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참고문헌 ... 267
제1장 서론 : 때늦은 문제 제기 ... 9
제2장 중국적 서사 개념 ... 17
1. 다시 '없음'에서 ... 18
1) '소설' 환경의 중국적 특수성 ... 20
2) '소설' 개념의 모호성 ... 27
2. 중국적 서사 개념 ... 32
1) '행위'로서의 서사 .....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참고문헌 ... 267
제1장 서론 : 때늦은 문제 제기 ... 9
제2장 중국적 서사 개념 ... 17
1. 다시 '없음'에서 ... 18
1) '소설' 환경의 중국적 특수성 ... 20
2) '소설' 개념의 모호성 ... 27
2. 중국적 서사 개념 ... 32
1) '행위'로서의 서사 ... 32
2) 목적 지향의 서사 ... 37
3) 전통 시기 중국 서사의 분화 단계 ... 42
제3장 원-서사론 ... 49
1. 서사론자들의 계층적 연원 - '무사(巫史)', '사(士)' 그리고 '사관(史官)' ... 50
1) '무사'의 기능과 지위 변화 ... 50
2) '사림(士林)'의 형성과 분화 ... 57
3) 사관의 직능과 소명의식 ... 67
2. 원-서사론의 창조적 집대성 - 사마천의 서사론 ... 76
1) 서한의 서사 환경과『사기』의 의의 ... 76
2) 『사기』의 저작 동기 ... 82
3) 서사의 객관성에 대한 인식 ... 91
4) 사마천 서사론의 의의 ... 98
3. 과도기의 서사론 - 동한·육조의 서사론과 '지괴(志怪)'의 위상 ... 100
1) '문인' 계층의 성립 ... 100
2) 동한과 육조의 서사 환경 ... 109
3) '지괴'의 성격 ... 115
4) 문인으로서 유협(劉협)의 서사론 ... 121
4. 소결 ... 127
제4장 역사서사론 : 당대 초기의 유지기(劉知幾)를 중심으로 ... 131
1. '역사 서사' 개념의 성립 - 『사통』의 주변 ... 134
1) 당대 '사관'의 성격과 서사 환경 ... 134
2) '역사 서사'의 의미와 범주 ... 142
3) '비정통 역사 서사 '의 의의 ... 154
2. '역사 서사'의 주변 ... 162
1) '역사 서사' 경계선 밖의 서사체 ... 162
2) 당 '전기(傳奇)'의 성격 ... 169
3. 소결 ... 178
제5장 문학서사론 ... 181
1. 논의 주체들의 계층적 연원 - '특별한 중간층'의 형성과 그 특징 ... 183
1) 계층적 연원 ... 183
2) 초기의 주요 논자들 ... 193
2. 문학서사론의 주요 내용과 특징 ... 207
1) 허구적 상상력의 논리 ... 207
2) '문학서사론'의 중국적 특성 ... 234
3) '공용성'과 '예술성' 사이 ... 248
4) '문학서사론'에 대한 평가 ... 254
제6장 결론 : 새로운 '서사의 역사'를 기다리며 ... 25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