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B>권호명 : < / B>1
이지와『분서』 / 김혜경 ... 23
자서(自序) / 이지 ... 53
『이씨분서』초약후 서문(李氏焚書序) / 초횡 ... 56
이온릉전(李溫陵傳) / 원중도 ... 59
권1 서답(書答)
주서암에게 답함(答周西巖) ... 79
주약장에게 답함(答周若莊) ... 82
초약후에게(與焦弱...
더보기
목차 전체
<B>권호명 : < / B>1
이지와『분서』 / 김혜경 ... 23
자서(自序) / 이지 ... 53
『이씨분서』초약후 서문(李氏焚書序) / 초횡 ... 56
이온릉전(李溫陵傳) / 원중도 ... 59
권1 서답(書答)
주서암에게 답함(答周西巖) ... 79
주약장에게 답함(答周若莊) ... 82
초약후에게(與焦弱侯) ... 84
등석양에게 답함(答鄧石陽) ... 87
다시 석양태수에게 답함(又答石陽太守) ... 90
이견라 선생에게 답함(答李見羅先生) ... 94
초의원에게 답함(答焦의園) ... 97
구약태에게 보내는 답신(復丘若泰) ... 103
등석양에게 회답함(復鄧石陽) ... 105
주남사에게 회답함(復周南士) ... 115
등명부에게 답함(答鄧明府) ... 120
경중승에게 답함(答耿中丞) ... 123
다시 경중승에게 답함(又答耿中丞) ... 128
양정견에게(與楊定見) ... 130
서울의 벗에게 보내는 회답(復京中友朋) ... 132
다시 서울의 벗에게 답함(又答京友) ... 139
송태수에게 회답함(復宋太守) ... 142
경중승이 논한 담백함에 대한 회답(答耿中丞論淡) ... 143
유헌장에게 답함(答劉憲長) ... 147
주우산에게 답함(答周友山) ... 149
주유당에게 답함(答周柳塘) ... 151
경사구에게 보내는 고별사(與耿司寇告別) ... 153
경사구에게 답함(答耿司寇) ... 158
등명부에게 답함(答鄧明府) ... 186
주유당에게 회답함(復周柳塘) ... 194
경대중승에게 보내는 답장(寄答耿大中丞) ... 197
권2 서답(書答)
장순부에게(與莊純夫) ... 205
초약후에게 보내는 답장(復焦弱侯) ... 207
다시 초약후에게(又與焦弱侯) ... 214
등정석에게 보내는 답장(復鄧鼎石) ... 219
서울에 있는 친구에게 보내는 답장(寄答京友) ... 221
증중야에게(與曾中野) ... 223
증계천에게(與曾繼泉) ... 225
유방백에게 답하는 편지(答劉方伯書) ... 227
장순부에게 답하는 편지(與莊純夫書) ... 230
주우산에게 보내는 편지(與周友山書) ... 230
다시 주우산에게 보내는 편지(又與周友山書) ... 232
초의원에게(與焦의園) ... 235
유진천에게 보내는 편지(與劉晉川書) ... 235
벗에게 보내는 편지(與友朋書) ... 236
유진천에게 답하는 편지(答劉晉川書) ... 237
유초천과 작별하며(別劉肖川書) ... 239
친구에게 답하는 편지(答友人書) ... 240
여인은 도를 공부해도 별 수 없다는 견해에 대한 답변(答以女人學道爲見短書) ... 241
경동로에게 답하는 편지(復耿동老書) ... 245
이유청에게(與李惟淸) ... 246
명인에게(與明因) ... 249
초약후에게(與焦弱侯) ... 250
약후에게(與弱侯) ... 253
방백우에게 보내는 서간(與方伯雨柬) ... 255
양정견에게(與楊定見) ... 256
양봉리에게(與楊鳳里) ... 257
다시 양봉리에게(又與楊鳳里) ... 258
매형상에게(與梅衡湘) ... 259
부록 : 매형상의 답신(附衡湘答書) ... 260
또 매형상의 답신(又) ... 261
마성 사람에게 회답하는 편지(復麻城人書) ... 261
하남의 오중승에게 보내는 편지(與河南吳中丞書) ... 265
육사산에게 답함(答陸思山) ... 265
주우산에게(與周友山) ... 266
우산에게(與友山) ... 267
서울의 친구에게 부치는 편지(寄京友書) ... 269
초약후에게 보내는 편지(與焦弱侯書) ... 271
사룡의 『두 어머니를 슬퍼하는 노래』에 부쳐(復士龍悲二母吟) ... 274
진천옹에게 회답하는 편지(復晉川翁書) ... 277
진천옹이 장수를 기원하는 글 말미에 덧붙이다(書晉川翁壽卷後) ... 279
모임 일자에 관한 쪽지(會期小啓) ... 280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與友人書) ... 281
고충암옹에게 회답하는 편지(復顧沖菴翁書) ... 285
다시 고충암에게(又書) ... 285
통주로 보내는 시 말미에 다시 덧붙이다(又書使通州詩後) ... 287
부록 : 고양겸이 이온릉을 배웅하며 쓴 글(附顧沖老送行序) ... 288
담연대사에게 보내는 답장(復澹然大士) ... 292
황안의 두 스님을 위한 글 세편(爲黃安二上人三首) ... 293
첫 번째, 큰 효자 ... 293
두 번째, 참 스승 ... 296
세 번째, 말실수 ... 299
이점로에게 답하는 편지(復李漸老書) ... 300
권3 잡술(雜述)
탁오론 대략(卓吾論略) ... 305
논정편(論政篇) ... 314
하심은론(何心隱論) ... 318
부부론(夫婦論) ... 324
귀신론(鬼神論) ... 326
전국론(戰國論) ... 333
병식론(兵食論) ... 336
잡설(雜說) ... 343
동심설(童心說) ... 348
『심경』의 대강(心經提鋼) ... 352
사물설(四勿說) ... 356
허실설(虛實說) ... 358
정림암기(定林庵記) ... 362
고결설(高潔說) ... 366
벌레 세 마리(三蠶記) ... 370
세 배반자 이야기(三叛記) ... 372
『충의수호전』서문(忠義水滸傳序) ... 375
소자유의『노자해』서문(子由解老序) ... 379
고동지를 격려하는 글(高同知奬勸序) ... 381
대요로 가는 정현령을 전송하며(送鄭大姚序) ... 386
이중승『주의집』서문(李中丞奏議序) ... 391
『선행록』서문(先行錄序) ... 395
『시문집』후서(時文後序) ... 398
장횡거의『역설』 서문(長橫渠易說序) ... 399
『용계선생문록초』서문(龍谿先生文錄抄序) ... 401
관제께 아뢰는 글(關王告文) ... 404
이중계 선생 영전에 바치는 글(李中谿先生告文) ... 405
왕용게 선생 영전에 바치는 글(王龍谿先生告文) ... 409
나근계 선생 영전에 아뢰는 글(羅近谿先生告文) ... 412
제사 못 받는 귀신들을 위하여(祭無祀文) ... 420
황산비문(篁山碑文) ... 425
이생의 열 가지 사귐(李生十交文) ... 428
자찬(自贊) ... 430
유해 예찬(贊劉諧) ... 432
방죽도 족자에 적은 글(方竹圖卷文) ... 433
황안의 두 승려 수책에 쓰다(書黃安二上人手冊) ... 436
격률시에 대한 얄팍한 설명(讀律膚說) ... 438
焚書 ... 441
찾아보기 ... 549
<B>권호명: < / B>2
권4 잡술(雜述)
경전 해석을 위한 서두(解經題) ... 25
「결의론」의 앞에 쓰다(書決疑論前) ... 26
『심경』해설(解經文) ... 29
염불에 관한 문답(念佛答問) ... 31
『모두와 여행을 마치고』후기(征途與共後語) ... 33
'하학상달'의 풀이(批下學上達語) ... 36
방백우의『수능엄경』책갈피에 쓰다(書方伯雨冊葉) ... 39
약무의 모친이 아들에게 보낸 편지를 읽고(讀若無母寄書) ... 40
경초공선생전(耿楚공先生傳) ... 44
부록 : 주우산이 승려 명옥을 위해 쓴 법어(周友山爲僧明玉書法語) ... 50
관공의 초상을 모시면서(題關公小像) ... 52
세 보살상 모시는 논의(三大士像議) ... 53
심유 대신 아뢰는 제문(代深有告文) ... 61
다시 아뢰는 말씀(又告) ... 62
약사불을 찬미하며 아뢰는 글(禮誦藥師告文) ... 65
본사의 귀퉁이방으로 옮겨가며 아뢰는 글(移住上院邊廈告文) ... 66
『약사경』읽기를 마치고 아뢰는 고유문(禮誦藥師經畢告文) ... 68
병든 중 상통을 대신한 고유문(代常通病僧告文) ... 70
안거 기간을 맞이하여 대중에게 고하는 글(安期告衆文) ... 72
토지신께 고하는 글(告土地文) ... 74
부처님께 아뢰는 약속의 게송(告佛約束偈) ... 76
견식의 중요성(二十分識) ... 80
위의 글로 말미암아 지난 일을 기록해보다(因記往事) ... 82
사해의 의미(四海) ... 86
팔물설(八物) ... 90
다섯 가지 죽음(五死篇) ... 100
스러짐에 대한 애상(傷逝) ... 104
승려의 계행(戒衆僧) ... 105
육바라밀 풀이(六度解) ... 107
관음의 질문(觀音問) ... 109
담연대사에게 보내는 답장(答澹然師) ... 109
다시 덧붙여(又) ... 111
다시 덧붙여(又) ... 112
다시 덧붙여(又) ... 113
다시 덧붙여(又) ... 114
징연에게(與澄然) ... 116
자신에게 보내는 답장(答自信) ... 117
다시 덧붙여(又) ... 118
다시 덧붙여(又) ... 120
다시 덧붙여(又) ... 122
다시 덧붙여(又) ... 122
명인에게 답함(答明因) ... 125
다시 덧붙여(又) ... 126
예약(豫約) ... 132
머리말(小引) ... 132
아침저녁의 공부에 대해(早晩功課) ... 134
아침저녁으로 절 지키는 일에 대해(早晩山門) ... 134
아침저녁으로 지킬 예의에 대해(早晩禮儀) ... 135
아침저녁으로 켜는 등불에 대해(早晩佛燈) ... 138
아침저녁으로 울리는 종과 북에 대해(早晩鐘鼓) ... 139
아침저녁으로 탑전을 지키는 일에 대해(早晩守塔) ... 141
한평생을 회고하며(感槪平生) ... 149
외로운 밤의 정담(寒燈小話) ... 163
첫 번째 이야기 ... 163
두 번째 이야기 ... 166
세 번째 이야기 ... 168
네 번째 이야기 ... 171
『옥합기』를 읽고(玉合) ... 173
「곤륜노」를 읽고(崑崙奴) ... 174
『배월정』을 읽고(拜月) ... 178
『홍불기』를 읽고(紅拂) ... 179
권5 독사(讀史)
조조의 인재 사랑(曺公二首) ... 183
또 하나의 일화(又) ... 184
조식의 벗 양수(楊修) ... 187
양웅의「반소」를 읽고(反騷) ... 189
『사기』에 묘사된 굴원(史記屈原) ... 191
「어부」를 읽고(漁父) ... 192
「초혼」을 읽고(招魂) ... 193
동방삭의 「계자시」(誡子詩) ... 196
「비유선생론」(非有先生論) ... 200
사마상여의「자허부」(子虛) ... 200
가의론(賈誼) ... 202
조조론(조錯) ... 207
혜강의「절교서」(絶交書) ... 210
혜강의「양생론」(養生論) ... 212
혜강의「금부」(琴賦) ... 213
혜강의「유분시」(幽憤詩) ... 218
유영의「주덕송」(酒德頌) ... 220
상수의「사구부」(思舊賦) ... 221
『양승암집』을 읽고(楊升庵集) ... 222
잠자리의노래(청령謠) ... 225
당귀매전(唐貴梅傳) ... 226
다협명(茶夾銘) ... 230
이백의 고향(李白詩題辭) ... 232
『사기』의「백이열전」(伯夷傳) ... 234
악비와 시전(岳王幷施全) ... 235
의인 장천재(張千載) ... 238
이섭이 도적에게 쓴 시(李涉贈盜) ... 240
탐관오리(封使君) ... 242
송의 역사가 진과 흡사하다고(宋統似晉) ... 244
왕희지의 경세제민(逸少經濟) ... 246
공융과 낙빈왕(孔北海) ... 247
경전과 사서는 안팎의 관계(經史相爲表裏) ... 248
종규의 정체(鍾규卽終葵) ... 249
비파의 명인(段善本琵琶) ... 252
비석 뒤에 새긴 이름(樊敏碑後) ... 253
시화(詩畵) ... 255
당적비(黨籍碑) ... 258
모두 몸에 지녀야 하네(無所不佩) ... 259
순경과 이사와 오공(筍卿李斯吳公) ... 260
순자에 대한 송대 학자의 비판(宋人譏筍卿) ... 261
세 번 성찰하고 행동한 계문자(季文子三思) ... 263
임금을 시해한 진항(陳恒弑君) ... 266
왕안석의 견식(王半山) ... 268
징세를 위한 생산물의 유통(爲賦而相灌輸) ... 271
주자의 저술(文公著書) ... 273
『암연당유찬』을 읽고(闇然堂類纂引) ... 275
친구간의 의리(朋友篇) ... 277
의로운 종 아기(阿寄傳) ... 278
공명이 후주를 위해 베낀 필독서(孔明爲後主寫申韓管子六韜) ... 280
권6 시가(詩歌)
사언 장편고시(四言長篇)
독서의 즐거움(讀書樂) ... 291
오칠언 장편고시(五七言長篇)
자족보다 더 큰 재산은 없느니(當莫富於常知足) ... 295
구월 구일 원중부와 국화를 감상하다(九日同袁中夫看菊寄謝主人) ... 296
동짓날 자신을 반성하며 주인영감에게 감사한 마음을 읊조리다(至日自訟謝主翁) ... 299
삭풍의 노래(朔風謠) ... 300
수불정사에 부쳐(題繡佛精舍) ... 301
표류하는 십팔 나한의 게송(十八羅漢海偈) ... 303
십팔 나한의 유희 게송(十八羅漢遊戱偈) ... 304
곡! 경자용(哭耿子庸) ... 305
오언절구(五言四句)
오문에서의 하룻밤(宿吳門) ... 309
심유 스님과 함께 매화를 감상하다(同深有上人看梅) ... 310
다시 매화를 보며(又觀梅) ... 311
정자진의 누각에서(鄭樓) ... 311
삭발가(치髮) ... 312
귀아를 애도함(哭貴兒) ... 313
아내를 그리며(哭黃宜人) ... 314
한밤중의 기러기 울음(夜半聞雁) ... 316
복건으로 돌아간 장순부를 떠올리며(莊純夫還민有憶) ... 319
세모에 호남의 은자를 방문하다(歲暮過胡南老) ... 320
산사의 밤중(합山寺夜坐) ... 322
정자현을 위로하며(慰鄭子玄) ... 322
무창에 머물며 진정의 유진천 선생께 띄우다(寓武昌郡寄眞定劉晋川先生) ... 324
변방의 노래(塞上吟) ... 328
솔과 매화의노래(賦松梅) ... 328
하심은의 훌륭한 제자 호시중에게(贈何心隱高第弟子胡時中) ... 329
매중승에게 화답한 게송 두 수(偈二首答梅中丞) ... 330
첨부 : 회림의 회답 게송(懷林答偈附) ... 331
육언절구(六言四句)
운중의 승방에 핀 작약꽃(雲中僧舍芍藥) ... 332
사룡이 두 손자·약후와 함께 내게 들러 단오떡을 먹다(士龍휴二孫同弱侯過余解종) ... 333
칠언절구(七言四句)
남쪽 연못(南池) ... 336
태백루(太白樓) ... 337
국화를 한탄함(恨菊) ... 338
육중학을 애도함(哭陸仲鶴) ... 339
중양절, 평상에서(九日坪上) ... 340
섣달 그믐의 사찰 풍경(除夕道場卽事) ... 341
폐관(閉關) ... 343
원소절(元宵) ... 343
곡! 회림(哭懷林) ... 344
진양회고(晋陽懷古) ... 345
안문을 지나며(過雁門) ... 346
상간을 가로지르며(渡桑問) ... 347
처음으로 운중에 와서(初室雲中) ... 348
두 선객에게(贈兩禪客) ... 348
윗 절의 편지를 받고(得上院信) ... 349
다시 산사에 와 마백시에게 준 시(重來山房贈馬伯時) ... 350
삼진으로 통하는 옛 길(吉道通三晉) ... 350
중주 여행의 첫 번째 일정(中州第一程) ... 351
영사시(詠史) ... 351
각기(却寄) ... 352
양봉리의 섭산 도착을 기뻐하며(喜楊鳳里到攝山) ... 354
산에서 약후의 낙방 소식을 듣고(山中得弱侯下第書) ... 355
주선생과 함께 동룡의 매화를 감상하다(同周子觀洞龍梅) ... 355
호숫가에 무리지어 핀 매화꽃(湖上紅白梅盛開戱題) ... 356
주산인에게(贈周山人) ... 357
모란꽃 필 제(牡丹時) ... 357
오언율시(五言八句)
처음으로 석호에 와서(初到石湖) ... 358
봄날 밤 연회에서 '공' 자로 운을 맞추다(春宵燕集得空字) ... 359
중추절에 유근성이 술병을 들고 용호를 찾다(中秋劉近城휴酒湖上) ... 360
가을을 목전에 두고 벗들과 대밭에 가기로 약속하다(秋前約近城鳳里到周子竹園) ... 361
석양의 환양류에서 '기' 자로 운을 맞추다(環陽樓晩眺得碁字) ... 362
다시 증군의 집에 들르다(重過曾家) ... 363
정자현을 배웅하며 아울러 약후에게 부치다(送鄭子玄兼寄弱侯) ... 364
구장유의 생일을 맞아(丘長孺生日) ... 364
관우 사당을 참배하며(謁關聖祠) ... 365
칼 들고 말 달리는 관운장 동상을 보고(觀鑄關聖提刀躍馬像) ... 366
가을의 정희(秋懷) ... 367
산보(閒步) ... 368
입춘에 상융 등의 도착을 기뻐하다(立春喜常融二僧至) ... 369
석양의 건루에서(乾樓晩眺) ... 371
마테오 리치에게(贈利西泰) ... 373
유월에 원중부가 있는 섭산을 방문하다(六月訪袁中夫攝山) ... 374
벽라원 잔치에서 구강사백에게 주다(薛蘿園宴集贈鷗江詞伯) ... 374
동평을 바라보며(望東平有感) ... 375
요성을 지나며(過聊城) ... 376
무성을 지나며(過武城) ... 377
칠언율시(七言八句)
무창을 출발하여 강을 건너고 대별에서 머물다(自武昌渡江宿大別) ... 379
새별길에 동쪽으로 출정하는 병사들을 만나 잠시 매중승을 떠올리다(曉行逢征東將士却寄梅中丞 ... 381
황혼녘에 거용관을 지나며(晩過居庸) ... 382
구일 극락사에 갔다가 원중랑이 곧 온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서 읊다(九日至極樂寺聞袁中郎且至因喜而賦) ... 383
정월 초하루 극락사에 큰 눈 내리다(元日極樂寺大雨雪) ... 384
비오는 탑사에서 원소수의 운에 맞추다(雨中塔寺和袁小修韻) ... 385
양숙자의 「오나라 정벌을 청하는 글」을 읽고(讀羊叔子勸伐吳表) ... 386
유우석의 「금릉회고」 시를 읽고(讀劉禹錫金陵懷古) ... 388
참고 : 유우석의 「금릉회고」(金陵懷古) ... 389
유리사(琉璃寺) ... 390
서울로 떠나며 운송 스님에게 이별기념으로 증정한 시(赴京留別雲松上人) ... 391
망노대에서 이정의 사당에 예를 갖추다(望魯臺禮謁二程祠) ... 392
이탁오「분서」 발문(李氏焚書跋) / 황절 ... 394
증보(增補) 1
이여진에게 보내는 답장(答李如眞) ... 401
하극재 상서에게 답하는 편지(答何克齊尙書) ... 406
초종오에게(與焦從吾) ... 407
다시 종오에게(又與從吾) ... 408
다시 종오 효렴에게(又與從吾孝廉) ... 411
경중승에게 보내는 회답(復耿中丞) ... 415
주이로에게 답함(答周二魯) ... 417
주유당에게 답함(答周柳塘) ... 422
서울지기에게 부치는 답장(寄答留都) ... 434
상순의 수권에 편지를 써 고충암에게 보내다(書常順手卷里顧沖菴) ... 438
관등지에게 보내는 편지(與管登之書) ... 440
증보(增補) 2
초약후에게 회답하다(復蕉弱侯) ... 442
서울의 친구에게 보낸 회답(寄答京友) ... 451
焚書 ... 455
탁오 이지 선생의 연보 ... 571
연도별 작품목록 ... 621
저작물목록 ... 641
역자 후기 ... 659
찾아보기 ... 66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