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출판에 부치는 말씀 ... 3
제1장 한국 고지도의 발달 / 이찬 ... 9
1. 서론 ... 9
2. 조선시대 이전의 지도 ... 10
3. 조선전기의 세계지도 ... 11
4. 조선전기의 본국지도 ... 14
5. 조선후기의 세계지도 ... 17
6. 조선후기의 조선전도와 분도 ... 18
7. 결론 ... 23
...
더보기
목차 전체
출판에 부치는 말씀 ... 3
제1장 한국 고지도의 발달 / 이찬 ... 9
1. 서론 ... 9
2. 조선시대 이전의 지도 ... 10
3. 조선전기의 세계지도 ... 11
4. 조선전기의 본국지도 ... 14
5. 조선후기의 세계지도 ... 17
6. 조선후기의 조선전도와 분도 ... 18
7. 결론 ... 23
제2장 조선후기 하천 중심의 국토 인식 - 『대동수경』, 『산수심원기』, 『산행일기』를 중심으로 / 양보경 ... 27
1. 머리말 ... 27
2. 지리서 편찬의 꿈과 『대동수경』 ... 29
3. 『대동수경』과『산수심원기』, 『산행일기』 ... 35
4. 하천 중심의 국토 인식 체계 ... 42
5. 맺음말 ... 51
제3장 조선시대 전오염(煎熬鹽) 제조방법에 관한 고찰 / 김일기 ... 55
1. 들어가는 말 ... 55
2. 조선시대의 제염업 ... 57
3. 각 지역의 제염 방법 ... 63
4. 동서해안의 제염방법 비교 ... 85
5. 맺는 말 ... 89
제4장 중국의 『주례(周禮)』적 이상이 한성의 수도공간 조성에 끼친 영항 / 임덕순 ... 93
1. 서론 ... 93
2. 한성의 수도성 ... 95
3. 한성의 수도적 조성과『주례』이상 - 기준과의 관계 ... 100
4. 결론 ... 124
제5장 경복궁과 구 조선총독부 건물 경관을 둘러싼 상징물 전쟁 / 윤홍기 ... 129
1. 들어가는 말 ... 129
2. 경관을 텍스트로 보기 ... 130
3. 경관의 자연화와 그 뒤집어엎기에 대한 문화지리학 이론 ... 132
4. 마무리 ... 155
제6장 화성(華城)의 건설과 정조의 풍수지리관 / 성동환 ... 157
1. 머리말 ... 157
2. 화성의 입지선정 배경과 입지특성 ... 161
3. 화성의 지세와 풍수적 의미 부여 ... 169
4. 수구(水口)에 대한 정조의 해석 ... 176
5. 맺음말 ... 180
제7장 이민문학을 통해서 본 1930년대 북간도 조선이민의 공간인지 - 박계주의 작품을 중심으로 / 이은숙 ... 183
1. 서론 ... 183
2. 객관적 이미지 ... 192
3. 공간지각의 여과(濾過) ... 201
4. 주관적 이미지 ... 209
5. 결론 ... 216
제8장 영동지역 석호(潟湖)의 축소와 경지화 과정 - 경포호를 중심으로 / 이준선 ... 219
1. 머리말 ... 219
2. 석호와 삼각주의 형성 및 변천과정 ... 222
3. 경포호의 경지화와 그에 따른 축소 과정 ... 225
4. 경포호의 경지화에 따른 촌락의 변화 ... 240
5. 맺음말 ... 242
제9장 낙동강 삼각주 지역의 갈대지붕 민가 연구 / 장보웅 ... 245
1. 서론 ... 245
2. 지붕의 재료와 그 형태 ... 250
3. 갈대 지붕 민가의 입지와 토지이용 ... 253
4. 갈대 지붕 민가의 내부공간 ... 254
5. 움집의 형태와 내부구조 ... 258
6. 요약 및 결론 ... 261
제10장 진주의 역사적 경관 해석 / 김덕현 ... 263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263
2. 역사적 경관의 사회·공간적 유형 ... 265
3. 진주의 역사적 경관 ... 276
4. 요약과 함축 ... 294
제11장 한국의 비보풍수론(裨補風水論) -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 최원석 ... 299
1. 들어가는 말 ... 299
2. 비보풍수의 개념과 구성 ... 300
3. 한국 비보풍수의 역사적 변천과정 ... 311
4. 한국 풍수비보의 형태와 기능 ... 315
5. 동아시아의 풍수비보 양상 ... 326
6. 맺음말 ... 332
제12장 지리산지 촌락의 입지와 형태 / 정치영 ... 335
1. 머리말 ... 335
2. 지리산지 촌락의 입지 ... 337
3. 지리산지 촌락의 형태 및 규모 ... 362
4. 맺음말 ... 378
제13장 영산호 주변 지역 간석지 개간과정과 경관변화 / 김경수 ... 383
1. 서론 ... 383
2. 영산호 서부지역의 간석지 개간과 경관변화 ... 387
3. 영산강 하류 동부지역의 간석지 개간과 경관변화 ... 414
4. 결론 ... 442
제14장 한국의 농지개간과정에 관한 한 소고(小考) - '김만경평야'(金萬頃平野)를 중심으로 / 남궁봉 ... 449
1. 서론 ... 449
2. 본론 ... 457
3. 결론 ... 483
제15장 17세기초 서산지방의 지리적 상황 -『호산록(湖山錄)』의 내용을 중심으로 / 이문종 ... 485
1. 머리말 ... 485
2. 17세기초의 서산 ... 491
3. 맺음말 ... 528
제16장 제주의 지리적 환경과 주민의 정체성 - 제주인의 해민정신(海民精神) / 송성대 ... 531
1. 면식(面識) 너머의 지식(知識)을 향하여 ... 531
2. 동양과 화이부동한 제주인의 에토스 ... 538
3. 화산회토와 자립정신(Autarkism) ... 544
4. 용암평원과 제주인의 자주정신(ownership) ... 549
5. 풍다양도(風多洋島)와 해민정신(Seamanship) ... 559
6. 제주 해민정신(海民精神)의 지역성과 보편성 ... 56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