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김춘수와 고은 시의 허무의식 연구
Ⅰ 서론 ... 13
1. 연구사 검토와 문제제기 ... 13
2. 우리 문학과 허무주의 ... 22
3. 허무의식과 시간 ... 30
Ⅱ 탈시간성과 시적 구원의 도정-김춘수 ... 47
1. 허무의식의 형성 ... 47
1) 절대 고독과 현실시간의...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김춘수와 고은 시의 허무의식 연구
Ⅰ 서론 ... 13
1. 연구사 검토와 문제제기 ... 13
2. 우리 문학과 허무주의 ... 22
3. 허무의식과 시간 ... 30
Ⅱ 탈시간성과 시적 구원의 도정-김춘수 ... 47
1. 허무의식의 형성 ... 47
1) 절대 고독과 현실시간의 몰가치성 ... 48
2) 사물의 새로움 탐구와 세계와의 불화 ... 61
3) 역사허무주의와 무한(無限)의 추구 ... 74
2. '반유토피아충동'으로서의 '순간'과 심미성 ... 90
1) '處容', '투명한 시간'의 현현 ... 91
(1) 유년 기억과 생의 '주의(主意)의 전화(轉化)' ... 92
(2) 절대적 시간의 '현현(顯顯)'과 시적 구원 ... 100
2) 새로운 미적 질서의 모색 ... 110
(1) 미적 규범의 변형 의지 ... 111
(2) 무의미시와 놀이의 세계 ... 117
Ⅲ 생의 열망과 미래를 향한 기대-고은 ... 125
1. 낭만적 유폐와 순수한 시간의 동경 ... 125
1) 자발적 유폐와 소멸지향 ... 126
2) 정지된 시간과 순수한 시간 ... 137
2. 죽음의식의 시간구조와 '유토피아충동' ... 148
1) 통과제의적 죽음과 시초의 시간 희구 ... 149
2) 역사의 소거와 기독교적 종말의식 ... 168
3) 죽음의식 및 종말의식의 '세속화' ... 180
4) 시간의 주인이 되는 민중과 현재의 가치 ... 187
Ⅳ 결론 ... 201
제2부 현대시의 시간과 죽음의식
Ⅰ 생의 한계와 죽음에의 투사-김소월 시의 물 이미지 분석 ... 211
1. 시적 출발 및 지향 ... 211
2. 생명의 바다, 닿을 수 없는 꿈 ... 214
3. 좌절의식과 죽음에의 투사 ... 222
4. 맺는말 ... 229
Ⅱ 김춘수 초기 시의 염세주의적 성격 연구 ... 231
1. 신화의 시대 ... 231
2. 신화적 시간의 상실과 고독한 자아 ... 238
3. 염세주의와 존재에의 탐구 ... 242
Ⅲ 부정과 성찰의 시학 ... 247
1. 김춘수 시문학의 현대성 ... 247
2. 자아와 세계 간의 본원적 거리 확인 ... 252
3. 유년 기억을 통한 자아 및 근대 세계의 성찰 ... 258
4. 부정 정신의 성과와 한계 ... 267
Ⅳ 시간의 공간화, 죽음의 공간화-고은의 초기 시를 중심으로 ... 269
1. 문학의 시간과 공간 ... 269
2. 현대시의 시공간적 구조 및 특성 ... 275
3. 단절된 시간과 시간의 공간화 ... 278
4. 연속성의 부정과 죽음의 공간화 ... 289
5. 맺는말 ... 296
더보기 닫기