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1부 근대소설과 신체제
이태준과 신체제 : 식민지배담론의 수용과 저항 ... 17
1. 신체제 등장 전후의 이태준을 둘러싼 두 가지 해석과 그 편향 ... 17
2. 신체제론의 논리 구조와 동의(同意)의 매커니즘 ... 23
3. 이태준과 신체제론 - 수용과 저항의 내적 긴장과 길항 ... 34
...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1부 근대소설과 신체제
이태준과 신체제 : 식민지배담론의 수용과 저항 ... 17
1. 신체제 등장 전후의 이태준을 둘러싼 두 가지 해석과 그 편향 ... 17
2. 신체제론의 논리 구조와 동의(同意)의 매커니즘 ... 23
3. 이태준과 신체제론 - 수용과 저항의 내적 긴장과 길항 ... 34
4. 맺음말 ... 50
주체의 분열과 욕망 : 「냉동어」와 친일의 정신 구조 ... 52
1. 「냉동어」의 문제성 ... 52
2. 주체 분열의 기원과 사회역사적 상상력의 구조 ... 59
3. 스미꼬, 혹은 또 다른 '주체'의 욕망 ... 66
4. 신체제, 혹은 새로운 절대진리로의 전이(轉移) ... 72
박태원 소설에서의 근대와 전통 : 합리성에 대한 인식과 신체제론 수용의 문제를 중심으로 ... 77
1. 1940년 전후의 박태원 소설에 관한 재해석의 필요성 ... 77
2. 신체제의 등장과 박태원의 반응 ... 81
3. '두 개의 근대'라는 인식과 논의의 출발로서의 『천변풍경』 ... 85
4. 근대 세계와 합리성의 한계 ... 90
5. 근대의 부정과 신체제론으로의 함몰 ... 99
6. 신체제론의 전유화 과정과 논리적 단층 ... 103
2부 안수길 소설과 재만조선인 문학의 특수성
만주의 문학사적 표상과 안수길의 『북간도』에 나타난 '이산(移散)'의 문제 ... 109
1. '이산'에 관한 혼란된 시선 ... 109
2. 만주 공간의 문학사적 표상 ... 112
3. 안수길의 만주 인식과 이산(移散)의 문제 ... 116
4. 맺음말 ... 134
친일문학 논의와 재만조선인문학의 특수성 : 안수길의 소설과 '이주자-내부-농민의 시선'을 중심으로 ... 136
1.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과 이주자 문제에 관한 주관적 동일화의 오류 ... 136
2. 재만조선인문학의 특수성과 '이주자-내부-농민의 시선' ... 140
3. 이주민 농촌공동체를 향한 이상과 좌절 ... 143
4. 친일문학 논의와 역사적 콘텍스트의 중층성 ... 160
만주, 혹은 체험과 기억의 균열 : 안수길의 만주배경 소설과 그 역사적 단층 ... 163
1. 원체험 공간으로서의 만주와 역사적 재구성으로서의 기억 ... 163
2. 해방 이후의 개작을 통해 본 만주 인식의 굴절 ... 165
3. 전재민(戰災民) 의식과 '만주 노스탤지어' - '정든 이역'과 '낮선 조국'이라는 역설 ... 173
4. 『북간도』의 서사 구조와 내적 균열 ... 178
5. '이주자 - 내부 시선'에 대한 반성 - '만주 콤플렉스'에서 놓여나기 ... 182
6. 맺음말 ... 189
3부 식민주의와 식민지 주체의 균열
고대사 복원의 이데올로기와 친일문학 인식의 지평 : 김동인의 『백마강』을 중심으로 ... 193
1. 사실(史實)과 해석의 이데올로기 ... 193
2. 소설 『백마강』과 고대사 ... 198
3. 고대사 복원 이데올로기의 균열과 모순 ... 201
4. 반복되는 고대사 복원의 기도와 친일 논의의 질곡 ... 211
순수문학론에서의 미적 자율성과 반근대의 논리 : 김동리의 경우 ... 214
1. 미적 자율성과 근대성 ... 214
2. 김동리의 순수문학론에 대한 몇 가지 해석의 관점 ... 217
3. 순수문학론의 논리 구조 ... 221
4. 근대와 반근대 - 순수문학론의 논리적 딜레마 ... 226
5. 그 후의 미적 자율성 논의 ... 237
하바꾼에서 황금광까지 : 식민지사회의 투기 열풍과 채만식의 소설 ... 240
1. 채만식, 혹은 소설의 사회사(社會史) ... 240
2. 미두와 식민지 자본주의 ... 245
3. 황금광(黃金狂)시대의 빛과 그늘 ... 263
4. 투기, 혹은 닫힌 사회의 막다른 출구 ... 279
한설야 장편소설 『청춘기』의 개작과정에 대하여 ... 281
1. 『청춘기』의 세 가지 판본 ... 281
2. 개작의 양상과 효과 ... 282
3. 개작의 의도와 도식주의 비판의 상관 관계 ... 296
4. 관념과 현실의 거리 ... 30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