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해방 전의 농민소설
1. 서론 ... 13
(1)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3
(2) 연구사 ... 21
2. 이념적 농민소설 ... 30
(1) 프로 문학적 농민소설 ... 30
1) 성해(星海)의「흙의 세례」 - 귀농 인텔리의 갈등 ... 36
2) 서해(曙海)의「홍염」...
더보기
목차 전체
Ⅰ. 해방 전의 농민소설
1. 서론 ... 13
(1)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3
(2) 연구사 ... 21
2. 이념적 농민소설 ... 30
(1) 프로 문학적 농민소설 ... 30
1) 성해(星海)의「흙의 세례」 - 귀농 인텔리의 갈등 ... 36
2) 서해(曙海)의「홍염」 - 이향민의 반항 ... 43
3) 민촌(民村)의「고향」 - 농민들의 집단적 투쟁 ... 48
(2) 민족주의적 농민소설 ... 57
1) 춘원(春園)의『흙』 - 관념화된 농민 운동 ... 59
2) 심훈(沈熏)의『상록수』 - 도식화된 농촌 생활의 찬가 ... 67
3. 사실적 농민소설 ... 74
(1) 방관적 농민소설 ... 74
1) 만우(晩牛)의「모범 경작생」 - 농민의 자각 ... 78
2) 김유정(金裕貞)의「만무방」 - 떠돌이 소작농의 갈등 ... 86
3) 김동리(金東里)의「산화」 - 농민의 분노 ... 92
(2) 실천적 농민소설 ... 99
1) 요산(樂山)의「사하촌」 - 농민의 항거 ... 103
2) 이근영(李根榮)의「농우」 - 소작농의 저항 ... 110
3) 현덕(玄德)의「경칩」 - 토지에의 자성(磁性) ... 114
4) 무영(無影)의「흙의 노예」 - 농민화와 역사의 아이러니 ... 119
4. 결론 ... 127
농민소설 연표《1925-1945(해방 전)》 ... 132
Summary : A Study on Korean Novels of the Soil ... 137
Ⅱ. 해방 후의 농민소설
1. 해방 직후의 농민소설 ... 143
(1) 서론 ... 143
(2) 본론 ... 145
1) 사실 구조 ... 146
2) 주제 ... 161
3) 문학적 장치 ... 163
(3) 결론 ... 171
Summary : A Study on Novels of the Soil in Right after the Liberation ... 175
2. 1950년대의 농민소설 ... 177
(1) 서론 ... 177
(2) 본론 ... 179
1) 오영수의「머루」 ... 179
2) 이무영의『농민』 ... 182
3) 김송(金松)의「상흔」 ... 186
4) 유승규(柳承규)의「경칩」 ... 189
5) 최인욱(崔仁旭)의「대복이」 ... 193
(3) 결론 ... 195
Summary : A Study on Novels of the Soil in the 1950s ... 199
3. 1960년대의 농민소설 ... 201
(1) 서론 ... 201
(2) 본론 ... 203
1) 「은냇골 이야기」 ... 203
2) 「핏들」 ... 209
3) 『속솔이뜸의 댕이』 ... 213
4) 「봇물」 ... 218
5) 「모래톱 이야기」 ... 222
(3) 결론 ... 226
농민소설 연표《1945(해방 후) - 1969》 ... 228
Summary : A Study on Novels of the Soil in the 1960s ... 231
Ⅲ. 미국의 농민소설
1. 서론 ... 235
2. 본론 ... 238
(1) Facts ... 238
1) Plot ... 238
2) Character ... 241
3) Setting ... 246
(2) Theme ... 249
(3) Literary Devices ... 250
1) Title ... 250
2) Point of View ... 252
3) Style and Tone ... 254
3. 결론 ... 262
Summary : A Study on American Novels of the Soil ... 265
부록 : 한국 빈궁 문학의 두 양상
1. 서론 ... 267
2. 본론 ... 270
(1) 빈궁 문학의 발생 - 초기의 사실적 빈궁 문학 ... 270
1) 배경 ... 270
2) 주요 작가와 작품 ... 275
(2) 빈궁 문학의 변이 - 중기(과도기)의 계급적 빈궁 문학 ... 291
1) 배경 ... 291
2) 주요 작가와 작품 ... 294
(3) 빈궁 문학의 극성 - 후기의 계급적 빈궁 문학 ... 315
1) 배경 ... 315
2) 주요 작가와 작품 ... 318
(4) 사실적 빈궁 문학과 계급적 빈궁 문학의 대비 ... 327
1) 차이점 ... 327
2) 유사성 ... 330
3. 결론 ... 333
Summary : A Study on Two Aspects of the Korean Indigent Literature ... 337
참고문헌 ... 341
찾아보기 ... 349
Ⅰ. 해방 전의 농민소설
1. 서론 ... 13
(1)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3
(2) 연구사 ... 21
2. 이념적 농민소설 ... 30
(1) 프로 문학적 농민소설 ... 30
1) 성해(星海)의「흙의 세례」 - 귀농 인텔리의 갈등 ... 36
2) 서해(曙海)의「홍염」 - 이향민의 반항 ... 43
3) 민촌(民村)의「고향」 - 농민들의 집단적 투쟁 ... 48
(2) 민족주의적 농민소설 ... 57
1) 춘원(春園)의『흙』 - 관념화된 농민 운동 ... 59
2) 심훈(沈熏)의『상록수』 - 도식화된 농촌 생활의 찬가 ... 67
3. 사실적 농민소설 ... 74
(1) 방관적 농민소설 ... 74
1) 만우(晩牛)의「모범 경작생」 - 농민의 자각 ... 78
2) 김유정(金裕貞)의「만무방」 - 떠돌이 소작농의 갈등 ... 86
3) 김동리(金東里)의「산화」 - 농민의 분노 ... 92
(2) 실천적 농민소설 ... 99
1) 요산(樂山)의「사하촌」 - 농민의 항거 ... 103
2) 이근영(李根榮)의「농우」 - 소작농의 저항 ... 110
3) 현덕(玄德)의「경칩」 - 토지에의 자성(磁性) ... 114
4) 무영(無影)의「흙의 노예」 - 농민화와 역사의 아이러니 ... 119
4. 결론 ... 127
농민소설 연표《1925-1945(해방 전)》 ... 132
Summary : A Study on Korean Novels of the Soil ... 137
Ⅱ. 해방 후의 농민소설
1. 해방 직후의 농민소설 ... 143
(1) 서론 ... 143
(2) 본론 ... 145
1) 사실 구조 ... 146
2) 주제 ... 161
3) 문학적 장치 ... 163
(3) 결론 ... 171
Summary : A Study on Novels of the Soil in Right after the Liberation ... 175
2. 1950년대의 농민소설 ... 177
(1) 서론 ... 177
(2) 본론 ... 179
1) 오영수의「머루」 ... 179
2) 이무영의『농민』 ... 182
3) 김송(金松)의「상흔」 ... 186
4) 유승규(柳承규)의「경칩」 ... 189
5) 최인욱(崔仁旭)의「대복이」 ... 193
(3) 결론 ... 195
Summary : A Study on Novels of the Soil in the 1950s ... 199
3. 1960년대의 농민소설 ... 201
(1) 서론 ... 201
(2) 본론 ... 203
1) 「은냇골 이야기」 ... 203
2) 「핏들」 ... 209
3) 『속솔이뜸의 댕이』 ... 213
4) 「봇물」 ... 218
5) 「모래톱 이야기」 ... 222
(3) 결론 ... 226
농민소설 연표《1945(해방 후) - 1969》 ... 228
Summary : A Study on Novels of the Soil in the 1960s ... 231
Ⅲ. 미국의 농민소설
1. 서론 ... 235
2. 본론 ... 238
(1) Facts ... 238
1) Plot ... 238
2) Character ... 241
3) Setting ... 246
(2) Theme ... 249
(3) Literary Devices ... 250
1) Title ... 250
2) Point of View ... 252
3) Style and Tone ... 254
3. 결론 ... 262
Summary : A Study on American Novels of the Soil ... 265
부록 : 한국 빈궁 문학의 두 양상
1. 서론 ... 267
2. 본론 ... 270
(1) 빈궁 문학의 발생 - 초기의 사실적 빈궁 문학 ... 270
1) 배경 ... 270
2) 주요 작가와 작품 ... 275
(2) 빈궁 문학의 변이 - 중기(과도기)의 계급적 빈궁 문학 ... 291
1) 배경 ... 291
2) 주요 작가와 작품 ... 294
(3) 빈궁 문학의 극성 - 후기의 계급적 빈궁 문학 ... 315
1) 배경 ... 315
2) 주요 작가와 작품 ... 318
(4) 사실적 빈궁 문학과 계급적 빈궁 문학의 대비 ... 327
1) 차이점 ... 327
2) 유사성 ... 330
3. 결론 ... 333
Summary : A Study on Two Aspects of the Korean Indigent Literature ... 337
참고문헌 ... 341
찾아보기 ... 34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