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해제
일러두기
포저집 제1권
시(詩)
영회 9수(詠懷 九首) ... 1
우음(偶吟) ... 1
독서 2수(讀書 二首) ... 1
주자의 훈몽 절구를 본떠서 대학의 내용을 소재로 지어 보다. 3수(效朱子訓蒙絶句就大學作 三首) ... 2
논어를 읽고(讀論語) ... 3
육언 절구의 당시를 우연히 보고는 이를 본...
더보기
목차 전체
해제
일러두기
포저집 제1권
시(詩)
영회 9수(詠懷 九首) ... 1
우음(偶吟) ... 1
독서 2수(讀書 二首) ... 1
주자의 훈몽 절구를 본떠서 대학의 내용을 소재로 지어 보다. 3수(效朱子訓蒙絶句就大學作 三首) ... 2
논어를 읽고(讀論語) ... 3
육언 절구의 당시를 우연히 보고는 이를 본떠서 짓다.(偶閱唐詩六言絶句效作) ... 3
우음(偶吟) ... 4
영사 26수(詠事 二十六首) ... 4
봄날 산중의 일을 읊다.(春日山中卽事) ... 4
궁중에 서 있는 봄날의 소나무(禁中春松) ... 5
봄비(春雨) ... 6
사월에 비가 내리는 가운데 고목이 된 복숭아 나무 가지에 늦게야 꽃이 핀 것을 보고 노래하다.(詠四月雨中衰老晩桃) ... 7
진간재집을 우연히 열람하다가 장 적공의 시에 차운한 시를 발견하고는 한 수 짓다.(偶閱陳簡齋集得次張迪功詩) ... 7
함흥곡 5수(咸興曲 五首) ... 8
우제(偶題) ... 9
춘화의진대 과제(春和議賑貸 課製) ... 9
욕기 과제(浴沂 課製) ... 11
단오첩(端午帖) ... 12
중양일에 정원 섬돌 위의 들국화를 보고 읊조리다. 4수(重陽日詠政院階上山菊 四首) ... 13
파초를 노래하다.(詠芭蕉) ... 13
춘일(春日) ... 14
하일(夏日) ... 14
야목정사 춘첩 4수(野牧亭舍春帖 四首) ... 15
야목정사에 제하다.(題野牧亭舍) ... 15
행역 7수(行役 七首) ... 16
철령을 넘는 도중에(鐵嶺道中) ... 16
홍원의 벽 위에 있는 시에 차운하여 제하다.(次題洪原壁上) ... 16
요로원의 기둥에 차운하여 제하다.(次題要路院柱) ... 17
갈원 도중에 짓다.(葛院途中作) ... 17
칠월 십오 일 밤에 소사의 다리 위에 올라가서 눈앞의 정경을 읊다. 3수(七月十五夜登所沙橋上卽事 三首) ... 18
사람들에게 지어 준 시 11수(贈人 十一首) ... 18
중양일에 임 첨지와 회음하며(重陽日與林僉知會飮) ... 18
남자수에게 주다.(贈南子受) ... 19
헤어지고 나서 봄이 저무는 때에 이무백 윤우에게 부치다.(別後春暮寄李茂伯 潤雨) ... 19
고산역을 출발하면서 덕원의 윤 부사에게 부치다.(發高山驛奇德源尹府使) ... 19
남양의 술자리에서 입으로 읊다.(南陽酒席口號) ... 20
신자인에게 주다.(贈辛子仁) ... 20
임 첨지에게 주다.(贈林僉知) ... 20
지나는 길에 이형을 찾아보았더니 밭에 나갔다고 하기에, 밭에서 그와 함께 어울리며 술을 가져다 마시고는 시를 지어 증정하였다. 이날 요동이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처음 들었다.(過訪李兄云往于田從之取酒以飮因贈以詩是日初聞遼東陷沒) ... 21
시냇가의 술자리에서 임 첨지와 그 자리에 있던 제현에게 증정하다. 2수(溪上酒席贈林僉知竝在座諸賢 三首) ... 21
정 부총 용 에게 삼가 증정하다.(敬贈程副摠 龍) ... 22
화답하며 차운한 시 44수(酬次 四十四首) ... 23
유 동지 영순 에게 차운하여 화답하다.(次酬柳同知 永詢) ... 23
이자릉 경엄 의 사천 시에 차운하다.(次李子陵 景嚴 斜川韻) ... 24
최고봉의 시에 차운하다.(次崔孤峯韻) ... 25
난석정의 시에 차운하다. 2수(次爛石亭韻 二首) ... 26
최대용 유해 이 통어사의 종사관으로 호서에 가는 길에 신창을 지나가다가 나의 집에 들러서 유숙하였는데, 이천장 명한 과 창수한 시를 보여 주기에 그 시에 차운해서 증정하였다.(崔大容 有海 以統禦從事行湖西過新昌來訪留宿示以與李天章 明漢 唱酬韻次以贈之) ... 27
대용의 절구와 율시에 차운하다.(次大容絶句及律詩韻) ... 27
송자심 연 의 시에 차운하여 증정하다.(次贈宋子深 淵) ... 28
순찰사 상공이 선원전에서 제사를 올릴 적에 지은 시에 받들어 차운하다.(奉次巡察相公祭濬源殿之作) ... 28
용재가 조사에게 화답한 시를 우연히 보고는 여기에 차운하다. 2수(偶得용齋和詔使韻次之 二首) ... 29
권생 위기에게 차운하다.(次權生爲己) ... 30
중추에 휴암에서 달구경을 하며 민원경의 시에 차운하다.(中秋휴巖賞月次閔遠卿韻) ... 31
남귀암이 길야은을 읊은 시에 차운하다.(次南龜庵詠吉冶隱韻) ... 31
월사 이 상공 정귀 이 시를 지어 고봉과 작별할 적에, 말구에서 나의 안부를 물어보셨는데, 이 시가 미처 전해지기도 전에 고봉이 그만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그 뒤로 사 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에 와서, 그의 사위인 윤탁이 유적 중에서 이 시를 찾아내어 나에게 보여 주기에, 내가 반복해서 슬피 탄식하며 눈물 ... 32
도 영공이 단오절에 상으로부터 하사를 받고 감회에 젖어서 지은 시에 삼가 차운하다.(敬次都令公端午受賜感懷之作) ... 34
유 동지가 차계의 성대한 모임에서 지은 시에 삼가 차운하면서 주인인 윤 상주 영공에게 아울러 증정한 오언율 2수(敬次柳同知叉溪勝會之作兼呈主人尹尙州令公五言律 二首) ... 34
정원에서 심 승지의 시에 차운하다. 2수(政院次沈承旨韻 二首) ... 35
정원에서 이여고 식 의 시에 차운하다.(政院次李汝固 植 韻) ... 35
정원에서 여러 동료들의 시에 차운하다.(政院次諸僚韻) ... 36
여러 노선생들의 시에 삼가 차운하여 대승상 문하 완평 에 엎드려 바치다.(奉次諸老先生韻伏呈大丞相門下 完平) ... 36
청음 김상 상헌 의 시에 차운하다.(次淸陰金相 尙憲 韻) ... 37
원운은 다음과 같다.(附元韻) ... 38
진산의 사군인 송자심의 시에 차운하다.(次珍山使君宋子深韻) ... 38
둔암 송자심의 시에 차운하다.(次芚庵宋子深韻) ... 38
원운은 다음과 같다.(附元韻) ... 39
해숭위 윤신지 가 부쳐 온 시에 차운하다.(次海嵩尉 尹新之 見寄韻) ... 39
서 장령 정연 이 부쳐 온 시에 차운하다.(次徐掌令 挺然 所寄韻) ... 39
윤 장령이 배생에게 준 시에 차운하다.(次尹掌令贈裵生韻) ... 40
족숙 장 동지 영 가 구십의 연세로 가선대부의 품계에 올랐다. 이에 민 이상 형남 노야가 시를 지어 축하하자, 장 동지가 여기에 차운해서 답하였는데, 두 분의 시가 모두 벽 위에 걸려 있었다. 이에 수연에서 삼가 차운하여 증정하였다. 9수(族叔張同知 泳 年九十陞嘉善閔二相 馨男 老爺以詩賀之張同知次答兩詩皆在壁上 ... 40
송별 25수(送別 二十五首) ... 44
봄이 다한 시절에 남쪽으로 돌아가던 날 정평의 부백과 작별하며 남긴 시(春盡南還留別定平府伯) ... 44
덕원의 윤 명부와 작별하며 남긴 시(留別德源尹明府) ... 44
함흥에서 조인보 정호 와 작별하고 돌아오다가 초원에 도착해서 짓다.(咸興別趙仁甫 廷虎 歸到草原作) ... 45
지리산으로 돌아가는 승려 성은을 보내며(送僧聖隱還智異) ... 45
서장관 윤장경 홍국을 전송한 시 2수(送書狀尹張卿 弘國 韻 二首) ... 45
김생 거원을 전송하며(送金生巨源) ... 46
일본에 사신으로 가는 강 판교 홍중 를 전송하며(送姜判校 弘重 使日本) ... 46
일본에 사신으로 가는 신 지평 계영 을 전송하며(送辛持平 啓榮 使日本) ... 46
임천에 부임하는 이자시 민구 를 전송하며(送李子時 敏求 赴林川) ... 47
영남을 안찰하러 나가는 이자시를 전송하며(送李子時出按嶺南) ... 47
일본에 사신으로 가는 임 첨지 광 를 전송하며(送任僉知 광 使日本) ... 48
조사의 연위사로 나가는 해숭위를 전송하며(送海嵩尉延慰詔使) ... 48
중국에 조회하러 가는 민 참판을 전송하며(送閔參判朝京) ... 49
관동 지방으로 부임하는 이 관찰을 전송하며(送關東李觀察) ... 49
호서 지방을 안찰하러 가는 윤중소 이지 를 전송하며(送尹仲素 履之 按湖西) ... 50
관동 지방을 안찰하러 가는 윤중소를 전송하며(送尹仲素按關東) ... 50
정원에서 관서 지방으로 군대를 사열하러 떠나는 승지 이천장을 전송하며(政院送李承旨天章閱武關西) ... 51
중국에 사신으로 가는 동년 송 참의 극인 를 전송하며(送同年宋參議 克인 赴京) ... 51
해서 지방으로 부임하는 권 안사 첩 를 전송하며(送權按使 첩 赴海西) ... 52
이 순천 덕수 이 부임하는 것을 전송하며(送李順天 德洙 赴任) ... 52
중국에 조회하러 가는 권 부사 계 를 전송하며(送權副使 啓 朝天) ... 53
의사 차군 중철이 평양으로 돌아갈 적에 전송한 시 병서(送義士車君仲轍還平壤詩幷序) ... 53
우상 이공 시백 이 북경으로 떠날 날짜가 박두하였기에, 강변에 나아가서 손을 잡고 송별하려고 감히 생각을 하였는데, 큰비가 계속 쏟아져 도로가 막히는 바람에 이 계획을 실천에 옮길 수가 없기에, 사람 편에 절구 두 수를 부쳐서 이 감회를 전하였다.(右相李公 時白 北京之行日期已迫敢擬進江上握手以別大雨連下道路 ... 59
만사 63수(挽詞 六十三首) ... 60
선종대의 천릉에 즈음한 만사(宣宗大王遷陵挽詞) ... 60
인조대왕의 만사(仁祖大王挽詞) ... 63
권 좌랑 득이 의 죽음을 애도하며(哭權佐郞 得已) ... 66
계운궁의 만장(啓運宮挽章) ... 66
정수몽 엽 의 죽음을 애도하며(哭鄭守夢 曄) ... 67
성 영동 문준 에 대한 만사(挽成永同 文濬) ... 68
원 우윤 황 의 죽음을 애도하며(哭元右尹 황) ... 68
오 지사에 대한 만사(挽吳知事) ... 69
성 무주 협 의 죽음을 애도하며(哭成茂朱 浹) ... 69
민중경에 대한 만사(閔重卿挽) ... 74
구 주부에 대한 만사(具主簿挽) ... 77
어떤 이에 대한 만사(挽人) ... 78
유회보 찬 의 천장에 즈음한 만사(柳晦甫 燦 遷葬挽) ... 79
인열왕후에 대한 만사 2수(仁烈王后挽詞二首) ... 81
고 하 사부 낙 의 천장에 즈음한 만사(故河師傳 洛 遷葬挽) ... 82
홍생에 대한 만사(挽洪生) ... 83
이 병판 부인에 대한 만사(李兵判夫人挽) ... 83
청음 김 판서의 숙모에 대한 만사(淸陰金判書叔母挽) ... 84
목 참의의 부인에 대한 만사(睦參議夫人挽) ... 85
강 좌윤 인 에 대한 만사(姜左尹 絪 挽) ... 85
오 승지 숙 에 대한 만사(吳承旨 숙 挽) ... 86
이지봉 수광 에 대한 만사(李芝峯 수光 挽) ... 86
서평부원군 한공 준겸 에 대한 만사(西平府院君韓公 浚謙 挽) ... 87
완평 이 상국 원익 에 대한 만사(完平李相國 元翼 挽) ... 87
김 지사 선생 계도 에 대한 만사(金知事先生 繼燾 挽) ... 88
연릉부원군 이공 호민 에 대한 만사(延陵府院君李公 好閔 挽) ... 89
정 판부사 광적 에 대한 만사(鄭判府事 光績 挽) ... 89
정우복 경세 에 대한 만사(鄭愚伏 經世 挽) ... 89
월사 이 상국 정귀 에 대한 만사 2수(月沙李相國 廷龜 挽 二首) ... 90
신 진사 광추 에 대한 만사(申進士 光樞 挽) ... 91
김 별좌에 대한 만사(金別坐挽) ... 92
정 감사 백창 에 대한 만사(鄭監司 百昌 挽) ... 92
우 좌랑의 부인인 종숙모에 대한 만사(從叔母禹佐郎室內挽) ... 92
박 철원 선 에 대한 만사(朴鐵原 선 挽) ... 93
이 김화 진행 에 대한 만사(李金化 震行 挽) ... 93
이 판서 천장 명한 에 대한 만사(李判書天章 明漢 挽) ... 93
이 참판 도장 소한 에 대한 만사(李參判道章 昭漢 挽) ... 94
김 감찰 도 에 대한 만사(金監察 濤 挽) ... 95
이 동지 원득 에 대한 만사(李同知 元得 挽) ... 95
황 참봉 종해 에 대한 만사(黃參奉 宗海 挽) ... 95
윤 참의 황 의 부인에 대한 만사(尹參議 煌 夫人挽) ... 96
박 풍덕 대화 의 모부인에 대한 만사(朴豊德 大華 母夫人挽) ... 97
김 평창 정립 에 대한 만사(金平昌 正立 挽) ... 97
남 정승 이웅 에 대한 만사(南政丞 以雄 挽) ... 98
유 참의에 대한 만사(兪參議挽) ... 98
조 지사 위한 에 대한 만사(趙知事 緯韓 挽) ... 99
유 참의에 대한 만사(兪參議挽) ... 99
청음 김 상국에 대한 만사(淸陰金相國挽) ... 100
송 첨정 자심 의 죽음을 애도하며(哭宋僉正 子深) ... 100
이 참판 경헌 에 대한 만사(李參判 景憲 挽) ... 100
정 판서 광성 에 대한 만사(鄭判書 廣成 挽) ... 101
황 서윤 위 에 대한 만사(黃庶尹 暐 挽) ... 102
영가 부부인에 대한 만사(永嘉府夫人挽) ... 102
경 세마 대후 의 죽음을 애도하며(哭慶洗馬 大後) ... 103
정 참판 홍명 에 대한 만사(鄭參判 弘溟 挽) ... 103
김 청주 효성 의 죽음을 애도하며(哭金淸州 孝誠) ... 104
현생 위에 대한 만사(玄生偉挽) ... 105
정생 종에 대한 만사(鄭生琮挽) ... 105
이생 격에 대한 만사(李生格挽) ... 106
배생 종도의 죽음을 애도하며(哭裵生宗度) ... 107
종제 학의 죽음을 애도하며(哭從弟학) ... 108
포저집 제2권
소 4수(疏 四首)
선혜청의 일을 논한 소 계해년(論宣惠廳疏 癸亥) ... 109
《대학곤득》과 《논어천설》을 바치면서 올린 소 갑자년(進大學困得論語淺說疏 甲子) ... 131
대동법을 혁파하면 안 된다고 논한 소 을축년(論大同不宜革罷疏 乙丑) ... 138
구언하신 분부에 따라 시사를 논한 소(因求言論時事疏) ... 149
포저집 제3권
소 11수(疏 十一首)
서쪽 변방의 일에 대한 대책을 논한 소 병인년(論西邊事宜疏 丙寅) ... 175
재차 올린 소(再疏) ... 182
산성의 공사를 끝낸 승려들에게 환속을 허락해 주고 군역을 배정하지 말 것을 청한 소(請山城已役僧人許還俗勿定軍役疏) ... 191
도승지를 사직한 소(辭都承旨疏) ... 194
시조의 분묘를 복구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청한 소(請復始祖墳疏) ... 196
특별히 임명된 우윤의 사직을 청한 소(辭特拜右尹疏) ... 199
평산의 성에서 수비하는 일을 논한 소 정묘년(論平山城守疏 丁卯) ... 201
병조 참판으로 겸임한 대사성의 직책을 사직한 소 기사년(辭兵曹參判兼大司成疏 己巳) ... 205
도승지로 겸임한 대사성의 직책을 사직한 소(辭都承旨兼大司成疏) ... 207
이조 참판과 비국의 당상을 사직한 소(辭吏曹參判備局堂上疏) ... 208
행 부제학을 사직한 소(辭行副提學疏) ... 210
포저집 제4권
소 13수(疏 十三首)
특명으로 제수된 예조 판서를 사직한 소 계유년(辭特拜禮曹判書疏 癸酉) ... 212
다시 예조 판서를 사직한 소(又辭禮判疏) ... 216
예문관 제학을 사직한 소(辭藝文提學疏) ... 218
재차 올린 소(再疏) ... 219
문성공 이이와 문간공 성혼의 덕행에 대해서 진달한 소 을해년(陳文成公李珥文簡公成渾德行疏 乙亥) ... 221
동지성균관사를 사직한 소(辭同知成均館疏) ... 232
서쪽 변방의 대책에 대해서 진달드린 소(陳西邊事宜疏) ... 232
왜인을 대우하는 일을 논하면서 아울러 체직을 청한 소(論待倭事仍乞遞疏) ... 238
남한산성에 올린 소 병자년(上山城疏 丙子) ... 242
원손 보양관을 사직한 소 계미년(辭元孫輔養官疏 癸未) ... 244
재차 올린 소(再疏) ... 247
상경하여 사은한 뒤에 돌아가겠다고 청한 소(上京謝恩後乞歸疏) ... 251
재차 올린 소(再疏) ... 253
포저집 제5권
소 13수(疏 十三首)
왕세자의 강학에 관해서 논한 소 을유년(論王世子講學疏 乙酉) ... 259
예조 판서를 사직한 소(辭禮曹判書疏) ... 270
세자 좌빈객과 사도시 제조를 사직한 소(辭世子左賓客司도提調疏) ... 272
《대학곤득》을 바치면서 올린 소 병술년(進大學困得疏 丙戌) ... 273
이조 판서를 사직 한 소(辭吏曹判書疏) ... 278
좌참찬을 사직한 소 무자년(辭左參贊疏 戊子) ... 281
치사를 청한 소(乞致仕疏) ... 283
두 번째 소(再疏) ... 286
세 번째 소(三疏) ... 288
성묘의 허락을 청한 소(乞掃墳疏) ... 291
《논맹천설》을 바치면서 올린 소 기축년(進論孟淺說疏 己丑) ... 292
슬픔을 억누르고 조섭하기를 청한 소(請抑哀調攝疏) ... 295
종묘의 하향에 친히 제사를 올리는 일을 정지하도록 청한 소(請停宗廟夏享親祭疏) ... 300
포저집 제6권
소 14수(疏 十四首)
우의정을 사직한 소 기축년(辭右議政疏 己丑) ... 302
두 번째 소(再疏) ... 305
세 번째 소(三疏) ... 308
유계 등의 일에 대해서 논한 소(論兪棨等事疏) ... 310
두 번째 소(再疏) ... 312
《용학곤득》을 바치면서 올린 소(進庸學困得疏) ... 316
체직하여 모친의 분묘를 천장하게 해 줄 것을 청한 소(乞遞職遷葬母墳疏) ... 319
좌의정을 사직한 소(辭左議政疏) ... 320
두 번째 소(再疏) ... 322
《서경천설》을 바치면서 올리려고 했던 소(擬進書經淺說疏) ... 324
이이와 성혼 두 현신을 문묘에 종사할 것를 청한 소(請李成兩賢臣文廟從祀疏) ... 327
유직이 기망한 것을 변론한 소(卞柳직欺罔疏) ... 329
영남 유생들의 일을 차자로 논한 뒤에 사직을 청한 소(箚論嶺儒事後辭職疏) ... 349
물러나 시골로 돌아가면서 강을 건널 적에 올린 소(退歸渡江時疏) ... 35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