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4
참고문헌 ... 290
찾아보기 ... 295
하나. 지역문학의 인식과 연구
지역문학 연구의 방향 ... 15
1. 들머리 ... 15
2. 기초 문헌의 간수와 갈무리 ... 18
3. 연구 주체의 확충과 협력 ... 21
4. 아마추어리즘과 정실주의의 극복 ... 25
5. 주인...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4
참고문헌 ... 290
찾아보기 ... 295
하나. 지역문학의 인식과 연구
지역문학 연구의 방향 ... 15
1. 들머리 ... 15
2. 기초 문헌의 간수와 갈무리 ... 18
3. 연구 주체의 확충과 협력 ... 21
4. 아마추어리즘과 정실주의의 극복 ... 25
5. 주인 의식과 지역 통합 ... 28
6. 마무리 ... 31
지역시의 발견과 해석 - 경남·부산지역의 경험을 중심으로 ... 33
1. 들머리 ... 33
2. 근대시 이해의 전통과 지역시 ... 34
3. 지역시의 새로운 인식 ... 39
4. 지역시 해석의 방법 ... 45
5. 마무리 ... 50
지역문학의 현실과 과제 ... 53
1. 들머리 ... 53
2. 창작 현실과 그 변화 ... 55
3. 연구·비평의 현실과 김대봉 연구 ... 58
4. 문학제도의 세 자리 ... 71
5. 마무리 ... 74
인문학과 지역문학의 발견 ... 76
1. 들머리 ... 76
2. 인문학과 지역의 경험 ... 77
3. 지역문학의 발견과 그 연구 ... 84
4. 마무리 ... 96
둘. 지역 매체와 문학행정
소지역 문예지와『합천문학』 ... 101
1. 들머리 ... 101
2. 『합천문학』의 됨됨이 ... 102
3. 소지역 문예지와 그 방향 ... 109
4. 마무리 ... 114
시인 김상훈과 거창의 문학행정 ... 116
1. 들머리 ... 116
2. 거창 지역문학의 줄기 ... 117
3. 시인 김상훈의 자리 ... 119
4. 거창의 문학행정과 가조 ... 125
5. 마무리 ... 128
지역문화의 해와 지역문화 커뮤니케이션 ... 129
1. 들머리 ... 129
2. 지역문화가 놓인 자리 ... 130
3. 지역문화 커뮤니케이션의 방향 ... 133
4. 마무리 ... 140
셋. 지역문학의 시시비비
짜깁기 연구와 학문적 자폐 - 고현철의 김대봉론 ... 145
1. 들머리 ... 145
2. 학문적 정당성 왜곡 ... 167
3. '작품 연보' 짜깁기의 속겉 ... 178
4. 내용에 나타난 왜곡과 모순 ... 199
5. 지역문인 규정의 잘못과 김대봉 이해의 수준 ... 227
6. '논문 게재 심사'와 불투명성의 증폭 ... 244
7. 김대봉에 대한 관심의 두 방향 ... 248
8. 마무리 ... 256
세상을 녹이는 납물의 언어 - 허만하 시집『물은 목마름 쪽으로 흐른다』 ... 263
시의 운명, 운명의 시 ... 276
오독을 넘어선 왜곡? ... 281
논점을 회피하지 말았으면 ... 286
머리말 ... 4
참고문헌 ... 290
찾아보기 ... 295
하나. 지역문학의 인식과 연구
지역문학 연구의 방향 ... 15
1. 들머리 ... 15
2. 기초 문헌의 간수와 갈무리 ... 18
3. 연구 주체의 확충과 협력 ... 21
4. 아마추어리즘과 정실주의의 극복 ... 25
5. 주인 의식과 지역 통합 ... 28
6. 마무리 ... 31
지역시의 발견과 해석 - 경남·부산지역의 경험을 중심으로 ... 33
1. 들머리 ... 33
2. 근대시 이해의 전통과 지역시 ... 34
3. 지역시의 새로운 인식 ... 39
4. 지역시 해석의 방법 ... 45
5. 마무리 ... 50
지역문학의 현실과 과제 ... 53
1. 들머리 ... 53
2. 창작 현실과 그 변화 ... 55
3. 연구·비평의 현실과 김대봉 연구 ... 58
4. 문학제도의 세 자리 ... 71
5. 마무리 ... 74
인문학과 지역문학의 발견 ... 76
1. 들머리 ... 76
2. 인문학과 지역의 경험 ... 77
3. 지역문학의 발견과 그 연구 ... 84
4. 마무리 ... 96
둘. 지역 매체와 문학행정
소지역 문예지와『합천문학』 ... 101
1. 들머리 ... 101
2. 『합천문학』의 됨됨이 ... 102
3. 소지역 문예지와 그 방향 ... 109
4. 마무리 ... 114
시인 김상훈과 거창의 문학행정 ... 116
1. 들머리 ... 116
2. 거창 지역문학의 줄기 ... 117
3. 시인 김상훈의 자리 ... 119
4. 거창의 문학행정과 가조 ... 125
5. 마무리 ... 128
지역문화의 해와 지역문화 커뮤니케이션 ... 129
1. 들머리 ... 129
2. 지역문화가 놓인 자리 ... 130
3. 지역문화 커뮤니케이션의 방향 ... 133
4. 마무리 ... 140
셋. 지역문학의 시시비비
짜깁기 연구와 학문적 자폐 - 고현철의 김대봉론 ... 145
1. 들머리 ... 145
2. 학문적 정당성 왜곡 ... 167
3. '작품 연보' 짜깁기의 속겉 ... 178
4. 내용에 나타난 왜곡과 모순 ... 199
5. 지역문인 규정의 잘못과 김대봉 이해의 수준 ... 227
6. '논문 게재 심사'와 불투명성의 증폭 ... 244
7. 김대봉에 대한 관심의 두 방향 ... 248
8. 마무리 ... 256
세상을 녹이는 납물의 언어 - 허만하 시집『물은 목마름 쪽으로 흐른다』 ... 263
시의 운명, 운명의 시 ... 276
오독을 넘어선 왜곡? ... 281
논점을 회피하지 말았으면 ... 28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