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4
제1부 「풀」에 관한 해석의 갈등과 그 중재를 위하여 ... 13
1. 문제 제기 : 「풀」의 저항력 ... 15
2. 「풀」에 관한 해석의 갈등 ... 20
1) 갈등의 기원 ... 20
2) 민중주의적 관점의 확대 수용 ... 29
(1) 상징의 확대 : 김춘수·박진환의 경우 ... 29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4
제1부 「풀」에 관한 해석의 갈등과 그 중재를 위하여 ... 13
1. 문제 제기 : 「풀」의 저항력 ... 15
2. 「풀」에 관한 해석의 갈등 ... 20
1) 갈등의 기원 ... 20
2) 민중주의적 관점의 확대 수용 ... 29
(1) 상징의 확대 : 김춘수·박진환의 경우 ... 29
(2) 독창적 관찰과 감각적 진실 ... 31
(3) '일어나는 풀'의 역설적 기원 : 정재서와 최동호의 경우 ... 36
3) 민중주의적 관점의 거절과 새로운 대안 ... 38
(1) 관찰자와 웃음의 체험 ... 38
(2) 실존과 자유의 상징 ... 43
(3) 리듬·초월성·순수시 ... 48
4) 비판적 해석의 관점 ... 53
(1) 행복한 우연 : 유종호의 경우 ... 53
(2) 「풀」의 허무주의 : 금동철의 경우 ... 54
5) 「풀」해석의 난제들에 대하여 ... 56
3. 「풀」 다시 읽기 ... 59
1) 바람과 풀의 관계 ... 59
2) 심층 대립항 ... 63
3) 새로운 해석의 의미체 ... 66
4. 김수영 문학과「풀」의 위치 ... 75
1) 김수영 문학과 폭로적 자기 분석 ... 75
2) 김수영 문학의 윤리적 주체 ... 79
3) 시의 사건과 구조 ... 85
4) 「풀」의 작품 완성도 : 상징성과 초월성 ... 91
5. 결론 ... 96
제2부 풀의 자율성과 초월적 암호 : 김수영의 시「풀」연구 ... 99
1. 서론 ... 101
1) 문제제기 ... 101
2) 연구방향 ... 103
2. 본론 ... 104
1) 통사론적 접근 ... 104
(1) 문장의 주어 ... 105
(2) 문장 형태의 반복과 빈도 ... 106
(3) 문장의 서술어 ... 112
(4) 문장의 부사와 수식 양상 ... 114
2) 의미론적 접근 ... 115
(1) 기존의 견해에 대한 검토 ... 115
(2) 관찰자와 체험의 내용 ... 121
3. 결론 ... 141
제3부 해석의 변주 : 「풀」연구자료 ... 143
머리말 ... 4
제1부 「풀」에 관한 해석의 갈등과 그 중재를 위하여 ... 13
1. 문제 제기 : 「풀」의 저항력 ... 15
2. 「풀」에 관한 해석의 갈등 ... 20
1) 갈등의 기원 ... 20
2) 민중주의적 관점의 확대 수용 ... 29
(1) 상징의 확대 : 김춘수·박진환의 경우 ... 29
(2) 독창적 관찰과 감각적 진실 ... 31
(3) '일어나는 풀'의 역설적 기원 : 정재서와 최동호의 경우 ... 36
3) 민중주의적 관점의 거절과 새로운 대안 ... 38
(1) 관찰자와 웃음의 체험 ... 38
(2) 실존과 자유의 상징 ... 43
(3) 리듬·초월성·순수시 ... 48
4) 비판적 해석의 관점 ... 53
(1) 행복한 우연 : 유종호의 경우 ... 53
(2) 「풀」의 허무주의 : 금동철의 경우 ... 54
5) 「풀」해석의 난제들에 대하여 ... 56
3. 「풀」 다시 읽기 ... 59
1) 바람과 풀의 관계 ... 59
2) 심층 대립항 ... 63
3) 새로운 해석의 의미체 ... 66
4. 김수영 문학과「풀」의 위치 ... 75
1) 김수영 문학과 폭로적 자기 분석 ... 75
2) 김수영 문학의 윤리적 주체 ... 79
3) 시의 사건과 구조 ... 85
4) 「풀」의 작품 완성도 : 상징성과 초월성 ... 91
5. 결론 ... 96
제2부 풀의 자율성과 초월적 암호 : 김수영의 시「풀」연구 ... 99
1. 서론 ... 101
1) 문제제기 ... 101
2) 연구방향 ... 103
2. 본론 ... 104
1) 통사론적 접근 ... 104
(1) 문장의 주어 ... 105
(2) 문장 형태의 반복과 빈도 ... 106
(3) 문장의 서술어 ... 112
(4) 문장의 부사와 수식 양상 ... 114
2) 의미론적 접근 ... 115
(1) 기존의 견해에 대한 검토 ... 115
(2) 관찰자와 체험의 내용 ... 121
3. 결론 ... 141
제3부 해석의 변주 : 「풀」연구자료 ... 14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