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론
1.1 토양의 정의 ... 2
1.2 토양의 오염물질 ... 2
1.3 친환경 오염토양 복원기술 동향 ... 3
제2장 전기동력학적 오염토양 복원기술
2.1 기본이론: 전기동력학적현상 ... 13
2.1.1 오염물질 이동기작(transport mechanisms) ... 13
2.1.2 물의 전기분해(...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1.1 토양의 정의 ... 2
1.2 토양의 오염물질 ... 2
1.3 친환경 오염토양 복원기술 동향 ... 3
제2장 전기동력학적 오염토양 복원기술
2.1 기본이론: 전기동력학적현상 ... 13
2.1.1 오염물질 이동기작(transport mechanisms) ... 13
2.1.2 물의 전기분해(electrolysis of water) ... 18
2.2 전기동력학적 오염토양 복원기술 ... 19
2.2.1 기본원리 ... 19
2.2.2 공정효율을 지배하는 주요한 영향인자 ... 21
2.2.3 향상기법(enhancement schemes) ... 23
2.2.4 적용범위 ... 25
2.2.5 장ㆍ단점 ... 26
2.3 공정설계와 현장적용을 위한 고려인자 ... 28
2.3.1 토양의 종류 ... 28
2.3.2 오염물질의 특성 ... 28
2.3.3 전압과 전류 ... 29
2.3.4 전극 ... 30
2.3.5 에너지 소모량 ... 33
2.3.6 공정에 소요되는 총 비용 ... 33
2.4 연구사례:중금속 오염물질 제거 ... 34
2.4.1 실험실규모의 벤치실험과 이론적 모델링 연구 ... 36
2.4.2 향상기법에 대한 연구사례 ... 39
2.4.3 중금속의 존재형태별 제거양상에 관한 연구사례 ... 41
2.4.4 현장적용사례 ... 43
2.5 결언 ... 45
제3장 투수성 반응벽체를 이용한 지중 복원기술
3.1 서언 ... 56
3.1.1 비소 및 중금속 오염과 지중 복원 대안 ... 56
3.1.2 반응벽체기술의 기술 동향 ... 56
3.2 투수성 반응벽체의 개요와 원리 ... 58
3.2.1 반응벽체의 정의와 종류 ... 58
3.2.2 오염부지조사 및 설계 인자 ... 59
3.2.3 벽체 충진 물질 선정 ... 63
3.2.4 오염물질 제거 기작 ... 63
3.2.5 충진 기술 ... 65
3.2.6 모니터링 및 재생 ... 66
3.2.7 기술의 장ㆍ단점 ... 67
3.3 연구사례:철산화물 피복모래와 콜로이드 반응벽체 ... 67
3.3.1 콜로이드 반응벽체 형성 ... 68
3.3.2 철산화물 피복모래 개발 ... 69
3.3.3 회분식 및 컬럼 제거 효율 ... 71
3.4 국내 기술 및 적용사례와 시장현황 ... 76
3.4.1 주요 보유 기술사례 ... 76
3.4.2 시장 현황과 기술 보완 사항 ... 77
3.5 결언 ... 78
제4장 고형화/안정화 복원기술
4.1 서론 ... 82
4.2 고형화 기법 ... 83
4.3 화학적 안정화 기법 ... 84
4.3.1 산화-환원(Oxidaion and Reduction) ... 84
4.3.2 흡착 및 이온교환(Adsorption and Ion-exchange) ... 85
4.3.3 침전(precipitation) ... 86
4.4 고형화/안정화처리 기법의 장단점 ... 87
4.5 외국의 상업화된 고형화/안정화 기술 사례 ... 88
4.5.1 미국 Superfund site에서의 고형화/안정화 적용사례 ... 88
4.5.2 일본 및 유럽 지역 ... 90
4.6 국내의 상업화된 고형화/안정화 기술 적용사례 ... 91
제5장 토양세정기술
5.1 기술 개요 및 원리 ... 94
5.1.1 기술의 정의 ... 94
5.1.2 적용 범위 및 오염 부지 ... 96
5.1.3 설계 인자 및 세정액 ... 97
5.1.4 기술의 장단점 ... 98
5.2 연구사례 ... 99
5.2.1 생물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내 Phenanthrene의 제거 ... 99
5.2.2 EDTA를 이용한 중금속제거 연구 ... 102
제6장 미생물학적 용출기술(Bioleaching)
6.1 서론 ... 110
6.2 산성광산배수에서 미생물의 작용 ... 112
6.2.1 황화광물의 용해 ... 112
6.2.2 산성광산배수 내의 미생물 ... 113
6.3 미생물학적 용출에 사용되는 미생물 ... 115
6.3.1 Acidithiobacillus ... 119
6.3.2 Leptospirillum ... 119
6.3.3 호열성 세균(thermophilic bacteria) ... 120
6.3.4 종속영양 미생물(heterotrophic microorganisms) ... 120
6.4 미생물학적 용출기법의 용출 기제 ... 120
6.4.1 직접기제(direct mechanism) ... 121
6.4.2 간접기제(indirect mechanism) ... 122
6.5 미생물학적 용출법의 영향 요인 ... 123
6.5.1 pH ... 123
6.5.2 온도(temperature) ... 123
6.5.3 영양분(nutrients) ... 124
6.5.4 산소와 이산화탄소 ... 124
6.5.5 용출되는 매질의 종류 ... 124
6.5.6 용출되는 중금속의 영향 ... 125
6.6 미생물학적 용출법의 활용분야 ... 125
6.6.1 광석제련 ... 125
6.6.2 산업폐기물 및 토양오염 처리 ... 126
제7장 생체흡착기술
7.1 머리말 ... 134
7.2 생체흡착기술의 특성 및 중금속 제거 원리 ... 135
7.2.1 미생물에 의한 중금속 제거 기작 ... 135
7.2.2 연구현황 ... 137
7.2.3 주요 영향인자 ... 138
7.3 박테리아를 이용한 중금속 경쟁흡착 특성에 관한 연구 ... 140
7.3.1 단성분계 금속 이온의 흡착 특성 ... 141
7.3.2 다성분계 금속 이온의 흡착 특성 ... 143
7.3.3 경쟁흡착에 대한 pH의 영향 ... 144
7.3.4 고찰 : 생체흡착제에 따른 흡착능 비교연구 ... 144
7.4 기술 활용 및 전망 ... 147
7.4.1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의 적용 ... 147
7.4.2 생물반응벽(bio-barrier)을 이용한 오염지역 복원 ... 148
7.5 결언 ... 149
제8장 식물을 이용한 복원기술
8.1 서론 ... 156
8.2 식물정화법 ... 157
8.2.1 식물정화법의 종류 ... 157
8.2.2 식물정화법의 장단점 ... 158
8.3 식물의 고축적 능력 ... 161
8.2.1 과축적의 기작 ... 162
8.3.2 킬레이틴 ... 163
8.3.3 식물정화법 효율 향상기법 ... 166
8.4 결언 ... 171
제9장 위해성평가기술
9.1 서론 ... 178
9.2 위해성평가과정 ... 179
9.2.1 유해성 확인(Hazard Identification) ... 179
9.2.2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 183
9.2.3 용량 - 반응(독성) 평가(Dose-Response Assessment) ... 188
9.2.4 위해도 결정(Risk Characterization) ... 192
9.3 사례 연구 ... 193
9.3.1 연구지역 개요 ... 193
9.3.2 시료채취 및 화학분석 방법 ... 193
9.3.3 중금속 원소들의 지구화학적 특성 ... 195
9.4 결언 ... 20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