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글 ... 4
1부 고대가요론 ... 15
신화·제의·주술의 측면에서 본 〈구지가〉 ... 16
1. 문제의 제기 ... 16
2. 가락국기의 검토 ... 17
3. 신화의 한 화소로서의 〈구지가〉 ... 22
4. 제의의 한 과정으로서의 〈구지가〉 ... 28
5. 주술의 한 요소로서의 〈구지...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글 ... 4
1부 고대가요론 ... 15
신화·제의·주술의 측면에서 본 〈구지가〉 ... 16
1. 문제의 제기 ... 16
2. 가락국기의 검토 ... 17
3. 신화의 한 화소로서의 〈구지가〉 ... 22
4. 제의의 한 과정으로서의 〈구지가〉 ... 28
5. 주술의 한 요소로서의 〈구지가〉 ... 35
6. 〈구지가〉의 원형과 그 문학사적 의미 ... 39
7. 결론 ... 48
2부 향가론 ... 53
삼구육명의 새로운 뜻풀이(1) - 『균여전』의 문맥과 관련지어 ... 54
1. 삼구육명을 왜 재론하는가? ... 54
2. 삼구육명에서의 '구'의 뜻은 무엇인가? ... 59
3. 삼구육명은 10구체에만 적용되는가? ... 61
4. 삼구육명이 적용되는 향가는 순불교적인 노래인가? ... 72
5. 소결 ... 77
삼구육명의 새로운 뜻풀이(2) - 『균여전』과『삼국유사』의 띄어쓰기와 관련지어 ... 81
1. 『균여전』의 문맥으로 살펴 본 삼구육명의 뜻풀이는 어떠한가? ... 81
2. 『균여전』과 『삼국유사』의 띄어쓰기는 어떤 모습인가? ... 83
3. 『삼국유사』의 띄어쓰기를 어떻게 보았던가? ... 89
4. 『삼국유사』의 띄어쓰기는 어떤 의미를 지녔는가? ... 105
5. 띄어쓰기의 실상과 삼구육명은 어떤 관계인가? ... 113
6. 소결 ... 117
삼구육명의 새로운 뜻풀이(3) - 그 음악적 해명 ... 119
1. 삼구육명의 뜻은 무엇인가? ... 119
2. 삼구육명의 실상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 121
3. 향가의 삼구육명의 삼구는 음악적으로 어떻게 구분되는가? ... 124
4. 삼구의 한 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129
5. 감탄구의 띄어쓰기 양상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 136
6. 삼구육명의 시가사적 의의는 무엇인가? ... 141
3부 고려가요론 ... 145
음악적 측면에서 본 고려가요 ... 146
1. 서론 ... 146
2. 형태의 분석 ... 148
3. 전승과정 ... 154
4. 분류 ... 166
5. 결론 ... 169
〈정과정(진작)〉과 〈성황반〉에 대하여 ... 172
1. 서론 ... 172
2. 〈정과정(진작)〉과 무가·무악과의 관련성 ... 173
3. 『사용향악보』소재 무가류시가들 ... 174
4. 〈정과정(진작)〉과 〈성황반〉의 관계 ... 176
5. 영향관계 ... 184
〈서경별곡〉과 이별민요의 이별의 양상과 정서 ... 188
1. 연구사 검토 ... 188
2. 이별의 양상과 정서 고찰을 위한 하나의 틀 ... 196
3. 만남 노래와 이별 노래로서의 고려속요와 〈서경별곡〉 ... 202
4. 헤어지는 상황에서 부른 이별민요 ... 209
5. 〈서경별곡〉과 이별민요의 거리 ... 220
『대악후보』소재 〈정읍〉의 복원 ... 228
1. 서론 ... 228
2. 악곡에 노랫말 붙이기 ... 231
3. 여러 가지 음악적 요소들 ... 257
4. 결론 ... 264
4부 악장론 ... 275
고려시대의 악과 악장 ... 276
1. 서론 ... 276
2. 아악과 악장 ... 281
3. 당악과 사 ... 285
4. 향악과 가사 ... 296
5. 결론 ... 314
선초 향악의 흐름과 그 시가사적 의미 ... 319
1. 선초 향악의 흐름 ... 319
2. 고려 향악의 습용과 고려속요의 수용 ... 322
3. 고려 향악에의 전사와 경기체가·한시현토체·한시체의 제작 ... 339
4. 선초에 만든 향악 ... 352
5. 정간보의 창안과 시가 형태의 분석 ... 361
6. 선초 향악의 흐름과 그 시가사적 의미 ... 363
〈용비어천가〉의 짜임과 율격 ... 374
1. 서론 ... 374
2. 〈용가〉의 짜임 ... 378
3. 결론 ... 393
5부 시조론 ... 397
내용구조의 기본 원리와 그 변화의 양상 ... 398
1. 내용 구조 원리의 탐색 ... 398
2. 형식과 내용 구조의 기본 원리 ... 401
3. 기본 원리의 변화 ... 409
4. 결론 ... 428
상촌 신흠 시조의 표현 미학 ... 432
1. 연구사 검토 ... 432
2. 인생 무상과 음주 ... 440
3. 유흥으로서의 음주 ... 453
4. 현실을 잊을 수 있는 주향 ... 463
5. 신흠 시조의 표현 미학 ... 471
6부 한시론 ... 485
졸옹 최해의 의식과 시세계 ... 486
1. 연구성과의 검토 ... 486
2. 성격상의 특징 ... 488
3. 시세계 ... 492
4. 결론 ... 518
최해의 시세계와 상우 정신 ... 520
1. 문제의 제기 ... 520
2. 시세계의 핵심어인 상우 정신 ... 522
3. 상우 정신과 작품의 실제 ... 527
4. 결어 ... 543
권근의 삶과 시세계 ... 545
1. 서언 ... 545
2. 제1기 : 순탄한 벼슬길 ... 547
3. 제2기 : 왕조교체의 격동기 ... 556
4. 제3기 : 신왕조에의 출사 ... 565
5. 제4기 : 노년기 ... 572
6. 결언 ... 581
청계 양대박의 생애와 한시 ... 584
1. 양대박의 생애 ... 584
2. 양대박의 한시 ... 592
3. 결론 ... 615
양촌 권근과 충북 ... 619
1. 충북 관련 시문의 확정 ... 619
2. 유배 이전의 시문 ... 623
3. 유배 이후 조선조 출사까지의 시문 ... 629
4. 조선조 출사 이후의 시문 ... 645
5. 권근 시세계의 있어서 충북 관련 작품의 의의 ... 653
삼탄 이승소의 충북 제영 ... 662
1. 이승소 충북 제영의 배경 ... 662
2. 충북제영의 분석 ... 666
3. 이승소 시세계와 충북제영 ... 68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