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제1장 사회지리학 개관 : 개념·역사·주제 ... 11
1. 사회지리학의 개념과 관련 학문 ... 13
1) 사회지리학의 개념 ... 13
2) 주요 용어들과 관련 학문 ... 19
2. 사회지리학의 발달과정 ... 23
1) 인문지리학의 성숙에 따른 사회지리학의 성립 : 19세기 후반에서 20세...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제1장 사회지리학 개관 : 개념·역사·주제 ... 11
1. 사회지리학의 개념과 관련 학문 ... 13
1) 사회지리학의 개념 ... 13
2) 주요 용어들과 관련 학문 ... 19
2. 사회지리학의 발달과정 ... 23
1) 인문지리학의 성숙에 따른 사회지리학의 성립 :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 ... 23
2) 도시생태학의 영향에 의한 도시사회지리학의 발달 : 1930년대∼1960년대 후반 ... 24
3) 사회공간적 문제의 연구를 위한 독자적 사회지리학의 발달 : 1970년대 ... 26
4) 사회이론과의 새로운 접합으로서 사회지리학 : 1980년대 이후 ... 28
3. 사회지리학의 연구 논제 및 주제 ... 30
1) 핵심적인 개념적 논제 ... 30
2) 주요 연구주제 ... 34
4. 맺음말 ... 37
제2장 한국 사회지리학의 발달 과정과 전망 ... 41
1. 사회지리학의 개념과 연구주제 ... 43
2. 사회지리학의 발달과정 개관 ... 44
3. 주제별 연구성과의 연구동향 ... 47
1) 사회지리학의 연구방법론 ... 47
2) 도시화와 인구현상들 ... 51
3) 인구이동과 농촌사회생활의 변화 ... 54
4) 거주지분화와 도시재개발 ... 56
5) 도시사회생활과 지역사회복지 ... 59
4. 사회지리학의 전망과 과제 ... 65
제3장 동아시아의 위기와 사회공간적 영향 ... 79
1. 동아시아 경제의 발전과정과 위기 ... 81
1) 동아시아 각국의 경제성장 ... 81
2) 동아시아 경제위기의 발생 ... 85
2. 위기의 완화와 신자유주의적 전략 ... 90
1) 거시경제적 위기의 완화 ... 90
2) 신자유주의적 전략의 한계 ... 93
3. 위기의 사회·환경적 영향 ... 96
1) 실업급증과 노동자들의 권익 위협 ... 96
2) 위기의 충격을 집중적으로 전가받는 빈민들 ... 97
3) 사회적 격차의 확대와 삶의 질 퇴락 ... 98
4) 생태적 퇴락과 반환경적 탈규제 ... 99
4. 21세기 비판-대안적 지리학의 과제 ... 100
1) 비판 - 대안적 지리학을 위하여 ... 100
2) 거시적 체계공간수준에서의 과제들 ... 100
3) 미시적 생활공간 수준에서의 과제 ... 101
5. 맺음말 ... 102
제4장 산업구조조정과 지역불균등 발전 : 1980년대 ... 107
1. 산업구조조정과 지역불균등발전 이론 ... 109
1) 정치경제학적 관점 ... 109
2) 조절이론 ... 111
2. 1980년대 경제성장과 산업구조조정 ... 114
1) 1980년대 경제성장과정 개관 ... 114
2) 산업구조의 외연적 팽창 ... 117
3) 산업구조의 내포적 발전 ... 122
3. 1980년대 지역불균등발전과 지역별 특성 ... 126
4. 1980년대 지역사회의 계급 재구성 ... 132
5. 결론 ... 137
제5장 국지적 사회공간의 발전과 한계 ... 141
1. 새로운 지역지리학의 발달과정 ... 143
2. 새로운 지역지리학을 둘러싼 논쟁과 쟁점 ... 146
3. 대구시 남구의 도시공간 형성과 변화 ... 152
1) 도시공간의 발전 과정과 현황 ... 152
2) 남구 공간환경발전에 있어서의 문제점 ... 160
4. 남구 발전에 있어 미군기지 문제 ... 163
1) 남구 발전과 미군기지 ... 163
2) 미군기지와 관련된 현안문제 ... 165
3) 미군기지의 이전과 장기발전 문제 ... 167
5. 맺음말 ... 169
제6장 도시 토지 및 지대 문제 ... 173
1. 도시 토지 및 지대 이론 ... 175
1) 신고전 토지이론 ... 175
2) 정치경제학적 접근방법 ... 179
2. 지대의 유형과 발생과정 ... 182
3. 지대 유형에 의한 대구시 지가 분석 ... 186
1) 지가 변동과 분포 개관 ... 186
2) 사회공간적 구조와 지가형성 ... 188
3) 토지개발과정과 지가변동 ... 193
4. 정책적 대안들의 함의 평가 ... 195
5. 요약 및 결론 ... 198
제7장 신도시개발의 배경과 사회공간적 영향 ... 203
1. 신도시의 개념 ... 205
2. 신도시개발의 정치경제학 ... 206
1) 자본축적과정과 신도시개발 ... 206
2) 자본주의 국가의 성격과 신도시개발 ... 208
3) 자본주의 도시공간의 문제와 신도시개발 ... 210
3. 분당신도시개발의 경제·정치적 배경 ... 212
1) 경제적 배경 ... 213
2) 정치적 배경 ... 216
3) 사회공간적 배경 ... 218
4. 분당신도시개발의 정치경제적 효과 ... 220
1) 경제적 효과 ... 220
2) 정치적 효과 ... 223
3) 사회공간적 효과 ... 230
5. 맺음말 : 꿈과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 229
제8장 도시 토지관련 정책과 생태도시 ... 233
1. 경제위기와 토지정책 ... 235
1) 경제위기와 토지규제완화 ... 235
2) 토지규제 완화정책의 의도와 문제점 ... 238
2. 그린벨트 조정의 의의와 한계 ... 241
3. 환경친화적 토지이용을 위한 원칙 ... 246
1) 도시/농촌간, 도시들간, 그리고 도시 내 균형발전 ... 247
2) 지역환경용량을 고려한 토지 이용과 개발 ... 248
3) 사회-환경적 정의가 실현될 수 있는 토지 소유와 이용 ... 249
4) 공공적 생활공간과 쾌적한 경관 창출 ... 250
4. 자연과 공존하는 생태도시를 위하여 ... 250
1) 생태도시의 등장 배경 ... 251
2) 생태도시 개념의 발달 ... 252
3) 생태도시건설 사례 ... 254
4) 생태도시계획의 의의와 과제 ... 255
5. 맺음말 ... 256
제9장 도시인의 생활양식과 사회의식 ... 259
1. 생활양식과 사회의식 : 개념적 고찰 ... 261
1) 생산양식과 생활양식의 개념 ... 261
2) 생산과 소비, 그리고 노동력의 재생산 ... 264
2. 현대 생활양식의 주요 특성들 ... 267
1) 내구성 소비재 및 유통산업의 발달과 소비생활 ... 267
2) 생활수단의 상품화와 계급·계층관계의 변화 ... 269
3) 상품이데올로기와 (지역)사회의식 ... 272
3. 대구시민의 생활양식과 사회의식 ... 274
1) 소득과 소비 실태 ... 274
2) 내구성 소비재의 소비와 생활양식의 변화 ... 278
3) 유통산업의 발달과 소비행태의 변화 ... 280
4) 여가·문화생활양식의 변화 ... 283
4. 대구시민의 지역사회·계층의식 ... 287
1) 지역사회 의식 ... 288
2) 사회계층의식 ... 290
5. 맺음말 ... 293
제10장 사회공간적 '삶의 질'과 개선 방안 ... 297
1. 사회공간의 발전과 삶의 질의 지표 개발 ... 299
1) 사회공간의 발전과 삶의 질 ... 299
2) '삶의 질'과 사회공간적 지표의 개발 ... 301
2. 삶의 질의 공간적 요소 ... 305
3. '삶의 질'의 사회공간적 현황 ... 310
1) 삶의 질의 지역차와 이에 관한 의식 ... 310
2) 대구시민의 사회공간적 '삶의 질' ... 313
4. 삶의 질을 위한 정책과 공동체운동 ... 317
1) 삶의 질의 지역적 차이의 원인 ... 317
2)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 ... 319
3) '삶의 질'을 위한 공동체 ... 321
5. 결론 ... 325
제11장 지역사회운동의 발달과정과 전망 ... 331
1. 지역사회운동의 발생 배경과 개념 ... 333
1) 지역사회운동의 발생 배경 ... 333
2) 지역사회운동의 개념 ... 334
2. 지역사회운동의 유형별 특성 ... 336
3. 한국 지역사회운동의 발달과정 ... 342
1) 1960년대 : 지역노동운동의 시발 ... 344
2) 1970년대 : 도시빈민운동과 주민환경운동의 등장 ... 345
3) 1980년대 초·중반 : 지역사회운동의 억압과 좌절, 그리고 저변의 확대 ... 346
4) 1987∼1992년 : 지역사회운동의 폭발과 이완 그리고 새로운 모색 ... 348
5) 1993년 이후 : 지역사회운동의 제도화와 영향력 확대 ... 350
4. 지역사회운동의 현재적 상황과 배경 ... 353
1) 지역사회운동의 현재적 상황 ... 353
2) 지역사회운동의 구조적 배경의 변화 ... 356
5. 지역사회운동의 전망과 과제 ... 361
머리말 ... 3
제1장 사회지리학 개관 : 개념·역사·주제 ... 11
1. 사회지리학의 개념과 관련 학문 ... 13
1) 사회지리학의 개념 ... 13
2) 주요 용어들과 관련 학문 ... 19
2. 사회지리학의 발달과정 ... 23
1) 인문지리학의 성숙에 따른 사회지리학의 성립 :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 ... 23
2) 도시생태학의 영향에 의한 도시사회지리학의 발달 : 1930년대∼1960년대 후반 ... 24
3) 사회공간적 문제의 연구를 위한 독자적 사회지리학의 발달 : 1970년대 ... 26
4) 사회이론과의 새로운 접합으로서 사회지리학 : 1980년대 이후 ... 28
3. 사회지리학의 연구 논제 및 주제 ... 30
1) 핵심적인 개념적 논제 ... 30
2) 주요 연구주제 ... 34
4. 맺음말 ... 37
제2장 한국 사회지리학의 발달 과정과 전망 ... 41
1. 사회지리학의 개념과 연구주제 ... 43
2. 사회지리학의 발달과정 개관 ... 44
3. 주제별 연구성과의 연구동향 ... 47
1) 사회지리학의 연구방법론 ... 47
2) 도시화와 인구현상들 ... 51
3) 인구이동과 농촌사회생활의 변화 ... 54
4) 거주지분화와 도시재개발 ... 56
5) 도시사회생활과 지역사회복지 ... 59
4. 사회지리학의 전망과 과제 ... 65
제3장 동아시아의 위기와 사회공간적 영향 ... 79
1. 동아시아 경제의 발전과정과 위기 ... 81
1) 동아시아 각국의 경제성장 ... 81
2) 동아시아 경제위기의 발생 ... 85
2. 위기의 완화와 신자유주의적 전략 ... 90
1) 거시경제적 위기의 완화 ... 90
2) 신자유주의적 전략의 한계 ... 93
3. 위기의 사회·환경적 영향 ... 96
1) 실업급증과 노동자들의 권익 위협 ... 96
2) 위기의 충격을 집중적으로 전가받는 빈민들 ... 97
3) 사회적 격차의 확대와 삶의 질 퇴락 ... 98
4) 생태적 퇴락과 반환경적 탈규제 ... 99
4. 21세기 비판-대안적 지리학의 과제 ... 100
1) 비판 - 대안적 지리학을 위하여 ... 100
2) 거시적 체계공간수준에서의 과제들 ... 100
3) 미시적 생활공간 수준에서의 과제 ... 101
5. 맺음말 ... 102
제4장 산업구조조정과 지역불균등 발전 : 1980년대 ... 107
1. 산업구조조정과 지역불균등발전 이론 ... 109
1) 정치경제학적 관점 ... 109
2) 조절이론 ... 111
2. 1980년대 경제성장과 산업구조조정 ... 114
1) 1980년대 경제성장과정 개관 ... 114
2) 산업구조의 외연적 팽창 ... 117
3) 산업구조의 내포적 발전 ... 122
3. 1980년대 지역불균등발전과 지역별 특성 ... 126
4. 1980년대 지역사회의 계급 재구성 ... 132
5. 결론 ... 137
제5장 국지적 사회공간의 발전과 한계 ... 141
1. 새로운 지역지리학의 발달과정 ... 143
2. 새로운 지역지리학을 둘러싼 논쟁과 쟁점 ... 146
3. 대구시 남구의 도시공간 형성과 변화 ... 152
1) 도시공간의 발전 과정과 현황 ... 152
2) 남구 공간환경발전에 있어서의 문제점 ... 160
4. 남구 발전에 있어 미군기지 문제 ... 163
1) 남구 발전과 미군기지 ... 163
2) 미군기지와 관련된 현안문제 ... 165
3) 미군기지의 이전과 장기발전 문제 ... 167
5. 맺음말 ... 169
제6장 도시 토지 및 지대 문제 ... 173
1. 도시 토지 및 지대 이론 ... 175
1) 신고전 토지이론 ... 175
2) 정치경제학적 접근방법 ... 179
2. 지대의 유형과 발생과정 ... 182
3. 지대 유형에 의한 대구시 지가 분석 ... 186
1) 지가 변동과 분포 개관 ... 186
2) 사회공간적 구조와 지가형성 ... 188
3) 토지개발과정과 지가변동 ... 193
4. 정책적 대안들의 함의 평가 ... 195
5. 요약 및 결론 ... 198
제7장 신도시개발의 배경과 사회공간적 영향 ... 203
1. 신도시의 개념 ... 205
2. 신도시개발의 정치경제학 ... 206
1) 자본축적과정과 신도시개발 ... 206
2) 자본주의 국가의 성격과 신도시개발 ... 208
3) 자본주의 도시공간의 문제와 신도시개발 ... 210
3. 분당신도시개발의 경제·정치적 배경 ... 212
1) 경제적 배경 ... 213
2) 정치적 배경 ... 216
3) 사회공간적 배경 ... 218
4. 분당신도시개발의 정치경제적 효과 ... 220
1) 경제적 효과 ... 220
2) 정치적 효과 ... 223
3) 사회공간적 효과 ... 230
5. 맺음말 : 꿈과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 229
제8장 도시 토지관련 정책과 생태도시 ... 233
1. 경제위기와 토지정책 ... 235
1) 경제위기와 토지규제완화 ... 235
2) 토지규제 완화정책의 의도와 문제점 ... 238
2. 그린벨트 조정의 의의와 한계 ... 241
3. 환경친화적 토지이용을 위한 원칙 ... 246
1) 도시/농촌간, 도시들간, 그리고 도시 내 균형발전 ... 247
2) 지역환경용량을 고려한 토지 이용과 개발 ... 248
3) 사회-환경적 정의가 실현될 수 있는 토지 소유와 이용 ... 249
4) 공공적 생활공간과 쾌적한 경관 창출 ... 250
4. 자연과 공존하는 생태도시를 위하여 ... 250
1) 생태도시의 등장 배경 ... 251
2) 생태도시 개념의 발달 ... 252
3) 생태도시건설 사례 ... 254
4) 생태도시계획의 의의와 과제 ... 255
5. 맺음말 ... 256
제9장 도시인의 생활양식과 사회의식 ... 259
1. 생활양식과 사회의식 : 개념적 고찰 ... 261
1) 생산양식과 생활양식의 개념 ... 261
2) 생산과 소비, 그리고 노동력의 재생산 ... 264
2. 현대 생활양식의 주요 특성들 ... 267
1) 내구성 소비재 및 유통산업의 발달과 소비생활 ... 267
2) 생활수단의 상품화와 계급·계층관계의 변화 ... 269
3) 상품이데올로기와 (지역)사회의식 ... 272
3. 대구시민의 생활양식과 사회의식 ... 274
1) 소득과 소비 실태 ... 274
2) 내구성 소비재의 소비와 생활양식의 변화 ... 278
3) 유통산업의 발달과 소비행태의 변화 ... 280
4) 여가·문화생활양식의 변화 ... 283
4. 대구시민의 지역사회·계층의식 ... 287
1) 지역사회 의식 ... 288
2) 사회계층의식 ... 290
5. 맺음말 ... 293
제10장 사회공간적 '삶의 질'과 개선 방안 ... 297
1. 사회공간의 발전과 삶의 질의 지표 개발 ... 299
1) 사회공간의 발전과 삶의 질 ... 299
2) '삶의 질'과 사회공간적 지표의 개발 ... 301
2. 삶의 질의 공간적 요소 ... 305
3. '삶의 질'의 사회공간적 현황 ... 310
1) 삶의 질의 지역차와 이에 관한 의식 ... 310
2) 대구시민의 사회공간적 '삶의 질' ... 313
4. 삶의 질을 위한 정책과 공동체운동 ... 317
1) 삶의 질의 지역적 차이의 원인 ... 317
2)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 ... 319
3) '삶의 질'을 위한 공동체 ... 321
5. 결론 ... 325
제11장 지역사회운동의 발달과정과 전망 ... 331
1. 지역사회운동의 발생 배경과 개념 ... 333
1) 지역사회운동의 발생 배경 ... 333
2) 지역사회운동의 개념 ... 334
2. 지역사회운동의 유형별 특성 ... 336
3. 한국 지역사회운동의 발달과정 ... 342
1) 1960년대 : 지역노동운동의 시발 ... 344
2) 1970년대 : 도시빈민운동과 주민환경운동의 등장 ... 345
3) 1980년대 초·중반 : 지역사회운동의 억압과 좌절, 그리고 저변의 확대 ... 346
4) 1987∼1992년 : 지역사회운동의 폭발과 이완 그리고 새로운 모색 ... 348
5) 1993년 이후 : 지역사회운동의 제도화와 영향력 확대 ... 350
4. 지역사회운동의 현재적 상황과 배경 ... 353
1) 지역사회운동의 현재적 상황 ... 353
2) 지역사회운동의 구조적 배경의 변화 ... 356
5. 지역사회운동의 전망과 과제 ... 36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