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론 : 중화적 교린체제에서 탈중화로 ... 1
제1장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교린체제 ... 15
제1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책봉체제 ... 17
Ⅰ. 중화의식과 사대관념 ... 17
Ⅱ. 기미정책과 책봉체제 ... 24
제2절 조선의 사대정책과 책봉체제로의 편입 ... 31
Ⅰ. 사대정책의 성격 ... 31
...
더보기
목차 전체
서론 : 중화적 교린체제에서 탈중화로 ... 1
제1장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교린체제 ... 15
제1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책봉체제 ... 17
Ⅰ. 중화의식과 사대관념 ... 17
Ⅱ. 기미정책과 책봉체제 ... 24
제2절 조선의 사대정책과 책봉체제로의 편입 ... 31
Ⅰ. 사대정책의 성격 ... 31
Ⅱ. 책봉체제로의 편입 ... 35
제2장 조선전기 중화적 교린체제 ... 39
제1절 조ㆍ일 교린체제의 구조와 성격 ... 41
Ⅰ. 다원적이며 계층적인 구조 ... 41
Ⅱ. 대등관계의 교린 ... 51
Ⅲ. 기미관계의 교린 ... 64
제2절 조ㆍ유 교린체제의 구조와 성격 ... 77
Ⅰ. 유구와의 통교현황 ... 77
Ⅱ. 교린체제의 구조 ... 83
Ⅲ. 피로ㆍ표류인의 송환 ... 89
Ⅳ. 위사문제 ... 93
제3장 임란직후 중화적 교린체제의 부활 ... 101
제1절 국교회복과 교린체제의 부활 ... 103
Ⅰ. 강화교섭과 조선의 대일정책 ... 103
Ⅱ. 탐적사의 파견과 대일강화조건 ... 116
Ⅲ. '회답겸쇄환사'의 파견 ... 120
Ⅳ. 기유약조의 체결과 성격 ... 126
Ⅴ. 중화적 교린체제의 부활 ... 130
제2절 국서개작과 교린체제 ... 136
Ⅰ. 조일관계와 쓰시마 ... 136
Ⅱ. 1606년 德川家康 국서의 진위문제 ... 141
Ⅲ. 1607년 국서개작문제 ... 148
Ⅳ. 1609년의 국서문제 ... 156
Ⅴ. 1617년의 국서개작 ... 158
Ⅵ. 1624년의 국서개작 ... 165
Ⅶ. 국서개작과 교린체제의 성격 ... 171
제4장 조선후기 탈중화의 교린체제 ... 173
제1절 1636년 병자통신사와 탈중화의 교린체제 ... 175
Ⅰ. 교린체제의 변화요인 ... 175
Ⅱ. 서식개정의 요구 ... 177
Ⅲ. 통신사와 대군호 ... 182
Ⅳ. 통교제도의 개편 ... 192
Ⅴ. 탈중화적 교린체제의 성격 ... 201
제2절 '조선중화주의'와 '일본형화이의식'의 대립 ... 204
Ⅰ. 문제의 제기 ... 204
Ⅱ. 탈중화적 형태의 비교 ... 206
Ⅲ. 장군호칭과 의례변경 ... 225
Ⅳ. 맺음말 ... 233
제5장 교린체제의 종말 ... 237
제1절 역지통신과 교린체제의 변질 ... 239
Ⅰ. 통신사 파견의 연기 ... 239
Ⅱ. 쓰시마역지통신의 교섭 ... 245
Ⅲ. 신행절목과 역지통신의 시행 ... 252
Ⅳ. 대판역지통신과 교린체제의 변질 ... 258
제2절 왜관점령과 교린체제의 종말 ... 264
Ⅰ. 문제제기 ... 264
Ⅱ. 위정척사사상과 정한론의 고조 ... 265
Ⅲ. 쓰시마의 '조선진출론' ... 276
Ⅳ. 서계거부와 교린체제의 붕괴 ... 280
Ⅴ. 왜관점령와 교린체제의 종말 ... 285
맺음말 : 교린관계에서 침한으로 ... 291
〈부록 1〉 <B><FONT color ... #0000
〈부록 2〉 <B><FONT color ... #000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