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세계화의 함정 앞에 선 한문화(韓文化)와 한문학(韓文學)
1. 민족어의 존망과 외래문화 ... 11
2. 중세국가의 언어 민족주의 ... 16
3. 새로운 지배층의 등장과 사대적 어문정책 ... 21
4. 사이(四夷)의 정치적 실패와 한문화의 존립 ... 23
제2장 역대 왕조의 국가신앙
1. 국조 단군의 영이사적과 민족예...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세계화의 함정 앞에 선 한문화(韓文化)와 한문학(韓文學)
1. 민족어의 존망과 외래문화 ... 11
2. 중세국가의 언어 민족주의 ... 16
3. 새로운 지배층의 등장과 사대적 어문정책 ... 21
4. 사이(四夷)의 정치적 실패와 한문화의 존립 ... 23
제2장 역대 왕조의 국가신앙
1. 국조 단군의 영이사적과 민족예악 ... 29
1) 국조 단군과 민족예악 ... 29
2) 국조 단군의 영이사적 ... 32
3) 국조 단군과 한민족의 정체성 ... 35
2. 역대의 국가신앙과 민족사전(民族祀典) ... 36
3. 역대 왕조의 제천·제지 ... 45
1) 삼조선과 삼한·부여계 ... 46
2) 신라·고구려·백제 ... 57
3) 고려·조선조 ... 64
4. 역대 왕조의 산·천·해·독·악 ... 79
1) 신라·고구려·백제 ... 83
2) 고려·조선조 ... 92
5. 역대 왕조 국가신앙의 의미 ... 106
제3장 고대 나주권역과 포상팔국(浦上八國)
1. 포상팔국의 탐색 ... 111
2. 나주권역과 포상팔국 ... 114
1) 포상팔국의 위치비정 ... 115
2) 보라국과 나주권역 ... 121
제4장 한국 씨족들의 상계인식(上系認識)의 허구성과 문제점
1. 압해도와 나주 정씨 시조 ... 131
2. 해좌·다산의 실증적 시조인식 ... 136
3. 중국 전래설에 대한 비판 ... 142
제5장 한문화의 형성과 홍유후(弘儒侯) 설총
1. 삼한통합과 한문화의 정립 ... 147
2. 삼한통합과 유가문화의 위상 ... 152
3. 유가문화의 수용과 설총가(薛聰家) ... 159
4. 중원문화의 착근(着根)과 언어 민족주의 ... 164
5. 중원문화의 변용과 한문화 ... 176
제6장 15세기 송경의 고려조 문물과 악무
1. 고려·조선조 문화의 변별성 ... 181
2. 송경에 남은 고려 문물 ... 186
3. 송경에 남은 고려 악무 ... 195
1) 「목후무」의 연행 ... 198
2) 「한림지곡」「북전지곡」의 예악적 인식 ... 201
3) 「청산별곡」의 배경 ... 204
제7장 조선조 사인의 유배생활과 저작활동
1. 장기현(長기縣)과 우암(尤菴) ... 213
2. 우암의 사관생활(舍館生活) ... 217
3. 우암 인맥의 형성과 향속의 변개 ... 225
4. 장기에서의 음영과 저작활동 ... 230
제8장 한문학의 연구분야와 방법론의 새 지평
1. 한문학으로의 재정립 ... 243
2. 연구분야의 확장 ... 246
3. 연구시각의 재점검 ... 254
4. 한문학과 민족미학 ... 261
제9장 조선조 대왜(對倭) 정책의 소극성과 실패
1. 한문학과 교서체(敎書體) ... 267
2. 교서체와 문체의 위계의식 ... 270
3. 「대마도 교서(對馬島敎書)」를 통해 본 대왜 정책 ... 275
4. 「원릉군 교서(原陵君敎書)」에 나타난 원균의 공적 ... 280
5. 역대 인물의 포폄(褒貶)과 문중학(門中學) ... 287
제10장 19세기 말 전환기 지식인의 고뇌와 좌절
1. 한문학과 주소체(奏疏體) ... 291
2. 주소체의 성격과 당대 현실 ... 293
3. 위정벽사파와 개항파의 갈등 ... 301
4. 위정벽사파의 시국 인식과 대응책 ... 312
5. 개항파의 반론 ... 333
찾아보기 ... 33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