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Ⅰ. 신세대 문학의 현주소
60년대생 작가들과 몇 가닥의 징후 - 장정일, 심상대, 방현석을 중심으로 ... 9
신세대, 그 지적 분광 - 유하, 장석남, 이승하, 안도현을 중심으로 ... 30
신세대 비평의 배경과 논리 - 『비평의 시대』 『문예연구』 『오늘의 문예비평』을 중심으로 ... 56
60년대생 작가들의 ...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Ⅰ. 신세대 문학의 현주소
60년대생 작가들과 몇 가닥의 징후 - 장정일, 심상대, 방현석을 중심으로 ... 9
신세대, 그 지적 분광 - 유하, 장석남, 이승하, 안도현을 중심으로 ... 30
신세대 비평의 배경과 논리 - 『비평의 시대』 『문예연구』 『오늘의 문예비평』을 중심으로 ... 56
60년대생 작가들의 정체 탐색 - 주인석, 오수연을 중심으로 ... 87
허무의 확인, 그리고 부조리의 시학 ... 104
Ⅱ. 90년대 한국소설의 현장
검증·세태풍자·소설쓰기의 길찾기 - 김종성, 안광, 채영주의 근작 ... 111
민중문학의 논리 전환과 포스트모더니즘 ... 122
어두운 동네, 밝은 혼 - 김원일, 송영의 산동네 소설 ... 128
정치 풍자소설의 재미와 의미 ... 135
소설 출발의 두 형식 ... 140
미아가 된 '소설' ... 147
60년대를 지나던 세 가지 삶의 방식 - 최일남, 이원규, 김원두의 작품집 ... 154
Ⅲ. 문학사 외곽의 조선인 문학
문학사의 외곽, 또는 그 현장 - 김학철의 『태항산록』론 ... 165
동토에 핀 푸른 꽃 - 재소 시인 강태수론 ... 174
검붉은 징역의 땅에 핀 하늘의 소망 - 『3·1 기념시집』론 ... 188
역사 속에 묻힌 민중 영웅 - 김세일의 『홍범도』론 ... 200
남북한 문학작품 교류 및 이질화 극복의 과제 ... 209
언어 기능에서 본 남·북 시의 동질성 회복 문제 ... 216
북한문학의 실증적 이해가 지니는 몇 가지 문제 - 해방 50년 북한소설에 대하여 ... 228
연변 조선족 문학의 위상 점검 ... 237
한국문학 속의 교토(京都) - 정지용의 문학에 이르기 위한 예비적 고찰 ... 245
Ⅳ. 소외된 존재의 문학정신
90년대 지역문학의 현황 - 삶의 총체성과 문학정신의 문제 ... 269
일상세계의 낯선 인간들 - 최수철과 이야기 해체 ... 281
수성적(獸性的) 삶의 생태 - 정을병의 『종가에서 난 절름발이』 ... 289
전통사회와 농민의 오기 - 최기인의 『처숙』 『기다리는 빛』 『백내장』의 인간상 ... 293
친자확인 거부의 인간사 - 윤정모의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 298
천둥소리에 쫓기던 여자의 일생 - 김주영의 『천둥소리』 ... 303
향토서정과 여류시의 감각 ... 311
날짜 변경선을 넘어온 정제된 향수 ... 318
주요 자료 : 시, 소설, 평론 ... 32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