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제1부 일본 근세문학에 나타난 조선통신사 ... 13
제1장 조선학사의 일기·기행문에 나타난 조선통신사의 사행 ... 15
1. 1764년 조선통신사의 사행 ... 17
2. 조선학사와 일본 문인들의 교환(交歡) ... 22
3. 문화의 상이함으로 인한 충돌 ... 28
제2장 구로혼(黑本) 『조...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제1부 일본 근세문학에 나타난 조선통신사 ... 13
제1장 조선학사의 일기·기행문에 나타난 조선통신사의 사행 ... 15
1. 1764년 조선통신사의 사행 ... 17
2. 조선학사와 일본 문인들의 교환(交歡) ... 22
3. 문화의 상이함으로 인한 충돌 ... 28
제2장 구로혼(黑本) 『조센진교레쓰』(朝鮮人行烈)와 조선통신사 ... 31
1. 「도진」(唐人)이라는 말이 사용된 배경 ... 31
2. 구로혼(黑本)『조선인행렬』(朝鮮人行烈)의 출전과 간행년도 ... 35
3. 『조센진교레쓰』(朝鮮人行烈)의 특징 ... 45
제3장 『조센다이헤이키』(朝鮮太平記)와 조선통신사 ... 52
1. 『조센다이헤이키』(朝鮮太平記)의 성격 ... 53
2. 『조센다이헤이키』(朝鮮太平記)의 출전 ... 58
3. 조선통신사와 『조센다이헤이키』(朝鮮太平記) ... 73
제4장 18세기 초 오사카(大阪)에서의 신유한(申維翰)과 미즈타리 헤이잔(水足屛山) ... 85
1. 1719년의 조선통신사 ... 87
2. 오사카에서의 신유한과 미즈타리 야스나오(水足安直) ... 90
3. 학문(學問)(文) 및 고전 서적에 대한 교환(交歡) ... 96
4. 조선 학사와 미즈타리 하쿠센(水足博泉) ... 101
맺음말 ... 107
제2부 「도진고로시」(唐人殺し)의 세계와 조선통신사 ... 115
제1장 최천종 살해사건과 「도진고로시」(唐人殺し) ... 117
1. 민간 기록에 의한 최천종 살해사건 ... 118
2. 최천종 살해사건의 진상에 대하여 ... 125
제2장 가부키(歌舞伎) 「도진고로시」(唐人殺し)의 세계 ... 133
1. 「도진고로시」(唐人殺し)의 계보 ... 133
2. 「도진고로시」가부키의 전형 『겐마와시사토노다이쓰』(拳곤廓大通) ... 139
3. 가부키 「도진고로시」(唐人殺し)의 변모 양상 ... 145
제3장 「도진고로시」(唐人殺し)와 조루리『모로코시오리니혼테키키』(唐士織日本手利) ... 154
1. 『모로코시오리니혼테키키』(唐士織日本手利)의 특색 ... 154
2. 덴시치(傳七)·다카오(高尾) 정화(情話)의 필연성 ... 158
3. 『모로코시오리니혼테키키』(唐士織日本手利)의 출전(出典)에 대하여 ... 163
4. 다이료 히사요시(大領久吉)의 조선침략의 요소 ... 168
제4장 「도진고로시」와 실록 사본 『조센진나니와노유메』(朝鮮人難波の夢) ... 174
1. 실록체 소설 『조센진나니와노유메』(朝鮮人難波の夢)에 대하여 ... 175
2. 혼혈아(混血兒)의 요소 ... 180
3. 실록체 소설 『조센진나니와노유메』(朝鮮人難波の夢)의 특질 ... 186
제5장 『와칸스즈키보초밋키』(和漢로포丁蜜記)와 『호레키모노가타리』(寶曆物語) ... 193
1. 『와칸스즈키보초밋키』(和漢로포丁蜜記)에 대하여 ... 193
2. 『호레키모노가타리』(寶曆物語)에 대하여 ... 205
제6장 「도진고로시」의 세계와 각색의 변모 유형 ... 214
1. 「이국인 살해」의 유형 ... 215
2. 「통역관 살해」의 유형 ... 223
3. 「혼혈아의 원수 갚기」의 유형 ... 229
4. 「인삼 밀거래에 의한 보복 살해」의 유형 ... 233
맺음말 ... 241
참고문헌 ... 254
부록
일본 에도시대의 조선·일본 교류사 및 관련 문학작품 성립연표 ... 259
가부키(歌舞伎) ... 265
조루리(淨瑠璃) ... 283
색인 ... 298
日文抄錄 ... 312
후기 ... 32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