483
4.1 방언 교육의 필요성 ... 483
4.2 방언 교육의 가치 ... 484
4.3 방언 교육 방법 ... 486
5. 방언연구의 최근 동향 ... 489
5.1 담화자료수집과 데이터화 ... 489
5.2 컴퓨터를 활용한 방언연구 ... 490
5.3 사회방언학의 이론과 방언지세학 ... 490
5.4 사회에 환원하는 방언연구 ... 491
5.5 학제 간 협동 연구 ... 493
참고논저 ... 495
찾아보기 ... 53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