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B>권호명 : < / B>1
들어가는 글 : 우리 마을에 숨겨진 놀라운 질서 ... 8
제1부 마을에 담긴 정신
사상, 개념 그리고 마을 ... 16
위계적 개념 : 질서와 조화를 꿈꾼 공동체 ... 18
확장적 개념 : 사람과 자연이 하나되는 공동체 ... 20
다양한 개념 : 마을은 보물창고 같은 곳 ... 22
옻골마을 :...
더보기
목차 전체
<B>권호명 : < / B>1
들어가는 글 : 우리 마을에 숨겨진 놀라운 질서 ... 8
제1부 마을에 담긴 정신
사상, 개념 그리고 마을 ... 16
위계적 개념 : 질서와 조화를 꿈꾼 공동체 ... 18
확장적 개념 : 사람과 자연이 하나되는 공동체 ... 20
다양한 개념 : 마을은 보물창고 같은 곳 ... 22
옻골마을 : 주변 경관에서 찾은 공간 만들기의 단서 ... 25
대도시에 남은 오래된 삶터 ... 29
마을을 광역 경영의 베이스캠프로 ... 31
광역 경영자, 백불암 선생 ... 34
산사람, 죽은 사람이 모두 옻골에 모이다 ... 39
정려각을 기준으로 나뉜 개인과 공동체 ... 41
동계정에 있는 미수(眉搜)의 글씨 ... 44
마을은 뒷산의 '혹'으로 통한다 ... 48
집은 자연을 만나 질서를 얻는다 ... 51
산 사람과 조상이 함께 거주하는 공간 : 백불고택 ... 57
동기가 다르면 결과도 다르다 ... 66
옻골마을을 가다 ... 70
한개마을 : 선비 정신과 만나는 공간 미학 ... 73
감응사에서 내려다본 한개마을 ... 76
한개마을은 한 개가 아니었다 ... 79
벼슬을 버리고 명예를 지킨 선비의 마을 ... 82
효과 공부를 실천하는 공간 ... 86
마을과 집을 잇는 길 체계 ... 92
여성이 드러나지 않게 마을 공간을 조성하다 ... 95
그러나 당당한 여성 공간 ... 99
나누면서 동시에 잇는 담과 건물의 이중주 ... 102
겸손한 마을의 기준, 한주종택 ... 107
집 속의 집 : 특수한 가족사가 만들어낸 특별 영역 ... 112
새로운 세기에 일어난 도전 또는 자본주의의 산물 ... 118
땅과 현실에서 이끌어낸 아름다운 원칙 ... 123
한개마을을 가다 ... 126
낙안읍성 : 조상들이 생각한 도시 ... 129
즐겁고 편안하게 항해하는 배 ... 131
읍성은 도시인가? ... 134
폭넓은 시각에서 본 도시 ... 137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 ... 142
축지법을 써서 하루아침에 성을 쌓다 ... 146
객사와 동헌의 정면성 ... 148
의식과 일상생활을 지배하는 축 ... 153
공과 사의 수준 높은 공존 방식 ... 157
시장은 성 안에, 향교는 성 밖에 ... 160
뜻밖의 장소에 있는 옥(獄) ... 163
너무나 그리운 샘과 미나리꽝 ... 166
읍성 대 향촌 ... 168
그만그만한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 172
변화감 있고 흥미로운 주거지 ... 175
과거의 도시가 현재의 시골로 ... 177
정신은 떠나버리고 물질만 남은 현대 도시 ... 179
낙안읍성을 가다 ... 182
제2부 마을에서 읽는 우리 문화
문화, 마을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오해 ... 186
마을은 문화적 다양성의 현장 ... 190
성읍마을 : 토속적인 공간과 평등한 삶의 조건 ... 195
지적 상상력을 요구하는 전통마을 ... 199
형식을 버리고 자연을 택한 읍성 ... 201
일반 마을과는 다른 공간의 얼개 ... 204
제주도의 특이한 이름들 ... 210
고리형 길, 올래 그리고 정낭 ... 215
형태에 집착하지 않은 집들 ... 217
돌로 통합된 토속성, 바람이 만들어낸 형태 ... 222
민중의 생활을 반영하는 토속 신앙 ... 225
안과 밖이 평등한 주거 공간 ... 233
고부간의 갈등이 없는 주거 공간 ... 238
성읍마을을 가다 ... 242
하회마을 : 위인과 보통사람 그리고 공간의 숨결 ... 245
'물돌이' 마을 하회, 사람으로 유명해지다 ... 249
마음을 모아도 쉽게 파악되지 않는 마을 ... 254
하회마을을 보는 세 단계 ... 257
겸암과 그의 공간 ... 264
서애와 그의 공간 ... 268
겸암과 서애의 건축이 보이는 미묘한 차이 ... 275
마을 사람 모두의 공간, 삼신당 ... 279
자면서도 먹으면서도 배울 수 있는 마을 ... 286
하회마을을 가다 ... 290
강골마을 : 근대의 추억과 한국 마을의 근대 ... 293
강골마을에 분 변화의 바람 ... 296
근대화 연쇄점과 근대의 추억 ... 298
보성, 차 그리고 수입된 근대 ... 304
전통의 분위기 속에 싹튼 근대의 씨앗 ... 306
전통마을에서 근대 마을로 ... 308
부농의 집 근대 한옥의 탄생 ... 314
새로운 모습의 안채와 안마당 ... 317
한옥의 다양화 : 중앙부엌형과 요(凹)자형 주거 ... 324
장식은 죄악이다? ... 329
열화정은 왜 마을 뒤로 갔을까 ... 331
꺼져가는 마을 ... 334
강골마을을 가다 ... 336
부록
자주 나오는 용어해설 : 풍수와 건축 용어를 위주로 ... 340
이 책을 만드는 데 도움을 받은 문헌들 ... 343
찾아보기 ... 347
<B>권호명: < / B>2
들어가는 글 : 우리 마을에 숨겨진 놀라운 질서 ... 8
제3부 사람들 사이의 관계가 응축된 마을
씨족마을 : 거주 공간의 사회학 ... 16
관계가 만드는 유기적인 질서 ... 21
양동마을 : 씨족마을의 공동성과 대립 ... 25
지형, 신분 그리고 중압감 ... 29
마을의 내력 : 양성 씨족마을로 정착하다 ... 30
마을의 기본 얼개 : 지형과 길 ... 32
큰길 : 슬픈 일제시대의 축 ... 35
뒷길 : 양동마을을 입체적으로 보는 탐방로 ... 40
변증법적 사회학 하나 : 신분의 차이와 마을 경관 ... 43
변증법적 사회학 둘 : 안골과 물봉, 그 대립과 공존 ... 45
가문 안에서의 공동성 : 안대, 정자 ... 48
문중 사이의 갈등과 취약한 공동생활 공간 ... 50
보물이 된 양동마을의 한옥들 ... 52
마을 주변의 이야기들 ... 58
양동마을을 가다 ... 64
도래마을 : 사회관계와 자연조건의 결합 ... 67
지형 조건 : 마을 공간 구조의 출발점 ... 70
동성(同姓)과 타성(他姓) ... 73
마을의 네트워크 : 일상적·비일상적 관계의 형성 ... 75
자연 요소와 사회관계 : 파(派)-지형-조경 ... 78
안길 : 정자-마을마당-종가를 잇는 축이자 다의적(多義的) 공간 ... 82
연령별과 성별로 이용되는 정자들 ... 87
양벽정과 계은정 : 마을과 지역의 연결고리 ... 92
사라진 종가들과 남은 한옥들 ... 99
집들 사이의 분리와 통합 ... 102
도래마을을 가다 ... 104
닭실마을 : 공동체를 위한 자기 조절 ... 107
개인과 공동, 경쟁과 조화 ... 110
나무와 꽃에서 나타나는 피보나치 수 ... 112
자연 속 조화의 상징, 황금비 ... 114
가장 불합리한 수의 합리성 ... 119
하늘이 내린 희귀한 삶터 ... 121
지형의 높낮이에 맞추어 노래하는 집들 ... 126
서로 양보하여 조망과 일조를 골고루 얻다 ... 128
자연스러움 속에 숨겨진 놀라운 질서 ... 133
자세한 분석 내용 ... 139
자연과 조화되는 두 가지 방식 ... 145
마을에 숨겨진 질서와 새로운 공간 ... 152
닭실마을을 가다 ... 156
제4부 마을에 담긴 환경 친화성의 지혜
전통마을에서 얻는 환경 친화성의 교훈 ... 160
풍수와 비보 : 거주 공간의 계획학 ... 163
지속가능한 마을의 조건 ... 167
원터마을 : 전형적인 농촌마을에서 발견한 환경 친화적 해법들 ... 171
한국 마을의 전형적인 모습 ... 173
끊임없는 역사의 소용돌이, 그러나 변함없는 마을의 뼈대 ... 175
환경 친화적 해법 하나 : 자연 조건에 대한 적응성 ... 186
환경 친화적 해법 둘 : 자원의 순환 ... 195
환경 친화적 해법 셋 : 에너지 시스템 ... 201
원터마을을 가다 ... 206
외암마을 : 부족함을 극복하는 지혜 ... 209
씨족마을의 형성과 변질 ... 213
자연환경 : 산과 물 ... 216
마을의 공간 구조 : 길과 집 ... 222
부족함을 극복하는 지혜, 하나 : 상징성과 실용성을 모두 갖춘 수 체계 ... 224
부족함을 극복하는 지혜, 둘 : 아늑한 주거지를 만드는 녹지 체계 ... 228
자연 친화적 건축 : 자연 재료가 만든 독특한 분위기 ... 232
자연 요소로 자연을 조절하는 지혜 ... 236
외암마을을 가다 ... 238
왕곡마을 : 지속 가능한 거주 공간을 찾아서 ... 241
예상하기 힘든 곳에 자리한 은거지 ... 243
분단과 전쟁으로 시작된 위협 ... 245
새로운 위협, 산불 ... 247
위기를 넘기고 지속하는 마을 ... 249
겹겹의 영역으로 둘러싸인 마을 ... 251
바람을 가두고 물을 얻는다 ... 257
모두 모여 한 몸을 이룬 채와 비밀스런 뒷마당 ... 259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는 겹집 ... 265
집의 특색을 이루는 마구의 디자인 ... 269
사회적 지속 가능성 : 두 성씨의 공존 ... 272
두 아웃사이더의 지속 ... 276
경제적 지속성의 표지들 ... 280
방앗간에 관한 추억 ... 285
전통마을에서 만난 근대와 탈근대 ... 288
보존이 아닌 보전이다 ... 291
왕곡마을을 가다 ... 296
부록
자주 나오는 용어해설 : 풍수와 건축 용어를 위주로 ... 300
이 책을 만드는 데 도움을 받은 문헌들 ... 303
찾아보기 ... 307
<B>권호명 : < / B>1
들어가는 글 : 우리 마을에 숨겨진 놀라운 질서 ... 8
제1부 마을에 담긴 정신
사상, 개념 그리고 마을 ... 16
위계적 개념 : 질서와 조화를 꿈꾼 공동체 ... 18
확장적 개념 : 사람과 자연이 하나되는 공동체 ... 20
다양한 개념 : 마을은 보물창고 같은 곳 ... 22
옻골마을 : 주변 경관에서 찾은 공간 만들기의 단서 ... 25
대도시에 남은 오래된 삶터 ... 29
마을을 광역 경영의 베이스캠프로 ... 31
광역 경영자, 백불암 선생 ... 34
산사람, 죽은 사람이 모두 옻골에 모이다 ... 39
정려각을 기준으로 나뉜 개인과 공동체 ... 41
동계정에 있는 미수(眉搜)의 글씨 ... 44
마을은 뒷산의 '혹'으로 통한다 ... 48
집은 자연을 만나 질서를 얻는다 ... 51
산 사람과 조상이 함께 거주하는 공간 : 백불고택 ... 57
동기가 다르면 결과도 다르다 ... 66
옻골마을을 가다 ... 70
한개마을 : 선비 정신과 만나는 공간 미학 ... 73
감응사에서 내려다본 한개마을 ... 76
한개마을은 한 개가 아니었다 ... 79
벼슬을 버리고 명예를 지킨 선비의 마을 ... 82
효과 공부를 실천하는 공간 ... 86
마을과 집을 잇는 길 체계 ... 92
여성이 드러나지 않게 마을 공간을 조성하다 ... 95
그러나 당당한 여성 공간 ... 99
나누면서 동시에 잇는 담과 건물의 이중주 ... 102
겸손한 마을의 기준, 한주종택 ... 107
집 속의 집 : 특수한 가족사가 만들어낸 특별 영역 ... 112
새로운 세기에 일어난 도전 또는 자본주의의 산물 ... 118
땅과 현실에서 이끌어낸 아름다운 원칙 ... 123
한개마을을 가다 ... 126
낙안읍성 : 조상들이 생각한 도시 ... 129
즐겁고 편안하게 항해하는 배 ... 131
읍성은 도시인가? ... 134
폭넓은 시각에서 본 도시 ... 137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 ... 142
축지법을 써서 하루아침에 성을 쌓다 ... 146
객사와 동헌의 정면성 ... 148
의식과 일상생활을 지배하는 축 ... 153
공과 사의 수준 높은 공존 방식 ... 157
시장은 성 안에, 향교는 성 밖에 ... 160
뜻밖의 장소에 있는 옥(獄) ... 163
너무나 그리운 샘과 미나리꽝 ... 166
읍성 대 향촌 ... 168
그만그만한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 172
변화감 있고 흥미로운 주거지 ... 175
과거의 도시가 현재의 시골로 ... 177
정신은 떠나버리고 물질만 남은 현대 도시 ... 179
낙안읍성을 가다 ... 182
제2부 마을에서 읽는 우리 문화
문화, 마을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오해 ... 186
마을은 문화적 다양성의 현장 ... 190
성읍마을 : 토속적인 공간과 평등한 삶의 조건 ... 195
지적 상상력을 요구하는 전통마을 ... 199
형식을 버리고 자연을 택한 읍성 ... 201
일반 마을과는 다른 공간의 얼개 ... 204
제주도의 특이한 이름들 ... 210
고리형 길, 올래 그리고 정낭 ... 215
형태에 집착하지 않은 집들 ... 217
돌로 통합된 토속성, 바람이 만들어낸 형태 ... 222
민중의 생활을 반영하는 토속 신앙 ... 225
안과 밖이 평등한 주거 공간 ... 233
고부간의 갈등이 없는 주거 공간 ... 238
성읍마을을 가다 ... 242
하회마을 : 위인과 보통사람 그리고 공간의 숨결 ... 245
'물돌이' 마을 하회, 사람으로 유명해지다 ... 249
마음을 모아도 쉽게 파악되지 않는 마을 ... 254
하회마을을 보는 세 단계 ... 257
겸암과 그의 공간 ... 264
서애와 그의 공간 ... 268
겸암과 서애의 건축이 보이는 미묘한 차이 ... 275
마을 사람 모두의 공간, 삼신당 ... 279
자면서도 먹으면서도 배울 수 있는 마을 ... 286
하회마을을 가다 ... 290
강골마을 : 근대의 추억과 한국 마을의 근대 ... 293
강골마을에 분 변화의 바람 ... 296
근대화 연쇄점과 근대의 추억 ... 298
보성, 차 그리고 수입된 근대 ... 304
전통의 분위기 속에 싹튼 근대의 씨앗 ... 306
전통마을에서 근대 마을로 ... 308
부농의 집 근대 한옥의 탄생 ... 314
새로운 모습의 안채와 안마당 ... 317
한옥의 다양화 : 중앙부엌형과 요(凹)자형 주거 ... 324
장식은 죄악이다? ... 329
열화정은 왜 마을 뒤로 갔을까 ... 331
꺼져가는 마을 ... 334
강골마을을 가다 ... 336
부록
자주 나오는 용어해설 : 풍수와 건축 용어를 위주로 ... 340
이 책을 만드는 데 도움을 받은 문헌들 ... 343
찾아보기 ... 347
<B>권호명: < / B>2
들어가는 글 : 우리 마을에 숨겨진 놀라운 질서 ... 8
제3부 사람들 사이의 관계가 응축된 마을
씨족마을 : 거주 공간의 사회학 ... 16
관계가 만드는 유기적인 질서 ... 21
양동마을 : 씨족마을의 공동성과 대립 ... 25
지형, 신분 그리고 중압감 ... 29
마을의 내력 : 양성 씨족마을로 정착하다 ... 30
마을의 기본 얼개 : 지형과 길 ... 32
큰길 : 슬픈 일제시대의 축 ... 35
뒷길 : 양동마을을 입체적으로 보는 탐방로 ... 40
변증법적 사회학 하나 : 신분의 차이와 마을 경관 ... 43
변증법적 사회학 둘 : 안골과 물봉, 그 대립과 공존 ... 45
가문 안에서의 공동성 : 안대, 정자 ... 48
문중 사이의 갈등과 취약한 공동생활 공간 ... 50
보물이 된 양동마을의 한옥들 ... 52
마을 주변의 이야기들 ... 58
양동마을을 가다 ... 64
도래마을 : 사회관계와 자연조건의 결합 ... 67
지형 조건 : 마을 공간 구조의 출발점 ... 70
동성(同姓)과 타성(他姓) ... 73
마을의 네트워크 : 일상적·비일상적 관계의 형성 ... 75
자연 요소와 사회관계 : 파(派)-지형-조경 ... 78
안길 : 정자-마을마당-종가를 잇는 축이자 다의적(多義的) 공간 ... 82
연령별과 성별로 이용되는 정자들 ... 87
양벽정과 계은정 : 마을과 지역의 연결고리 ... 92
사라진 종가들과 남은 한옥들 ... 99
집들 사이의 분리와 통합 ... 102
도래마을을 가다 ... 104
닭실마을 : 공동체를 위한 자기 조절 ... 107
개인과 공동, 경쟁과 조화 ... 110
나무와 꽃에서 나타나는 피보나치 수 ... 112
자연 속 조화의 상징, 황금비 ... 114
가장 불합리한 수의 합리성 ... 119
하늘이 내린 희귀한 삶터 ... 121
지형의 높낮이에 맞추어 노래하는 집들 ... 126
서로 양보하여 조망과 일조를 골고루 얻다 ... 128
자연스러움 속에 숨겨진 놀라운 질서 ... 133
자세한 분석 내용 ... 139
자연과 조화되는 두 가지 방식 ... 145
마을에 숨겨진 질서와 새로운 공간 ... 152
닭실마을을 가다 ... 156
제4부 마을에 담긴 환경 친화성의 지혜
전통마을에서 얻는 환경 친화성의 교훈 ... 160
풍수와 비보 : 거주 공간의 계획학 ... 163
지속가능한 마을의 조건 ... 167
원터마을 : 전형적인 농촌마을에서 발견한 환경 친화적 해법들 ... 171
한국 마을의 전형적인 모습 ... 173
끊임없는 역사의 소용돌이, 그러나 변함없는 마을의 뼈대 ... 175
환경 친화적 해법 하나 : 자연 조건에 대한 적응성 ... 186
환경 친화적 해법 둘 : 자원의 순환 ... 195
환경 친화적 해법 셋 : 에너지 시스템 ... 201
원터마을을 가다 ... 206
외암마을 : 부족함을 극복하는 지혜 ... 209
씨족마을의 형성과 변질 ... 213
자연환경 : 산과 물 ... 216
마을의 공간 구조 : 길과 집 ... 222
부족함을 극복하는 지혜, 하나 : 상징성과 실용성을 모두 갖춘 수 체계 ... 224
부족함을 극복하는 지혜, 둘 : 아늑한 주거지를 만드는 녹지 체계 ... 228
자연 친화적 건축 : 자연 재료가 만든 독특한 분위기 ... 232
자연 요소로 자연을 조절하는 지혜 ... 236
외암마을을 가다 ... 238
왕곡마을 : 지속 가능한 거주 공간을 찾아서 ... 241
예상하기 힘든 곳에 자리한 은거지 ... 243
분단과 전쟁으로 시작된 위협 ... 245
새로운 위협, 산불 ... 247
위기를 넘기고 지속하는 마을 ... 249
겹겹의 영역으로 둘러싸인 마을 ... 251
바람을 가두고 물을 얻는다 ... 257
모두 모여 한 몸을 이룬 채와 비밀스런 뒷마당 ... 259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는 겹집 ... 265
집의 특색을 이루는 마구의 디자인 ... 269
사회적 지속 가능성 : 두 성씨의 공존 ... 272
두 아웃사이더의 지속 ... 276
경제적 지속성의 표지들 ... 280
방앗간에 관한 추억 ... 285
전통마을에서 만난 근대와 탈근대 ... 288
보존이 아닌 보전이다 ... 291
왕곡마을을 가다 ... 296
부록
자주 나오는 용어해설 : 풍수와 건축 용어를 위주로 ... 300
이 책을 만드는 데 도움을 받은 문헌들 ... 303
찾아보기 ... 30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