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 생애 ... 11
2. 판본(板本) 고찰 ... 25
3. 『백사집』의 편집 체재 ... 29
4. 시문학관(詩文學觀) ... 33
1) 후부론(厚賦論) ... 33
2) 노일론(勞逸論) ... 35
3) 사수시빙론(思水詩氷論) ... 38
4) 양기론(養氣論) ... 39
5) 해이론(解이論) ... 40
6) 문애론...
더보기
목차 전체
1. 생애 ... 11
2. 판본(板本) 고찰 ... 25
3. 『백사집』의 편집 체재 ... 29
4. 시문학관(詩文學觀) ... 33
1) 후부론(厚賦論) ... 33
2) 노일론(勞逸論) ... 35
3) 사수시빙론(思水詩氷論) ... 38
4) 양기론(養氣論) ... 39
5) 해이론(解이論) ... 40
6) 문애론(文愛論) ... 41
5. 시세계(詩世界) ... 43
1) 임진왜란 전 ... 45
(1) 달관 ... 45
(2) 풍자 ... 50
(3) 침잠 ... 53
(4) 애정 ... 54
2) 임진왜란 중 ... 56
(1) 참상(慘狀) ... 56
(2) 우국(憂國) ... 61
(3) 불안과 우울 ... 65
(4) 기개 ... 67
3) 유배시(流配時) ... 67
(1) 고난 ... 68
(2) 고독 ... 68
(3) 기개 ... 69
(4) 감은 ... 71
6. 시조론(時調論) ... 75
1) 한시와 시조 ... 76
2) 창작의식 ... 85
7. 「한식사선묘시차두자미칠가(寒食思先墓詩次杜子美七歌)」 ... 89
1) 창작의식 ... 90
2) 형식 ... 100
3) 내용 ... 107
4) 특징과 가치 ... 114
8. 『무술조천록(戊戌朝天錄)』 ... 117
1) 사행(使行)의 목적과 여정 ... 118
(1) 목적 ... 118
(2) 목적 달성을 위한 노력 ... 120
(3) 여정 ... 123
2) 시의 내용 ... 126
(1) 수창(酬唱 : 시로 서로 의견을 주고 받는 풍류)의 실상 ... 126
(2) 고난의 정서 ... 130
(3) 우국 ... 133
(4) 사향(思鄕) ... 136
9. 「유연전(柳淵傳)」 ... 141
1) 「유연전」의 창작 배경 ... 142
(1) 조선후기의 사회상과 송사소설(訟事小說)의 출현 ... 142
(2) 「유연전」의 창작·배포 동기 ... 145
2) 실사(實事)의 소설화에 따른 변모 양상 ... 147
(1) 유연의 가계 소개 ... 148
(2) 유유의 가출과 아버지의 죽음 ... 149
(3) 가유(假遊)인 응규(應奎)의 출현과 그 확인 과정 ... 150
(4) 유유(柳游) 응규(應奎)의 실종 ... 152
(5) 유연의 누명과 옥사 ... 153
(6) 진짜 유의 출현 ... 158
(7) 연의 신원 ... 160
(8) 집필후기 ... 162
10. 「기기축옥사(記己丑獄事)」 ... 165
1) 서론(序論) ... 165
2) 본론(本論) ... 166
(1) 기록 동기 ... 166
(2) 형식(形式) ... 168
(3) 주제(主題) ... 174
(4) 문학적 의의 ... 175
(5) 정철(鄭澈)과 최영경(崔永慶) ... 176
3) 결론(結論) ... 180
11. 선생에 대한 『기년통고(紀年通攷)』의 기록 ... 183
1) 기록한 사건과 의미 ... 184
(1) 국가 ... 185
(2) 국제 ... 190
(3) 개인 ... 192
2) 기록에 나타난 백사의 인품 ... 193
(1) 인망 ... 193
(2) 의리 ... 195
(3) 충성 ... 196
(4) 혜안 ... 198
(5) 초연성 ... 199
3) 결론 ... 200
부록 ... 203
『紀年通攷』에 기록한 白沙와 관련 부분 ... 203
국역 「유연전(柳淵傳)」 ... 215
국역 李時發(1569-1626)이 쓴 유연에 대한 기록 ... 231
국역 「기기축옥사(記己丑獄事)」 ... 233
참고문헌 ... 241
1. 생애 ... 11
2. 판본(板本) 고찰 ... 25
3. 『백사집』의 편집 체재 ... 29
4. 시문학관(詩文學觀) ... 33
1) 후부론(厚賦論) ... 33
2) 노일론(勞逸論) ... 35
3) 사수시빙론(思水詩氷論) ... 38
4) 양기론(養氣論) ... 39
5) 해이론(解이論) ... 40
6) 문애론(文愛論) ... 41
5. 시세계(詩世界) ... 43
1) 임진왜란 전 ... 45
(1) 달관 ... 45
(2) 풍자 ... 50
(3) 침잠 ... 53
(4) 애정 ... 54
2) 임진왜란 중 ... 56
(1) 참상(慘狀) ... 56
(2) 우국(憂國) ... 61
(3) 불안과 우울 ... 65
(4) 기개 ... 67
3) 유배시(流配時) ... 67
(1) 고난 ... 68
(2) 고독 ... 68
(3) 기개 ... 69
(4) 감은 ... 71
6. 시조론(時調論) ... 75
1) 한시와 시조 ... 76
2) 창작의식 ... 85
7. 「한식사선묘시차두자미칠가(寒食思先墓詩次杜子美七歌)」 ... 89
1) 창작의식 ... 90
2) 형식 ... 100
3) 내용 ... 107
4) 특징과 가치 ... 114
8. 『무술조천록(戊戌朝天錄)』 ... 117
1) 사행(使行)의 목적과 여정 ... 118
(1) 목적 ... 118
(2) 목적 달성을 위한 노력 ... 120
(3) 여정 ... 123
2) 시의 내용 ... 126
(1) 수창(酬唱 : 시로 서로 의견을 주고 받는 풍류)의 실상 ... 126
(2) 고난의 정서 ... 130
(3) 우국 ... 133
(4) 사향(思鄕) ... 136
9. 「유연전(柳淵傳)」 ... 141
1) 「유연전」의 창작 배경 ... 142
(1) 조선후기의 사회상과 송사소설(訟事小說)의 출현 ... 142
(2) 「유연전」의 창작·배포 동기 ... 145
2) 실사(實事)의 소설화에 따른 변모 양상 ... 147
(1) 유연의 가계 소개 ... 148
(2) 유유의 가출과 아버지의 죽음 ... 149
(3) 가유(假遊)인 응규(應奎)의 출현과 그 확인 과정 ... 150
(4) 유유(柳游) 응규(應奎)의 실종 ... 152
(5) 유연의 누명과 옥사 ... 153
(6) 진짜 유의 출현 ... 158
(7) 연의 신원 ... 160
(8) 집필후기 ... 162
10. 「기기축옥사(記己丑獄事)」 ... 165
1) 서론(序論) ... 165
2) 본론(本論) ... 166
(1) 기록 동기 ... 166
(2) 형식(形式) ... 168
(3) 주제(主題) ... 174
(4) 문학적 의의 ... 175
(5) 정철(鄭澈)과 최영경(崔永慶) ... 176
3) 결론(結論) ... 180
11. 선생에 대한 『기년통고(紀年通攷)』의 기록 ... 183
1) 기록한 사건과 의미 ... 184
(1) 국가 ... 185
(2) 국제 ... 190
(3) 개인 ... 192
2) 기록에 나타난 백사의 인품 ... 193
(1) 인망 ... 193
(2) 의리 ... 195
(3) 충성 ... 196
(4) 혜안 ... 198
(5) 초연성 ... 199
3) 결론 ... 200
부록 ... 203
『紀年通攷』에 기록한 白沙와 관련 부분 ... 203
국역 「유연전(柳淵傳)」 ... 215
국역 李時發(1569-1626)이 쓴 유연에 대한 기록 ... 231
국역 「기기축옥사(記己丑獄事)」 ... 233
참고문헌 ... 24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