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無情』의 교육소설적 성격 / 장윤수
1. 서론 ... 11
2.『무정』의 구조 ... 12
3. 인물관계의 중개 유형 ... 24
(1) 제1유형 : 박 진사→형식 ... 25
(2) 제2유형 : 박 진사→영채 ... 28
(3) 제3유형 : 함 교장→월화 ... 29
(4) 제4유형 : 월화→...
더보기
목차 전체
『無情』의 교육소설적 성격 / 장윤수
1. 서론 ... 11
2.『무정』의 구조 ... 12
3. 인물관계의 중개 유형 ... 24
(1) 제1유형 : 박 진사→형식 ... 25
(2) 제2유형 : 박 진사→영채 ... 28
(3) 제3유형 : 함 교장→월화 ... 29
(4) 제4유형 : 월화→영채 ... 30
(5) 제5유형 : 병욱→영채 ... 30
(6) 제6유형 : 형식→경성학교 학생들 ... 34
(7) 제7유형 : 형식→선형 ... 35
(8) 제8유형 : 형식→삼랑진에 모인 인물들 ... 35
4. 결론 ... 40
참고문헌 ... 41
廉想涉의『三代』論 / 신춘호
1. 서론 ... 43
2. 본론 ... 45
(1) 사실 구조의 분석 ... 46
(2) 주요 분석 ... 60
(3) 문학적 장치 ... 62
3. 결론 ... 70
참고문헌 ... 71
지적 성찰과 풍자 / 송하춘
1. 채만식의 생애 ... 75
(1) 혈연적 계보 ... 75
(2) 학력, 사회적 경력 및 가정 ... 78
(3) 시대적 배경 ... 84
2. 「태평천하」분석 ... 86
3. 결론 ... 94
참고문헌 ... 95
박태원과 세태소설 / 민병기
1. 문제 제기 ... 97
2. 구보의 생애 ... 100
3. 「천변풍경」과「탁류」대비적 분석 ... 102
(1) 구성상의 차이 ... 103
(2) 주제 파악 방법의 문제 ... 108
(3) 문체의 비교 ... 113
4. 맺음말 ... 116
참고문헌 ... 117
일제하 농촌 현실과 이기영의 소설 / 장성수
1. 머리말 ... 119
2. 이기영의 생애 ... 120
3. 작품 분석 ... 122
(1) 농민의 소 소유자적 특성과 그 전형적 형상화 ... 122
(2) 농촌 현실의 총체적 형상화 ... 134
4. 맺음말 ... 148
참고문헌 ... 149
홍명희의『임꺽정』 / 채진홍
1. 홍명희의 삶과 문학사상의 기반 ... 151
2. 『임꺽정』과 반문명관 ... 154
(1) 홍명희의 반문명관 ... 154
(2) 역설구조와 탈이념 ... 160
(3) 인간혁명과 민족해방 ... 165
3. 통일관과『임꺽정』의 민족문학사적 의의 ... 168
(1) 홍명희의 통일관과 문학관의 상관성 ... 168
(2) 『임꺽정』의 민족문학사적 의의 ... 175
참고문헌 ... 179
민본성 추구의 서사 양식 / 이종호
1. 서론 ... 181
2. 서술 기법의 양상 ... 184
(1) 초점화와 서술 태도 ... 184
(2) 시간 역전의 미적 원리 ... 197
3. 결론 ... 207
참고문헌 ... 208
카인과 아벨의 후예, 혹은 분열된 세계를 끌어안는 희생제의 / 정혜경
1. 서론 ... 211
2. 외부 현실에 굴복하는 이기적 생존의 인간상 ... 214
3. 모순된 인간형과 단일한 인간형의 대비 ... 218
4. 통합적 세계를 지향하는 희생제의 ... 225
5. 결론 ... 233
참고문헌 ... 236
안수길의「북간도」론 / 윤애경
1. 서론 ... 237
2. 남석 안수길의 생애 ... 243
3. 「북간도」의 분석 ... 244
(1) '간도'영유권의 문제 ... 244
(2) 외세의 탄압과 삶의 양식 ... 252
(3) 역사적 사실과 소설적 진실 ... 270
4. 「북간도」의 가치와 소설사적 위치 ... 274
참고문헌 ... 278
사반과 두 개의 성 / 박영준
1. 김동리와『사반의 십자가』 ... 279
2. 판본 검토, 개작의 맥락 ... 283
3. 병치 플롯에서 형성되는 대결 구도 ... 291
4. 사반과 두 개의 성 ... 294
5. 운명론의 두 방향 ... 297
참고문헌 ... 300
정한숙의『끊어진 다리』론 / 김재두
1. 서론 ... 303
2. 『끊어진 다리』의 서사구조 ... 305
(1) 예속적 민족사에 대한 문제 제기 ... 305
(2) 민족사의 내적 모순에 대한 비판 ... 309
(3) 식민지 현실에 대한 증언 ... 312
(4) 시공간의 의미 찾기 ... 314
(5) 식민지하 피폐한 조국의 실상 고발 ... 316
(6) 해방공간의 풍경과 민족의 상처 ... 318
(7) 새로운 건설의 전망 ... 320
3. 부정과 긍정의 변증법 ... 322
(1) 예속적 민족사에 대한 비판의식 ... 322
(2) 긍정의 윤리 ... 324
4. 결론 ... 328
참고문헌 ... 330
최인훈의『광장』론 / 서동수
1. 서론 ... 333
2. 역사적 연속성과 작가적 재능 ... 335
3. 소설사적 연속성 ... 338
(1) 인물 ... 338
(2) 죽음의 방식 ... 342
(3) 탈주 모티프 ... 345
4. 결론 ... 362
참고문헌 ... 363
『녹두장군』의 갈등양상과 다성적 특질 / 한승옥
1. 서언 ... 365
2. 주요 갈등양상 ... 367
3. 인물 형상화의 제 문제 ... 370
4. 문화사적 측면 ... 373
5. 작가의식 및 세계관 ... 378
6. 결어 ... 381
참고문헌 ... 38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